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리머런스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리머런스
Remove ads

리머런스(limerence)는 미친듯이 사랑에 빠지거나[1][2] 강렬하게 열광하는 정신 상태(mental state)로[3][4] 이때는 느낌의 상호작용이 불확실하다. 이 상태는 침투적 사고(intrusive thought)와 상대에 대한 이상화(idealization) 혹은 수정화(crystallization)를 특징으로 하며,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는데 필요한 상호작용(reciprocation)에 대한 욕구가 동반된다. 개인의 느낌이 보상되는지 여부에 따라 황홀감(ecstasy) 혹은 절망감(despair)이 동반된다.[5] 사랑의 생물학적 근거(biology of romantic love) 연구는 강렬한 로맨스(romantic love)의 초기 단계(혹은 열정적 사랑passionate love)는 탐닉(addiction)과 유사하다고 보지만, 최근 학계에서는 사랑 중독(love addiction)의 정의에 동일한 결론을 내리지 않는다.[6][7][8]

Thumb
큐피드의 키스로 환생한 프시케(Psyche Revived by Cupid's Kiss), 안토니오 카노바(Antonio Canova) 제1판 1787–1793

1977년 심리학자 도로시 테노브(Dorothy Tennov)는 다른 어원 없이 'amorance'라는 단어의 대용으로서 리머런스를 고안하였다.[9] 이 개념은 테노브가 500여 명의 사함들과 사랑이라는 화제에 관하여 인터뷰하였던 1960년대 그녀의 저서에서 나온 것으로, 원래는 Love and Limerence라는 저서로 출간되었다.[10][11][12][13] 테노브에 의하면, "리머런스 상태에 있는 것은 '사랑에 빠진 것'이라고 정의되는 것을 느끼는 것(to be in a state of limerence is to feel what is usually termed 'being in love')"이다.[14] 테노브는 다른 덜 압도적인 정서로부터 온 이런 상태를 명확히 하고 그것을 경험하지 않는 사람들은 사랑을 할 수 없다는 함의를 피하고자 이 용어를 고안하였다.[15][16] 테노브는 교수로서 심각한 상심과 개인적 위험을 겪은 자신의 포스트에 있는 사람들을 만난 뒤에 로맨틱 사랑을 연구하였다.[17][10]

테노브 등에 의하면, 리머런스는 강렬한 로맨틱 사랑,[18][9][19] 사랑에 빠지는 것,[20][21][22] 사랑 광기(love madness),[1][23][2] 강렬한 열병(infatuation),[4][24][22] 강박적 요소가 동반된 열정적 사랑(passionate love)[13][6][25] 혹은 상사병(lovesickness)으로 간주될 수 있다.[11][26][27] 리머런스와 강박적 사랑(obsessive love)은 유사하지만, 강박적 사랑은 소유적 행동(possessive behavior)과 자멸적 행동(self-defeating behavior)의 함의가 있다.[28][29] 또한 리머런스는 갈망(crush)과 비교되고 그것과 반대되는데, 리머런스는 더욱 강렬하며 일상의 기능에 더 많이 영향을 준다. "갈망이 당신의 삶을 장악하였을 때(when a crush has taken over your life)"이다.[30][31][32]

Love and Limerence는 로맨틱 사랑에 대한 영향력이 큰 저서로 불려왔으며, 테노브의 조사 결과와 다양한 개인적 이야기가 책이 기술되어 있어 이 현상에 대한 데이터 수집의 출발점이 된다.[6][33]

Remove ads

역사

테노브는 1960년대 중반에 사랑을 주제로 대상자 500명을 면담한 결과를, 1979년 책 《사랑과 리머런스: 사랑에 빠진 경험》으로 출판했다. 애착 이론에서는 “가장 격정적으로 감정이 북받치는 시기는 애착 관계가 형성, 유지, 붕괴 또는 재생되는 동안”이라고 강조한다. 리머런스 상태란 애착이 형성되는 동안 “성적 자극 동기의 의식적인 경험”, 인간적인 정서적 유대의 “강력한...짝 형성 단계” 동안 “성적 자극 동기에 대한 주관적인 경험의 한 종류” 로 가정했다.

