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라데어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라데어 또는 에데어(klei Êđê, 베트남어: tiếng Ê-đê 혹은 tiếng Ê Đê)는 베트남 남부에서 사용되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다. 캄보디아에도 몇몇 화자가 거주할 수도 있다. 참어군에 속하며, 베트남 중부에서 쓰이는 참어와 가깝다.[3]

간략 정보 사용 지역, 사용 민족 ...
Remove ads

방언

도안반푹(베트남어: Đoàn Văn Phúc)은 라데어를 9개 방언으로 분류하였다.[4] 대부분 베트남 중부 고원 지방 닥락성에서 쓰인다.

  1. 끄빠(Kpă): 부온마투옷에서 사용된다.
  2. 끄룽(Krung): 애아흘레오현끄롱낭현에서 사용되며, 몇몇 화자는 잘라이성에서 자라이족과 함께 살아간다.
  3. 아드함(Adham): 끄롱북현, 끄롱낭현, 애아흘레오현에서 사용된다.
  4. 끄뚤(Ktul): 끄롱봉현끄롱빡현 남부에서 사용된다.
  5. 드라오(Drao) 혹은 꺼드라오(Kơdrao): 므드락현 끄롱징(Krông Jing), 끄므따(Cư M'Ta), 애아뜨랑(Ea Trang) 마을에서 사용된다.
  6. 블로(Blô): 므드락현에서 소수가 사용한다.
  7. 에빤(Êpan): 므드락현에서 소수가 사용한다.
  8. 므드후르(Mdhur): 므드락현, 애아까르현에서 주로 사용되고 잘라이성과 푸옌성에서도 사용된다.
  9. 비흐(Bih): 끄롱아나현과 부온마투옷 남부에서 사용된다.

비흐어는 라데어의 방언이 아닌 다른 언어로 분류되기도 한다.[5] 응우옌땀은 2015년 비흐족 400명 중 비흐어를 구사할 수 있는 사람은 10명에 지나지 않다고 하였다.[6]

Remove ads

분류

도안반푹은 라데어 방언에 대해 다음과 같이 분류하였다.[4]

  • 1 구역
    • 1.1 구역: 끄룽, 끄빠, 아드함
    • 1.2 구역: 드라오, 에빤, 끄뚤
    • 블로 (1.1 구역, 1.2 구역, 므드후르가 섞인 상태)
  • 2 구역
    • 므드후르
    • 비흐

또한 도안반푹은 끄빠 방언과 다른 8개 방언간 관계성을 퍼센티지로 나타내었고, 비흐어가 가장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4]

  • 끄빠 – 끄룽: 85.5%
  • 끄빠 – 아드함: 82%
  • 끄빠 – 끄뚤: 82%
  • 끄빠 – 므드후르: 80%
  • 끄빠 – 블로: 82%
  • 끄빠 – 에빤: 85%
  • 끄빠 – 드라오: 81%
  • 끄빠 – 비흐: 73%

음운

라데어의 로마자 표기문자는 이탤릭체로 나타나있다.

모음

자세한 정보 전설, 중설 ...
  • 모음 /ɨ ɨː, ə əː/는 더 중설화된 후설모음 [ɯ̈ ɯ̈ː, ɤ̈ ɤ̈ː]로 나타날 수 있다.

자음

자세한 정보 양순음, 치경음 ...
  • /w/는 더욱 양순음화되어 [β̞]로 나타날 수도 있다.
  • 성문음 /wʔ, jʔ, jh/은 오직 단어의 끝에서만 나타난다.[7]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