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강박적 사랑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강박적 사랑(obsessive love)은 한 사람을 소유하거나 통제하려는 강박적(obsessive) 혹은 강압적(compulsive) 시도를 특성으로 한다. 특히 강박적 사랑은 거절(rejection)에 의하여 촉발되거나 심지어 거절에 의하여 강화될 수 있다.[3] 또한 강박적 사랑은 일방향성(one-sidedness)과 거절당하는 접근 방식(repulsed approach)이라는 요소로 인하여, 낭만적 사랑(romantic love)과는 구분된다.[4] 무관심이나 파트너의 상실을 경험할 때 떠나보내지 못하는 강박적 사랑에 빠진 사람에게 거절은 "궁극적인 악몽(ultimate nightmare)"이다.[5] 강박적 사랑은 보통 무가치감(feelings of worthlessness), 자기 파괴적 행동(self-destructive behavior), 사회적 철수(social withdrawal)를 야기하지만, 일부 경우에는 열정(passion)을 쏟는 대상을 감시하거나 스토킹하거나 폭행을 저지르기도 한다.[3][6]

대다수 강박적인 스토커는 망상(delusion)은 없지만 피해자 즉 전 연인과의 특정 유형의 대인관계를 가졌으며, 성격장애(personality disorder)를 가지고 있다.[7][8]
Remove ads
비교
요약
관점
'강박적 사랑'이라는 단어는 다른 개념과도 비교될 수 있다.[9][4]
- 편집광(mania) 혹은 편집적 사랑(manic love) : 소유적 사랑(possessive love), 의존적 사랑(dependent love). 편집적 사랑을 하는 사람은 불안정한 성격에 시기심이 있으며, 사랑하는 상대로부터 안심시키기(reassurance)를 요구한다. 이들은 자신이 매료되는 사람이 누구인지 잘 모르기에 자신이 좋아하지 않는 사람과 사랑에 빠지기도 하며, 그들에게 현실에 맞지 않는 특성을 투사하기도 한다.[10][11] 다른 여러 사랑 유형 가운데, 편집광은 에로틱 사랑(erotic love) 혹은 미의 사랑(love of beauty)에 해당하는 에로스(eros)와 가장 밀접하게 비교된다. 에로스 사랑(eros love) 역시 사랑하는 사람에게 강렬하게 몰두하지만, 자기확신적(self-assured)이다. 이들은 이상형을 찾으며 보다 적절한 사람과 사랑에 빠지는 경향이 있다.[10][12][13]
- 열정적 사랑(passionate love) 혹은 열병(infatuation) : 대인관계 초기 단계에 빠지는 사랑 혹은 (짝사랑일 수도 있는) 관계가 발생하기 이전의 잠재적 파트너에게 빠지는 사랑 종류이다.[14][15][16] 열정적 사랑은 타인을 강렬하게 좋아하는 상태로, 침투적 사고(intrusive thinking), 불확실성, 기분 스윙(mood swing)을 특성으로 하는 강박적 요소를 갖는다.[14][17] 열정적 사랑은 동반자적 사랑(companionate love)과 반대된다. 동반자적 사랑은 발전에 비교적 많은 시간이 필요하지만 정서나 유대의 느낌은 더욱 온화하다.[14][15] 열정적 사랑은 보다 정확한 다른 분류들을 요약하고 이어주는 광범위한 개념이지만, 동시에 (함께 묶을 때 열정적 사랑과 대강 연관되는 에로스 사랑과 편집적 사랑을 구분하는 것과 같은) 세밀한 구분을 무시한다.[18][14][17][19]
- 리머런스(limerence) : 사랑 광증(love madness) 혹은 모든 것을 흡수하는 열정적인 사랑(all-absorbing infatuated love) (열정적 사랑과 비교 가능)은 닿을 수 없는 사람에게서 흔하게 나타난다.[20][21][9][22] 리머런스는 많은 시간을 사랑하는 대상(이를 리머런스 대상limerent object라 함)을 공상하는데 보내는 "인지적 강박 조건(a condition of cognitive obsession)"이라 한다. 로미오와 줄리엣이 서로에게 느낀 사랑의 종류이다.[23][21] 리머런스는 일상 기능과 정신 건강에 영향을 줄 수 있다.[24] 용어의 고안자 도로시 테노프(Dorothy Tennov)에 의하면, 리머런스는 정상 상태로서 바라보아야 하며, 폭력이나 자살과 같은 비극은 리머런스가 다른 조건에 의해 "증강되고 왜곡될(augmented and distorted)" 때에만 발생한다.[25][26] 리머런스는 보통 무보상적(unrequited)이지만 (끝내기 어려울 수 있는 상사병lovesickness을 일으킴), 상호 교환이 가능하다.[21][27][28] 테노프에 의하면, 로미오와 줄리엣처럼 상호 리머런스(mutual limerence)의 경우, 상호 몰입을 가로막는 장벽이 반드시 있다.[29]
