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동대문구
대한민국 서울특별시의 자치구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동대문구(東大門區)는 대한민국 서울특별시의 동부에 있는 자치구이다. 동쪽으로는 중랑구와 광진구, 서쪽으로는 종로구, 남쪽으로는 성동구, 북쪽으로는 성북구와 접한다. '동대문'의 명칭은 조선 시대의 도읍지인 한양의 동문인 흥인지문의 별칭 '동대문'으로부터 비롯되었다. 하지만 현재 흥인지문은 동대문구가 아닌 종로구에 속해 있다.
Remove ads
역사
- 조선 숙종 24년(1698년)에는 제기리에 호랑이가 마을에 들어온 일이 기록되었다.
- 조선 정조 12년(1788년)에는 동대문 바깥의 역일계, 역이계, 사계, 마장리계, 답십리계, 전농리계, 청량리계, 제기리계, 중랑포계, 장위리계를 인창방에 소속시켰다.
- 조선 후기에 작성된 《대동여지도》의 「경조오부도」에 현재의 동 명칭과 유사한 제기현, 전농리, 답십리, 청량사 등의 명칭이 수록되었다.
- 1943년 6월 10일 최초의 구제 실시로 돈암정, 창신정, 숭인정, 신설정, 용두정, 안암정, 제기정, 청량리정, 회기정, 이문정, 휘경정, 전농정, 종암정, 답십리정, 성북정을 관할로 하여 경기도 경성부 동대문구가 설치되었다.[3]
- 1946년 10월 9일 동대문구에 속한 행정구역의 일본식 명칭이 아래와 같이 개칭되었다.(→서울의 역사)
- 1949년 8월 13일 아래 도표와 같이 일부 행정구역이 이 날 새로 설치된 성북구로 편입되었다.[4]
- 1955년 신설동 중 일부를 관할로 하여 보문동이 분리되었다.
- 1962년 12월 12일 경기도 양주군 구리면 상봉리 등과 성동구 면목동이 동대문구에 편입되었다.[5]
- 1963년 1월 1일 구리면에서 편입한 5개동 지역에 망우출장소를 설치했다.
- 1968년 1월 1일 망우출장소가 폐지되면서 동대문구 직할로 바뀌었다.[6]
- 1975년 10월 1일 동대문구 창신동 및 숭인동 등이 종로구로 편입되었고(이 과정에서 흥인지문도 종로구로 들어갔다.), 보문동이 성북구로 편입되었다.[7]
- 1988년 1월 1일 면목동 등을 관할로 중랑구가 설치되었다.[8] (26행정동)
- 2008년 8월 11일 행정동 용두1동과 용두2동을 용두동으로, 청량리1동과 청량리2동을 청량리동으로, 전농4동을 전농2동으로, 답십리5동이 답십리3동으로 합동하였다.[9] (22행정동)
- 2009년 5월 4일 용두동과 신설동을 용신동으로, 제기1동과 제기2동을 제기동으로, 전농2동을 전농1동으로, 답십리3동을 답십리1동으로, 답십리4동을 답십리2동으로, 장안3동을 장안1동으로, 장안4동을 장안2동으로, 이문2동을 이문1동으로 합동하였고, 전농3동을 전농2동으로, 이문3동을 이문2동으로 개칭하였다.[10] (14행정동)
- 2025년 7월 1일 용신동을 용두동, 신설동으로 분동할 예정이다. (15행정동)
Remove ads
지리
동대문구는 서울특별시 동부 중앙에 위치하여 남쪽은 성동구와 접하고 있으며, 동쪽으로는 중랑천을 경계로 중랑구와 광진구, 북쪽으로는 성북구, 서쪽으로는 종로구와 접하고 있다. 일찍이 동대문구는 청량리, 경동시장, 청과시장을 중심으로 부도심 근린생활기능을 수행하는 서울 동부의 중심지로써 천호대로, 왕산로, 고산자로 등 주요 간선도로가 관통하고 청량리역 등 서울 지하철 1호선 및 2호선이 통과하는 교통망이 구축되어 주요 교통관문의 역할을 하고 있다.[11]
행정 구역

동대문구의 행정 구역은 10개의 법정동을 14개의 행정동으로 관리하며, 면적은 14.20km2이다. 동대문구의 인구는 2012년 12월 31일을 기준으로 157,650세대, 375,683명이다.[12]
인구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의 연도별 인구(내국인) 추이
문화·관광
명소

성동구 금호동과 성수동 1가의 강변북로 다리에서 한강과 합류하는 하천이다. 경기도부분의 중랑천은 지방하천으로 분류되며 서울특별시에 접어들면 국가하천으로 등급이 바뀐다. 또, 동부간선도로 강북 구간이 서울특별시 구간부터 중랑천과 나란히 뻗어있다. 총 길이는 45.3 km으로 서울특별시내의 하천 중에서 제일 길다. 자전거 도로 등이 잘 조성되어 있다. 또한 여러가지의 운동시설도 있다.
국가유산
- 서울 영휘원과 숭인원 - 사적 361호
- 서울 선농단 - 사적 436호
- 서울 선농단 향나무 - 천연기념물 제240호
- 서울 영휘원 산사나무 - 천연기념물 제506호
- 세종대왕신도비 -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유산 제42-1호
- 청량리역 검수차고 - 등록문화유산 제269호
행사
- 선농제 - 매년 봄에 임금이 제를 올리는 선농제를 복원, 재현하고 있다.
Remove ads
교육 기관



- 평생교육
Remove ads
교통
철도
청량리역에서 새마을호, 무궁화호, ITX-청춘열차를 탈 수 있다.
- 경원본선 (● 수도권 전철 1호선)
- 중앙본선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 중앙본선 (● 수도권 전철 경춘선)
- 분당선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 ● 서울 지하철 1호선 (수도권 전철 1호선)
- ● 서울 지하철 2호선 성수지선
- ● 서울 지하철 5호선 (수도권 전철 5호선)
Remove ads
자매 도시
케이블 방송사
역대 구청장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