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라 수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수학에서 1955년 이보 라(Ivo Lah)가 발견한 라 수(Lah number,라 숫자)는 상승 팩토리얼을 하강 팩토리얼들로 표현함에 있어서 나타내는 계수들의 출현과 관련있다.[1]

부호가없는 라수(Lah number)는 조합론에서 깊은 의미가 있다. 부호 없는 라 수에서 k가 공집합이 아니면서 순서로 정렬된 부분 집합으로 나뉠 수 있다. 라 숫자는 스털링 숫자와 관련이 있다.
생성 함수
요약
관점
부호없는 라수(Unsigned Lah numbers) (OEIS의 수열 A105278)
부호있는 라수(Signed Lah numbers) (OEIS의 수열 A008297)
이 계수들은 라 수의 테이블에서 3번째 값이다.
Remove ads
계수
요약
관점
- 상승 팩토리얼(상승 계승)은
- 하강 팩토리얼(하강 계승)은
그리고
이때,
Remove ads
라 수의 출현 테이블
같이 보기
참고
- (OEIS)A105278
- (OEIS)A008297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