- 사랑 중독(love addiction) : 심각한 정신적 고통(distress)과 부정적 결과를 야기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문제를 일으키는 열정 추구를 특성으로 하는 사랑 관계가 수반되는 것으로, 장애(disorder)로 봐야한다고 주장되고 있다.[30][31] 최근 학계에서는 사랑이 중독일 때 혹은 사랑이 치료되어야 할 때를 동의하지 않는다.[32]
- 강박적 사랑 장애(Obsessive love disorder) : 인터넷에서 흔히 발견되지만 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 편람(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에는 없는 비공식적 진단명.[33][34]
Remove ads
심리학
요약
관점
강박적 사랑의 문제는 지나치게 강렬하게 사랑하는 문제라기 보다, 거절에 대한 분노(anger) 혹은 유기(abandonment)를 느끼는 문제이다.[35] 수잔 포워드(Susan Forward)는 자신의 실무 경험에서 강박적 사랑을 앓고 있는 때를 규명하는데 도움을 주는 네 가지 조건을 발견하였다.[36]
- 이들은 실제 연인 혹은 연인이 되기를 바라는 사람에게 고통스러우면서도 모든 것을 쏟아붓는(all-consuming) 몰입을 보인다.
- 이들은 자신의 강박 대상을 소유하거나 대상에게 소유되기를 바라는 만족하지 못하는 욕구(insatiable longing)를 가지고 있다.
- 이들의 대상은 과거에 이들을 거절한 적이 있거나, 신체적 혹은 정서적으로 이들이 이용할 수 없는(unavailable) 상태이다.
- 대상의 이용불가능성 혹은 대상이 표하는 거절로 이들은 자멸적(self-defeating)으로 행동한다.
— Susan Forward, Obsessive Love: When It Hurts Too Much to Let Go
강박적 사랑은 불안 애착 유형(anxious attachment style)과 관련 있을 수 있다.[37] 편집적 사랑은 애착 불안과 연관 있으며, 또한 성격 특질 신경증(personality trait neuroticism)과도 상관이 있다.[38][39] 열정적 사랑 척도(Passionate Love Scale)는 강박이 동반된 열정적 사랑은 단기적 관계에서 보이는 관계 만족과 연관있지만, 시간이 지나면 약간의 만족 저하와 연관을 보인다.[17]
열정의 이중 모델(dualistic model of passion)에서, 열정의 두 유형 간에 구분이 지어져 있다. 하나는 긍정적이고 통제에 놓여 있다는 느낌을 받는 조화로운 열정(harmonious passion), 그리고 통제 상실을 느끼고 삶에 방해를 가져다 주는 강박적 열정(obsessive passion)이 있다. 이는 사랑 유형(love styles)의 에로스(조화로운)과 편집광(강박적)의 차이를 떠오르게 한다. 한 연구에서는 조화로운 로맨틱한 열정은 안정 애착(secure attachment)과 강하게 (정적으로) 상관성을 보이며, 강박적 로맨틱한 열정은 불안 애착과 적정한 정도로 (정적으로) 상관성을 보인다는 것을 밝혔다. 또한 강박적 열정은 대인관계에 있어 비난, 경멸, 방어(defensiveness)와 같은 부적응적인(maladaptive) 갈등 해결 전략과도 관련있다고 본다.[40]
Remove ads
문화적 참조
고대 그리스는 강박적 사랑을 '신들로부터 온 광기'라는 뜻의 "테이아 마니아(theia mania)"라고 불렀고, 그리스 신화에서는 아폴로와 다프네(Apollo and Daphne) 같은 이야기에서 이를 설명하고 있다.[10][41]
강박적 사랑은 영화 'Fatal Attraction'과 'Play Misty for Me', 그리고 소설 'Wuthering Heights'에 묘사되어 있다.[42]
같이 보기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