구성요소

요약
관점

리머런스의 본 구성요소는 다음과 같다.[34]

  1. 열정적인 욕구를 보이는 성적 파트너가 될 수 있는 대상(리머런스 대상limerent object 혹은 LO)에 대한 침투적 사고(intrusive thinking about the object of your passionate desire (the limerent object or "LO"), who is a possible sexual partner)
  2. 상호호혜에 대한 상당한 욕구(acute longing for reciprocation)
  3. 상호호혜의 가능성이라는 관점에서 자기의 기분이 LO의 행동, 더욱 정확하게는 LO의 행동에 대한 자기의 해석에 의존함(dependency of mood on LO's actions or, more accurately, your interpretation of LO's actions with respect to the probability of reciprocation)
  4. 어느 한 시점에서 한 사람 이상에게 '리머런스하게' 반응하지 못함(리머런스가 초기에 저조하거나 마지막에 사라질 때만 기대가 발생)(inability to react limerently to more than one person at a time (exceptions occur only when limerence is at low ebb—early on or in the last fading))
  5. LO의 행동을 생생하게 상상함으로써 무보수적인 리머런스 열정으로부터 덧없는 일시적 안정감을 느끼는데 이를 상호호혜라 함(some fleeting and transient relief from unrequited limerent passion through vivid imagination of action by LO that means reciprocation)
  6. 거절에 대한 두려움, 그리고 LO가 있을 때 나타나는 수줍음이 항상 동요하게 만들며 때로는 무능력하게 만들기도 함, 특히 초창기에 그리고 불확실감이 몰려올 때 그러함(fear of rejection and sometimes incapacitating but always unsettling shyness in LO's presence, especially in the beginning and whenever uncertainty strikes)
  7. 불운을 통한 강화(최소 어느 정도)(intensification through adversity (at least, up to a point))
  8. 호의적으로 해석될 수 있는 어떤 행동이나 생각이나 조건에 대한 상당한 민감성, 그리고 무관심한 사람들이 보기에는 아무 감정없는 중립 상태라고 생각하는 것이 사실은 LO에 대한 숨겨둔 열정의 표시라는 것에 대한 이유에 대하여 "합리적인" 설명을 갖고 있거나 만들어 두는 특별한 능력(acute sensitivity to any act or thought or condition that can be interpreted favorably, and an extraordinary ability to devise or invent "reasonable" explanations for why the neutrality that the disinterested observer might see is in fact a sign of hidden passion in the LO)
  9. 불확실성이 강할 때 오는 "심장"(가슴 정중앙 앞부분 지역) 통증(an aching of the "heart" (a region in the center front of the chest) when uncertainty is strong)
  10. 상호호혜가 뚜렷할 때 느끼는 부양감(공중을 걷는 느낌)(buoyancy (a feeling of walking on air) when reciprocation seems evident)
  11. 다른 걱정을 뒤로 제쳐 두는 느낌의 강렬함(a general intensity of feeling that leaves other concerns in the background)
  12. LO에게 실제로 칭찬할 만한 것을 강조하고 부정적인 것을 깊이 생각하는 것을 피하는 능력, 심지어 부정적인 것에 대하여 연민을 갖고 반응하며 인식적으로 혹은 그렇지 않으면 정서적으로 그 부정적인 것을 다른 긍정적 속성으로 만드는 능력(a remarkable ability to emphasize what is truly admirable in LO and to avoid dwelling on the negative, even to respond with a compassion for the negative and render it, emotionally if not perceptually, into another positive attribute.)

Dorothy Tennov, Love and Limerence: The Experience of Being in Love

Remove ads

특징

리머런스란 개념은 사랑의 영역에 대한 의미를 세밀하게 분할하여, 사랑의 근원에 대한 과학적 접근을 할 수 있게 했다. 리머런스는 연애와 비슷한데, 서로 사로잡힌 감정에 대한 욕망으로 상대방에 대한 끓어 오르는 감정과 그 느낌에 대한 인지로 생각된다.

테노브에 따르면, ‘성적인 이끌림이 리머런스의 중요 요소다… ‘리머런스하다’(영어: limerent 리머런트[*])는 것은 성 상대로서의 필수 조건이다.’

외부 링크

같이 보기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