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에서 마든 정리(영어: Marden's theorem)는 복소수 3차 다항식의 두 임계점이 세 영점이 이루는 삼각형에 세 변의 중점에서 내접하는 타원의 초점이라는 정리이다. 삼각형과 그 슈타이너 내접 타원. 검은색 점은 3차 다항식 p(z)의 영점, 빨간 점은 도함수 p'(z)의 영점, 가운데 연두색 점은 이계 도함수 p''(z)의 영점, 나머지 세 연두색 점은 삼각형의 변의 중점을 나타낸다. 마든 정리에 따르면, 빨간 점은 연두색 타원의 두 초점이다. 정의 주어진 삼각형의 세 변의 중점을 지나는 내접 타원은 항상 유일하게 존재한다. 이를 삼각형의 슈타이너 내접 타원이라고 한다. 복소수 3차 다항식 p ( z ) ∈ C [ z ] {\displaystyle p(z)\in \mathbb {C} [z]} 의 영점을 a , b , c {\displaystyle a,b,c} , 임계점을 f , f ′ {\displaystyle f,f'} 라고 하자. 또한, a , b , c {\displaystyle a,b,c} 가 공선점이 아니라고 하자. 그렇다면, f , f ′ {\displaystyle f,f'} 는 a , b , c {\displaystyle a,b,c} 를 꼭짓점으로 하는 삼각형의 슈타이너 내접 타원의 두 초점이다. 이를 마든 정리라고 한다. Remove ads증명요약관점 편의상 p ( z ) {\displaystyle p(z)} 가 일계수 다항식이며, a + b + c = 0 {\displaystyle a+b+c=0} 이라고 하자.[1] 그렇다면, f + f ′ = 0 {\displaystyle f+f'=0} 이며, p ( z ) {\displaystyle p(z)} 와 도함수 p ′ ( z ) {\displaystyle p'(z)} 는 다음과 같다. p ( z ) = ( z − a ) ( z − b ) ( z − c ) {\displaystyle p(z)=(z-a)(z-b)(z-c)} p ′ ( z ) = 3 ( z + f ) ( z − f ) = ( z − a ) ( z − b ) + ( 2 z − ( a + b ) ) ( z − c ) {\displaystyle p'(z)=3(z+f)(z-f)=(z-a)(z-b)+(2z-(a+b))(z-c)} 한 변의 중점 z ′ = ( a + b ) / 2 {\displaystyle z'=(a+b)/2} 와 두 초점 − f , f {\displaystyle -f,f} 사이의 거리의 합 | z ′ + f | + | z ′ − f | {\displaystyle |z'+f|+|z'-f|} 을 생각하자. 이를 평행사변형 법칙을 사용하여 구하면 다음과 같다. 2 ( | z ′ + f | + | z ′ − f | ) 2 {\displaystyle 2(|z'+f|+|z'-f|)^{2}} = 2 | z ′ + f | 2 + 2 | z ′ − f | 2 + 4 | ( z ′ + f ) ( z ′ − f ) | {\displaystyle =2|z'+f|^{2}+2|z'-f|^{2}+4|(z'+f)(z'-f)|} = 4 | z ′ | 2 + 4 | f | 2 + 1 3 | a − b | 2 {\displaystyle =4|z'|^{2}+4|f|^{2}+{\frac {1}{3}}|a-b|^{2}} (평행사변형 법칙 및 p ′ ( z ′ ) = − ( ( a − b ) / 2 ) 2 {\displaystyle p'(z')=-((a-b)/2)^{2}} ) = | a + b | 2 + 4 | f | 2 + 1 3 | a − b | 2 {\displaystyle =|a+b|^{2}+4|f|^{2}+{\frac {1}{3}}|a-b|^{2}} = 2 3 | a + b | 2 + 2 3 ( | a | 2 + | b | 2 ) + 4 | f | 2 {\displaystyle ={\frac {2}{3}}|a+b|^{2}+{\frac {2}{3}}(|a|^{2}+|b|^{2})+4|f|^{2}} (평행사변형 법칙) = 2 3 ( | a | 2 + | b | 2 + | c | 2 ) + 4 | f | 2 {\displaystyle ={\frac {2}{3}}(|a|^{2}+|b|^{2}+|c|^{2})+4|f|^{2}} ( a + b = − c {\displaystyle a+b=-c} ) 즉, 변의 중점과 − f , f {\displaystyle -f,f} 사이의 거리의 합은 변의 선택과 무관하다. 따라서, − f , f {\displaystyle -f,f} 는 a , b , c {\displaystyle a,b,c} 를 꼭짓점으로 하는 삼각형의 슈타이너 내접 타원의 초점이다. Remove ads역사 이외르크 지베크(독일어: Jörg Siebeck)가 증명하였다. 모리스 마든(영어: Morris Marden)의 이름을 따 명명되었다. 같이 보기 가우스-뤼카 정리 각주Loading content...Loading related searches...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