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독립운동가
어떤 국가의 지배를 받는 지역에서 독립하기 위한 사회운동에 참여한 사람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독립운동가(獨立運動家, 영어: independence activist)란 어떤 국가의 지배를 받는 지역에서 독립하기 위한 사회운동에 참여한 사람들을 말한다.

한국의 독립운동가
요약
관점

한국에서는 개항 이후 한국을 점령하여 1945년 8.15 광복 때까지 통치한 일본 제국에 대항하여 한민족의 독립을 쟁취하려는 일체의 민족주의적 운동에 참여한 인물들을 뜻한다. 이들은 근대 한국사에 있어서 핵심적인 위치를 차지한다.
한국 민족주의는 1876년 강화도조약 전후로 일제침략이 시작된 이후, 외교적으로 국권을 상실하게 되는 1905년 을사늑약을 체결 전후까지 일제의 단계적 침략에 대한 각종 배일운동과 의병항쟁 과정에서 형성되었다. 그리고 1905년 을사늑약 전후로 1919년 3.1 운동 사이에 있었던 의병전쟁과 민족의 근대적 역량을 길러 국권을 찾으려는 애국계몽운동 등의 방향과 이념이 정립되면서 성장해 갔다. 그리고 3.1 운동을 계기로 큰 발전이 이뤄지면서, 1945년 광복 때까지 국내외에서 전개된 독립운동의 원동력이 되었다.[1] 한국의 독립운동가들은 핵심적 인물에 양반 출신이 많았다는 지적이 있으나 전체적으로는 상민 이하의 신분 출신자도 많았다.[2]
이념적 분단

대일항쟁(對日抗爭期)에 참여했던 모든 운동가들이 민족주의적 사상을 가졌던 것은 아니다. 일제 합병 직후 중심점이 사라졌던 조선인들은 각 개인마다 서로 다른 정치적, 경제적 목적 아래 일제항쟁에 뛰어들었다. 한국독립당에서 갈라져 김구를 중심으로 모인 한국국민당, 미국 대한인국민회에서 갈라져 이승만을 중심으로 모인 대한인동지회, 중국 팔로군에 연계되어 활동하던 동북항일연군, 대종교 계통에서 시작된 북로군정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정규군이던 한국광복군, 중도 사회주의자였던 여운형의 신한청년단, 공산주의자 박헌영의 조선공산당, 암살 목적으로 창단된 한인애국단 등등 조선 독립이라는 공통된 목표 아래 서로 다른 정치이념과 권력집단으로 구성된 여러 독립운동군들이 존재하였습니다.
결론적으로 조선인 출신 독립운동가 세력들은 일본의 항복 이후에도 서로의 이념적 차이를 넘지 못하고 파벌로 나뉘어 싸우다 결국 동북항일연군 출신의 김일성을 중심으로 결성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상해 임시 정부 출신의 이승만을 중심으로 결성된 대한민국으로 갈라지게 된다.
한국의 독립운동가의 목록
북한의 독립운동가
남한의 독립운동가
Remove ads
독립을 쟁취한 나라의 독립운동가
동티모르
대표적인 독립운동가로 샤나나 구스망이 있다. 결국 독립을 쟁취하였다.
파키스탄
영국으로부터 벗어나자는 이슬람권 독립운동가와, 인도인과 파키스탄인은 별개의 집단이므로 따로 독립하자는 독립운동가가 있었다.
인도
마하트마 간디는 인도의 분할에 반대한 독립운동가였고, 인도의 분할에 대해 찬성하거나 용인 입장을 밝힌 독립운동가도 있었다.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