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동백동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동백동(東栢洞)은 대한민국 용인시 기흥구 동부에 있는 법정동이다. 행정동 동백동은 동백동과 중동을 관할하며, 동백1동, 동백2동, 동백3동이 설치되어 있다.
Remove ads
연혁
- 조선 시대: 용인군 동변면(東邊面)
- 1914년: 동막리(東幕里)와 백현리(栢峴里)를 합쳐 동백리가 됨.
- 1931년: 용인군 구성면 동백리가 됨.
- 1996년 3월 1일: 용인군이 용인시로 승격하여 용인시 구성면 동백리가 됨.
- 2000년 9월 1일: 구성면이 구성읍으로 승격하여 용인시 구성읍 동백리가 됨.
- 2005년 10월 31일: 기흥구가 신설되어 기존의 구성읍 아래의 리가 동으로 승격하면서 용인시 기흥구 동백동이 되었다. 관할 행정동은 어정동.
- 2007년 7월 1일: 행정동 어정동을 폐지하고 동백동과 상하동으로 분동했다.[1]
- 2020년 1월 20일: 동백동을 동백1동, 동백2동, 동백3동으로 분동하였다.
인구
인구 구성

동백동의 인구는 80,981명(2019년 2월 28일 기준, 내국인)으로 용인시 전체 인구의 7.8%를 차지한다. 남자는 39,637명, 여자는 41,344명이다. 외국인은 남성 149명, 여성 211명으로 총 360명이다. 동백동의 인구 구조는 도시 지역의 특성이 나타나서 유소년(15세 미만) 인구 비율은 21.4%로 용인시 전체 16.1%보다 많으며 노년(65세 이상) 인구 비율은 8.6%로 용인시 전체 12.2%보다 작다.[3]
산업별 종사자 현황
2015년 현재 동백동의 산업 총종사자 수는 12,928명이다. 남자는 5,602명, 여자는 7,326명이다. 교육서비스업 종사자가 2,554명으로 가장 비중이 높고, 도매 및 소매업 종사자는 1,978명으로 두번째로 비중이 높다. 또한 동백3동(중동)에는 용인세브란스병원이 있고 요양원, 노인복지센터가 많기 때문에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종사자가 1,706명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한다.[4]
Remove ads
아파트
교통
대중 교통
과거 수려선이 동을 횡단하였으며, 현재 용인경전철의 어정역, 동백역, 초당역이 있으며 이를 통해 기흥구 서부와 처인구 일대를 왕래할 수 있다.
용인시의 여러 마을버스와 도시형 버스, 직행좌석버스가 운행하고 있다. 또한 성남시의 도시형 버스 일부도 운행하고 있다. 용인 - 인천국제공항, 용인 - 김포국제공항 공항버스도 경유한다.
도로
동백동 북부를 영동고속도로가 마성 나들목진출로가 2018년에 개통해 에버랜드까지 돌아가는 불편함을 줄여줬다. 42번 국도에서 분화된 동백-죽전 간 동백죽전대로가 있으며, 동 중앙을 초당고등학교-동백저수지 간 동백중앙로가 관통한다.
2012년 8월 10일, 수지구 상현동 광교상현 나들목에서 마북동, 구성지구, 동백동을 경유하여 포곡읍 전대리 포곡중학교를 연결하는 총연장 15km의 석성로가 전구간 개통했다. 기흥구 동백동 ~ 처인구 포곡읍 마성리간 길이 580m, 너비 20m, 왕복 4차선 규모의 동백터널과, 동백1·2교·마성1교·영문5교 교량 4개가 설치되었다.
Remove ads
교육 기관
같이 보기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