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동계 올림픽에 참가한 열대 국가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동계 올림픽에 참가한 열대 국가
Remove ads

열대에 위치한 국가들은 기후의 특성상 겨울 스포츠에 관심이 없기 때문에 동계 올림픽에 참가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현재까지 동계 올림픽에서 메달을 획득한 열대 국가는 아직 없다. 하지만 동계 올림픽에 참가하는 열대 국가들은 몇몇 언론들로부터 주목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Thumb
2010년 밴쿠버 동계 올림픽 개막식에서 입장하고 있는 가나 선수단

개요

요약
관점

동계 올림픽에서 최초로 참가한 온대 국가는 멕시코이다. 멕시코는 위도상으로 북회귀선의 북쪽에 위치하고 있고 국토의 대부분이 서안 해양성 기후, 스텝 기후에 속하기 때문에 열대 국가로 볼 수 없다. 하지만 1928년 장크트모리츠 동계 올림픽에 참가한 멕시코 남자 5인조 봅슬레이 대표팀은 전체 23개국 중에서 11위를 기록했다. 멕시코는 1984년 사라예보 동계 올림픽 대회까지 동계 올림픽에 참가하지 않았다.

동계 올림픽에서 최초로 참가한 열대 국가는 필리핀이다. 필리핀은 1972년 삿포로 동계 올림픽에서 2명의 알파인 스키 선수가 참가했다. 필리핀의 벤 나나스카(Ben Nanasca) 선수는 73명이 참가했던 대회전 경기에서 42위를 차지했고 후안 시프리아노(Juan Cipriano) 선수는 기권했다. 이들은 회전 경기에도 참가했지만 모두 기권했다.

1980년 레이크플래시드 동계 올림픽에 참가한 코스타리카는 동계 올림픽에 참가한 2번째 열대 국가가 되었다. 코스타리카의 알파인 스키 선수인 아르투로 킨치(Arturo Kinch) 선수는 이후에 열린 3차례의 동계 올림픽 대회에 참가했으며 2006년 토리노 동계 올림픽에서는 49세의 나이에 동계 올림픽 대회에 참가했다.

1988년 캘거리 동계 올림픽에서는 코스타리카, 피지, , 과테말라, 자메이카, 네덜란드령 안틸레스, 필리핀, 푸에르토리코, 미국령 버진아일랜드 등 수많은 열대 국가가 참가했다. 특히 자메이카 봅슬레이 대표팀은 이 대회에서 주목을 받았는데 1993년에 개봉된 영화 《쿨러닝》(Cool Runnings)의 소재가 되기도 했다. 1994년 릴레함메르 동계 올림픽에 참가한 자메이카 남자 4인조 봅슬레이 대표팀은 미국, 러시아보다 높은 14위의 성적을 기록했다. 자메이카 태생의 봅슬레이 선수인 래셀스 브라운(Lascelles Brown) 선수는 2006년 토리노 동계 올림픽에서 캐나다 대표로 참가하여 은메달을 획득했다.

2006년 토리노 동계 올림픽에서는 에티오피아, 마다가스카르 선수단이 처음 참가했다. 2010년 밴쿠버 동계 올림픽에서는 케이맨 제도, 콜롬비아, 페루, 가나 선수단이 처음 참가했고 2014년 소치 동계 올림픽에서는 도미니카 연방, 파라과이, 동티모르, 토고, 통가, 짐바브웨 선수단이 처음 참가했다.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에서는 에콰도르, 에리트레아, 말레이시아, 나이지리아, 싱가포르 선수단이 처음 참가했다. 2022년 베이징 동계 올림픽에서는 아이티 선수단이 처음 참가했다.

Remove ads

동계 올림픽에 참가한 열대 국가 목록

요약
관점
Thumb
열대 국가들이 빨간색으로 표시된 세계 지도
Thumb
열대 국가들이 빨간색으로 표시된 세계 지도

다음은 국토의 전체 또는 대부분이 열대에 속하는 국가, 쾨펜의 기후 구분에서 열대 기후로 분류되는 국가 중에서 동계 올림픽에 참가한 기록을 갖고 있는 국가에 관한 목록이다. 여기에 명시된 연도는 해당 국가가 참가한 동계 올림픽의 개최 연도를 의미한다.

