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로하스파크역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로하스파크역(영어: LOHAS Park) 또는 홍싱역(중국어 정체자: 康城, 광둥어 예일: Hōngsìhng)은 홍콩 사이궁구의 신도시 정관오의 로하스파크 주택단지에 위치한 홍콩 지하철 정관오선의 역이다. 2009년 7월 26일에 개통하였다.
Remove ads
위치
로하스파크역은 신계 동남부 정관오의 제86지구에 위치한 로하스파크 주택단지에 지어진 역이다. 로하스파크는 MTR 주도로는 최대 규모인 32.08헥타르 면적의 부동산 개발 사업으로서, 타워 50동과 아파트 21,500가구, 약 45,000m² 규모의 소매단지를 개발한다. 1단계 분양은 2005년 1월 종료되었다. 광둥어 역명인 '홍싱'(康城)도 로하스파크를 일컫는 한자명이다.
로하스파크역은 MTR의 철도-부동산 (Rail + Property) 펀딩계획의 일환으로서, 빅토리아항 동쪽의 대규모 주택단지와 홍콩섬을 잇는 정관오선의 목표를 실현하려는 대중교통 지향 개발의 대상지에 해당된다. 한편 역 자체는 홍콩에서 가장 동쪽에 위치한 역으로서 바로 옆에는 정관오선의 차량기지가 자리해 있다.[1]
역사
건설 당시 로하스파크역은 정관오 뉴타운 지구의 남쪽에 위치한 역이라는 점에서 '정관오남역' (將軍澳南, Tseung Kwan O South)이라는 임시역명이 붙었다.[2]
2002년 정관오선 첫 개통 이래 한동안 미개통 상태로 남아 있었으나 2009년 7월 26일 정식으로 개업하였다. 이 역의 개업으로 정관오선은 두 개의 지선을 지니게 되었다. 기존의 북쪽 지선은 보람역 방면으로, 신규 남쪽 지선은 본 로하스파크역 방면으로 갈라지게 된다. 홍콩 지하철 체계에서 2지선을 운영중인 노선은 둥팃선에 이어 정관오선이 두번째 사례가 되었다.[3]
운행 논란
개통 이후 MTR은 지선 운행을 위해 4량에 한번씩 로하스파크행 열차를 편성하는 '3+1' 운행을 실시하였다.[4] 2014년 12월 8일부터는 출퇴근 시간대에 '2+1' 운행으로 변경하였으며, 비수기와 일요일에는 로하스파크와 티우겡렝을 오가는 셔틀 열차를 투입하였다. 이 때문에 일부 열차의 종착역은 노선의 중간역에 한하게 되었다.
MTR은 운행 간격을 10초 단축, 총 2.5분으로 단축하여 운행감소분을 메꾸는 효과를 얻었으나, 지역 주민과 승객들은 정관오선의 지선 자체로 열차운행이 지연되었다며 불편을 호소하였다. 이에 MTR은 정시율이 여전히 99.9%에 달한다고 밝혔다.[5]
Remove ads
역 구조
U3 상층 |
상층 | 출구 C, 로하스파크 방면 통로 |
U2 | 대합실 | 고객 서비스, MTR샵, 출구 B, 대중교통 환승센터 |
U1 승강장 |
승강장 1 | ← 정관오선 박곡 방면 (정관오) |
섬식 승강장, 왼쪽/오른쪽문 열림 | ||
승강장 2 | ← 정관오선 박곡 방면 (정관오) |
두 개의 승강장이 한 선로에 면하는 섬식 승강장 구조이다. 다른 지하철 역과 마찬가지로 승강장 내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6]
출입구
상층부(U3)
대합실(U2)
사진
- 로하스파크역 C번 출구
- 로하스파크역 대합실
- 1번 승강장
- 로하스파크역 B번 출구
- 로하스파크역 A번 출구 (2022년 3월 14일 폐쇄)
같이 보기
- 로하스파크
- 정관오
출처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