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돛자리 델타
돛자리에서 2번째로 밝은 별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돛자리 델타(δ Velorum, 줄여서 Delta Vel, δ Vel)는 남천구의 돛자리에 있는 삼중성계로, 용골자리와의 경계 근처에 있으며 가짜 십자의 일부이다. 시차 측정에 따르면 태양으로부터 약 80.6 광년 (24.7 파섹) 떨어져 있다. 이 별은 세차 운동으로 인해 때때로 천구의 남극 근처에 놓이는 별 중 하나이다.
돛자리 델타는 식쌍성인 돛자리 델타 A와 더 멀리 떨어져 있는 세 번째 동반성 돛자리 델타 B로 구성된다. 돛자리 델타 A의 두 구성 요소는 Aa (전체 시스템의 전통적인 이름인 알세피나 /ælsɪˈfaɪnə/로 공식 명명됨)와 Ab로 지정된다.
Remove ads
명칭

돛자리 델타 (라틴어로 Delta Velorum)는 이 항성계의 바이어 명명법이다. 두 구성 요소인 돛자리 델타 A와 B, A의 구성 요소인 돛자리 델타 Aa와 Ab의 명칭은 다중 항성계에 대해 워싱턴 다중성 목록(WMC)이 사용하는 관례에서 유래하며 국제천문연맹 (IAU)이 채택했다.[11]
돛자리 델타는 "배"를 뜻하는 아랍어 al-safīnah에서 유래한 전통적인 이름인 "Alsafinah"(알사피나흐)를 지녔는데, 이는 고대 그리스 별자리 아르고자리, 즉 아르고나우타이의 배를 가리킨다. 이 이름은 기원후 2세기에 그리스 천문학자 클라우디오스 프톨레마이오스가 저술한 알마게스트의 10세기 아랍어 번역본에서 처음 사용되었다. 이 이름은 원래 전체 별자리를 가리켰지만, 적어도 1660년에 안드레아스 켈라리우스의 유명한 하르모니아 마크로코스미카, 즉 웅장하게 삽화가 그려진 17세기 네덜란드어로 된 우주 (계통)에 대한 책에 등장하면서 이 특정 밝은 별에 할당되었다.[12] 2016년에 IAU는 별의 고유 이름을 목록화하고 표준화하기 위해 항성 이름 워킹 그룹 (WGSN)[13]을 조직했다. WGSN은 전체 다중성계보다는 개별 항성에 고유 이름을 부여하기로 결정했다.[14] 2017년 9월 5일에 구성 요소 중 하나인 돛자리 델타 Aa에 알세피나(Alsephina)라는 이름을 승인했으며 현재 IAU 승인 별 이름 목록에 포함되어 있다.[15]
가짜 십자는 돛자리 델타와 돛자리 카파가 용골자리 이오타와 용골자리 엡실론과 함께 형성하는 성군이다. 이것은 때때로 남십자성으로 오인되어 천문항법에 오류를 일으키기 때문에 "가짜"인 남십자라고 불린다.[16]
중국어로 天社 (Tiān Shè), 즉 천상 지신 사원을 의미하는 이 성군은 돛자리 델타, 돛자리 감마2, 돛자리 카파, 돛자리 b로 구성된다.[17] 따라서 돛자리 델타 자체는 天社三 (Tiān Shè sān), 즉 "천상 지신 사원의 세 번째 별"로 알려져 있다.[18] 다른 중국적 관점에서 이 별은 돛자리 델타, 용골자리 오메가 및 큰개자리의 별들을 포함하는 Koo She (중국어: 弧矢, hú shǐ, "활과 화살")라는 이름의 성군에 나타난다.[19]
Remove ads
항성계

돛자리 델타는 삼중성계이다. 외부 구성 요소인 돛자리 델타 A와 B는 143년의 공전 주기를 가진 넓은 궤도를 갖는다. 주성 A는 겉보기등급 2.00이며, 동반성 B는 등급 5.54로, 두 별의 합쳐진 등급은 1.96으로 측정되었다.[20] 2013년 현재 두 별은 0.6초각 떨어져 있었지만, 이심률이 큰 궤도를 가지고 있어 전체 궤도에서의 평균 분리 거리는 거의 2초각이다.[7]
1978년에는 주성분이 오스트레일리아 천문대 회보에서 분광쌍성이라고 보고되었으며, 이는 히파르코스 위성이 확인했다.[21]

