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리처드 롭슨 (화학자)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리처드 롭슨(Richard Robson, FAA FRS , 1937년 6월 4일 ~ )은 잉글랜드와 오스트레일리아의 화학자이자 멜버른 대학교의 화학 교수이다.[1] 롭슨은 배위 고분자, 특히 금속 유기 골격체를 전문으로 한다.[2] "전이 금속을 포함하는 결정 공학의 선구자"로 평가받는다.[3][4] 2025년, 금속 유기 골격체의 개발로 기타가와 스스무오마르 M. 야기와 함께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다.[5][6]

간략 정보 출생, 국적 ...
Remove ads

어린 시절과 교육

롭슨은 1937년 6월 4일 잉글랜드, 웨스트요크셔주 (현재 노스요크셔주)의 글루스번에서 태어났다.[7][8] 브레이스노스 칼리지, 옥스퍼드에서 화학을 전공했으며,[9] 1959년에 BA 학위를, 1962년에 DPhil 학위를 취득했다.[10][7] 다이슨 페린스 연구소에서 J.A. 바틀롭의 지도 아래 수행된 그의 박사 연구는 유기 분자의 광화학에 중점을 두었다.[11][12]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 (1962–64)와 스탠퍼드 대학교 (1964–65)에서 박사후 연구를 수행했으며, 1966년에 멜버른 대학교 화학 강사직을 수락하여 남은 경력을 보냈다.[10]

연구

리처드 롭슨의 획기적인 연구는 배위 고분자, 특히 무한한 고분자 골격—나중에 금속 유기 골격체 (MOF)로 명명된—분야에서 기초 원리를 확립했다.[2][13] 이 분야에 대한 그의 관심은 1974년 1학년 화학 강의를 위해 결정 구조의 큰 나무 모델을 제작하면서 생겼다.[14]

1990년대에 롭슨은 현대 화학 분야 전체의 기반이 된 새로운 종류의 배위 고분자를 만들었다.[15] 그의 혁신적인 접근 방식은 사면체 기하학을 선호하는 구리(I)를 맞춤형으로 설계된 테트라니트릴 유기 링커와 조합하여 사용했다.[15] 이 방법은 다이아몬드와 같은 구조를 가지면서도 골격 내에 상당한, 공학적으로 설계된 빈 공간을 가진 결정질 스캐폴드를 생산했다.[15]

영예와 수상

롭슨은 1998년 호주 왕립 화학 연구소 무기화학 부문에서 버로스 상을 수상했으며, 2000년에는 호주 과학 아카데미 펠로우로 선출되었다.[16] 2022년에는 왕립학회 회원으로 선출되었다.[17]

주요 출판물

Remove ads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