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성북구의 행정 구역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성북구의 행정 구역은 39개의 법정동과 20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성북구1949년 8월 13일 설치되었으며(동대문구 일부 지역과 고양군 숭인면 일부 지역 포함)[1], 1988년 5월 1일 구단위 지방자치단체를 시행하여 자치구로 승격되었다. 성북구의 면적은 24.57km2이며, 서울시의 4.05%를 차지한다. 인구는 2012년 8월 1일을 기준으로 198,730 세대, 483,832명이다.[2]

행정 구역

2012년 8월 1일 기준 성북구의 면적과 행정 구역 인구는 다음과 같다.

Thumb

자세한 정보 행정동, 한자 ...
Remove ads

법정동

Thumb
성북구의 법정동
자세한 정보 행정동, 법정동 ...
Remove ads

연혁

  • 1949년 8월 13일 동대문구 일부(돈암동, 안암동, 종암동, 성북동)와 경기도 고양군 숭인면(석관리, 장위리, 번리, 우이리, 수유리, 월곡리, 미아리, 정릉리)을 관할로 하여 새로운 구가 설치되었고[6], 성북구숭인출장소도 같은 날 설치되었다. 성북구숭인출장소의 관할 지역은 석관리, 장위리, 번리, 우이리, 수유리, 상월곡리, 하월곡리, 미아리, 정릉리였다.[11] 법정동인 안암동을 1·2·3·4·5가로 분할하고, 돈암동 일부를 행정동인 동소문동, 동선동 및 삼선동으로 분동하였다.
  • 1950년 숭인출장소 소속 "리"가 모두 "동"으로 명칭이 바뀌었다.
  • 1962년 12월 12일 경기도 양주군 노해면을 편입하였다.[12]
자세한 정보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
  • 1963년 1월 1일 돈암동 일부를 분리하여 법정동인 동소문동 1·2·3·4·5·6·7가, 동선동 1·2·3·4·5가 및 삼선동 1·2·3·4·5가를 설치하였다.[4]
  • 1973년 7월 1일 아래 도표와 같이 일부 행정구역이 새로 설치된 도봉구로 분리되었다.[13]
자세한 정보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
자세한 정보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
  • 2007년 12월 30일 성북1동과 성북2동, 동소문동 일부를 성북동으로, 삼선1동과 삼선2동, 동소문동 일부를 삼선동으로, 동선1동과 동선2동을 동선동으로, 길음2동을 길음1동으로, 종암1동과 종암2동을 종암동으로, 석관1동과 석관2동을 석관동으로, 월곡3동과 4동을 월곡1동으로, 상월곡동을 월곡2동으로 합동하고 길음3동을 길음2동으로 개칭하였다.[14]

각주

Loading content...

외부 링크

Loading content...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