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락샤드위프 제도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락샤드위프(영어: Lakshadweep, 말라얄람어: ലക്ഷദ്വീപ്, 디베히어: ލަކްޝަދީބު)는 라카디브 해와 아라비아해 사이에 위치한 인도의 연방 직할지이다. 북쪽의 아미니디비 제도, 중앙의 래카다이브 제도, 미니코이 환초의 세 지역으로 구분된다. 서쪽으로 아라비아해, 동쪽으로 래카다이브해와 접하며 인도 본토와는 220~440km 떨어진 지점에 위치해 있다.

제도 전체가 하나의 구로 지정되어 있으며, 행정 중심지는 카바라티이다. 인구는 60,595명(2001년 기준), 면적은 32km2이다. 해안선은 132km에 달하며 환초 내부의 석호 면적은 4,200km2, 영해의 면적은 20,000km2에 달한다. 섬의 이름은 산스크리트어로 '10만 개의 섬'을 뜻한다. 말라얄람어의 한 방언인 제세리어와 디베히어를 공용어로 사용한다. 지역경제는 어업과 농업이 주를 이룬다.
이곳에 사람이 살기 시작한 것은 기원전 1500년경의 일로 칼페니 환초의 발굴조사로 흔적이 드러났으며, 기원전 3세기 불교 설화집인 자타카와 타밀어계 상감 문학인 파티루파투 (Patirruppattu)에서 언급되고 있다. 기원전 3세기~기원후 3세기 상감 시대에 체라 왕조와 팔라바 왕조의 지배를 차례로 받았으며, 7세기에는 무슬림의 침공으로 이슬람교가 전래되었다. 11세기에는 촐라 왕국의 영향권에 들었으며 중동과 남아시아를 잇는 무역로의 한가운데에 자리했다. 15세기부터는 포르투갈 제국의 영향권에 잠시 들었다가 아라칼 왕국의 지배를 받았으며, 아라칼은 이후 칸누르를 지배하는 콜라티리의 봉신국이 되었다. 18세기 말에는 마이소르 왕국의 영향권에 들었다가 1799년 대영제국에 병합되었다. 1947년 인도의 독립과 함께 인도 자치령의 일부가 되었다가 1956년 연방직할지가 되어 지금에 이른다.
Remove ads
지리
미니코이를 제외한 락샤드위프의 모든 환초를 보여주는 위성지도
말리쿠 환초와 미니코이섬
락샤드위프는 총 36개의 섬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가운데 환초가 12개, 암초가 3개, 천퇴가 5개로 조사된다.[1][2] 락샤드위프의 총 면적은 32.62km²에 달하나 사람이 사는 섬은 10곳에 불과하다.[3] 서쪽으로는 아라비아해, 동쪽으로는 래카다이브해와 면해 있으며 인도 본토의 말라바르 해안에서 220~440km 떨어진 지점에 위치해 있다.[4][1]
락샤드위프는 총 3개군으로 구분되는데 북쪽의 아미니디비 제도, 동쪽의 래카다이브 제도, 남쪽의 미니코이로 나누어지며 아미니디비와 래카다이브 사이에는 북위 11도선이 지나간다.[5] 락샤드위프의 해안선은 132km, 환초 내부의 석호 면적은 4,200km², 영해의 면적은 20,000km², 배타적 경제 수역은 400,000km²에 달한다.[3]
행정구역상으로 락샤드위프는 연방직할지에 속하며, 인도 연방정부에서 행정관을 둔다.[6][7] 1956년에 설치되었으며 하나의 구 (district)로 이루어져 있다.[8][9] 연방직할지 청사는 코지코데에 두고 있으나 행정관 청사는 1964년 카라바티로 이전하였다.[10][11]
Remove ads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