아프리카
카메룬2002
에리트레아2018 ~ 2022
에티오피아2006 ~ 2010
가나2010, 2018 ~ 2022
케냐1998 ~ 2006, 2018
마다가스카르2006, 2018 ~ 2022
나이지리아2018 ~ 2022
세네갈1984, 1992 ~ 1994, 2006 ~ 2010
토고2014 ~ 2018
짐바브웨2014
 
아메리카
볼리비아1956, 1980 ~ 1992, 2018 ~ 2022
영국령 버진아일랜드1984, 2014
브라질1992 ~ 2022
케이맨 제도2010 ~ 2014
콜롬비아2010, 2018 ~ 2022
코스타리카1980 ~ 1992, 2006
도미니카 연방2014
에콰도르2018 ~ 2022
과테말라1988
아이티2022
온두라스1992
자메이카1988 ~ 2002, 2010 ~ 2022
네덜란드령 안틸레스1988 ~ 1992
파라과이2014
페루2010 ~ 2014
푸에르토리코1984 ~ 2002, 2018 ~ 2022
트리니다드 토바고1994 ~ 2002, 2022
베네수엘라1998 ~ 2006, 2014
미국령 버진아일랜드1988 ~ 2006, 2014, 2022
 
오세아니아
아메리칸사모아1994, 2022
피지1988, 1994, 2002
1988
통가2014 ~ 2018
 
아시아
홍콩2002 ~ 2022
말레이시아2018 ~ 2022
필리핀1972, 1988 ~ 1992, 2014 ~ 2022
싱가포르2018
태국2002 ~ 2006, 2014 ~ 2022
동티모르2014 ~ 2022

아열대 기후와 같이 온난한 기후를 띠는 국가도 동계 올림픽에 참가한 기록을 갖고 있다. 오스트레일리아(극북이 열대에 위치함), 버뮤다, 중화 타이베이(대만), 에스와티니, 홍콩, 인도(히말라야산맥의 일부와 접함), 멕시코, 남아프리카 공화국, 우루과이 외에 북아프리카에 위치한 국가인 알제리, 이집트, 모로코가 이에 해당한다.

Remove ads

동계 패럴림픽

동계 패럴림픽에 참가한 기록을 갖고 있는 열대 국가는 우간다, 브라질, 푸에르토리코 3개국 뿐이다. 우간다 출신의 토피리 키부카(Tofiri Kibuuka) 선수는 1976년 동계 패럴림픽, 1980년 동계 패럴림픽 크로스컨트리 스키에서 우간다 대표로 참가했다. 키부카는 노르웨이 국적을 취득한 뒤부터 1984년 동계 패럴림픽에서 노르웨이 대표로 참가했다. 브라질은 2014년 동계 패럴림픽에 처음 참가했다. 푸에르토리코는 2022년 동계 패럴림픽에 처음 참가했다.

아프리카
우간다1976 ~ 1980
아메리카
브라질2014 ~ 2022
푸에르토리코2022

동계 청소년 올림픽

다음은 동계 청소년 올림픽에 참가한 기록을 갖고 있는 열대 국가에 관한 목록이다.

아프리카
에리트레아2012
케냐2016 ~ 2024
나이지리아2024
 
아메리카
브라질2012 ~ 2024
케이맨 제도2012
콜롬비아2016 ~ 2024
에콰도르2020
아이티2020
자메이카2016 ~ 2024
페루2012
트리니다드 토바고2020
 
아시아
홍콩2020 ~ 2024
말레이시아2016 ~ 2020
필리핀2012, 2020 ~ 2024
싱가포르2020 ~ 2024
태국2020 ~ 2024
동티모르2016

같이 보기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