2000년에는 내성인 Aa와 Ab가 45.15일의 공전 주기와 0.230의 궤도 이심률을 갖는 식쌍성을 형성한다고 발표되었다.[10] 이들의 궤도 긴반지름은 평균 90.61 R☉의 분리 거리에 해당한다.[22] 돛자리 델타계의 변동성에 대한 관측은 지상 천문학자와 갈릴레오 우주 탐사선이 목성에서 독립적으로 이루어졌다.[21] 이 내성쌍성은 2007년에 간섭계를 사용하여 분해되었고, 이후 NACO 적응광학과 초대형 망원경을 사용하여 분해되었다. 돛자리 델타 A 구성 요소의 광도 측정은 겉보기 등급 2.33과 3.44를 제공한다.[3] 정밀한 궤도는 39.8±0.4 mas의 역학적 시차를 유도할 수 있으며, 이는 25.1 파섹의 거리를 나타낸다.[7]
돛자리 델타로부터 69 초각의 각거리에 또 다른 쌍성계가 있으며, 때때로 돛자리 델타 C와 D로 불린다. 이 쌍은 11등급 별과 13등급 별로 구성되며, 이들은 6초각 떨어져 있다. 약 G8V 및 K0V 분광형을 가진 이 두 별은 돛자리 델타보다 더 멀리 떨어져 있으며 물리적으로 연관되어 있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23]
HD 76653은 이동하는 동반성일 가능성이 높다 (96% 확률). 두 별은 유사한 고유운동을 가지며 예상되는 물리적 분리 거리는 2.2 ly (0.6605 pc)이다.[24] 둘 다 큰곰자리 운동성군의 구성원일 가능성이 높다.[25]
Remove ads
물리적 특성
세 별의 밝기는 적응광학을 사용하여 가시광선 및 적외선 파장에서 측정되었다. 이들의 표면밝기와 색지수가 시사하는 물리적 특성은 각각 A2IV, A4V, F8V의 분광형을 나타낸다.[3]
정확한 궤도 매개변수를 사용하여 별들의 보다 정밀한 물리적 특성을 계산할 수 있다. 분광쌍성 돛자리 델타 A의 두 구성원은 모두 약간 진화했지만 여전히 주계열에 있는 별들이다. 구성 요소 Aa는 태양질량의 2.5배, 태양반경의 2.6배의 질량과 반지름을 가지며, 9,470 K의 유효온도에서 태양 광도의 56배를 방출한다. 구성 요소 Ab는 약간 더 작으며, 태양 질량 및 반지름의 2.4배를 가지며, 태양 광도의 47배의 광도 (천문학)와 9,370 K의 유효온도를 갖는다.[10]
두 별 모두 빠르게 자전하며 상당히 편구 형태를 띠고 있어 극반경이 적도반경보다 작다. 중력 흑화로 인해 극에서의 유효온도가 더 높다. 구성 요소 Aa의 경우 극반경과 온도는 각각 2.79 R☉와 10,100 K이며, 적도반경과 온도는 각각 2.97 R☉과 9,700 K이다. 구성 요소 Ab의 경우 해당 극값은 2.37 R☉과 10,120 K이며, 적도값은 2.52 R☉와 9,560 K이다.[7] 이로 인해 별은 자전축을 따라 볼 때 더 밝게 보이고 적도에서 관측할 때 덜 밝게 보인다. 지구에서는 이 쌍이 거의 적도 방향으로 관측되며 절대 시각 등급은 +0.02이다. 다른 방향에서 볼 경우 절대 등급은 −0.138 이하가 될 것이다.[10]
돛자리 델타 B는 더 작은 주계열성으로, 질량은 약 1.4 M☉, 온도는 6,600 K, 반지름은 1.43 R☉, 복사 광도는 3.5 L☉이다.[7]
남극성
세차 운동으로 인해 서기 약 9000년경에는 남천구의 천구의 극이 돛자리 델타에 가까이 지나갈 것이다.[26]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