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Mind Games

존 레논의 음반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Mind Games
Remove ads

Mind Games》는 영국의 음악가 존 레논의 세 번째 솔로 스튜디오 음반이다. 1973년 여름 뉴욕레코드 플랜트에서 녹음되었으며, 같은 해 10월 29일, 미국에서, 11월 16일, 영국에서 각각 발매되었다. 이 음반은 레논이 필 스펙터의 도움 없이 처음으로 직접 프로듀싱한 작품이다. 이전 음반인 정치적 주제를 담고 다소 과격했던 《Some Time in New York City》와 마찬가지로, 《Mind Games》 역시 발매 당시 엇갈린 평가를 받았다. 이 음반은 영국에서 13위, 미국에서 9위를 기록했으며, 양국 모두에서 골드 인증을 받았다.

간략 정보 존 레논의 정규 음반, 발매일 ...
자세한 정보 평가 점수, 출처 ...

이 음반은 레논이 미국 이민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었고, 오노 요코와의 18개월간 별거를 시작하던 시기에 녹음되었다.[10] 타이틀 곡은 음반과 동시에 싱글로 발매되었다. 《Mind Games》는 1970년대와 1980년대에 걸쳐 여러 차례 재발매되었으며, 2024년에는 확장판 슈퍼 디럭스 박스 세트로 다시 발매되었다.

Remove ads

배경

1973년 초, 존 레논은 지난 18개월 동안 받아들였던 정치적, 사회적 문제들로부터 거리를 두기 시작했다.[11] 이 시기 레논과 아내 오노 요코는 부부 관계에 문제를 겪고 있었으며, 오노는 자신의 네 번째 음반 《Feeling the Space》를 완성 중이었다.[11][12] 레논은 자신도 새 음반을 녹음하고 싶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고, 오노의 음반을 위해 보조이자 프로덕션 코디네이터인 메이 팡이 섭외한 스튜디오 세션 음악가들을 마음에 들어 했다.[11] 이후 그는 팡에게 자신을 위해도 이들을 섭외해 달라고 요청했다.[13] 이전의 정치색이 강했던 상업적 실패작 《Some Time in New York City》보다 더 대중적으로 받아들여질 음반을 만들고 싶었던 레논은, 그리니치빌리지에 있는 자신의 아파트에서 《Mind Games》를 위한 몇 곡의 노래를 작곡하고 데모 녹음을 시작했다.[11] 이는 약 1년 가까이 곡을 쓰지 않던 기간 이후의 일이었다.[12]

미국에 체류하기 위한 법정 출석이 잦아지는 가운데, 레논은 극심한 스트레스를 겪었다.[11] 그의 정치적 활동으로 인해 FBI의 지속적인 감시까지 더해지며[11][12][14], 상황은 더욱 악화되었다.[11] 레논은 "전화 도청하고 따라다니니까, 아무것도 할 수 없었어요. 편집증처럼 돼버렸죠."라고 말한 바 있다.[15] 이러한 모든 상황 속에서 레논은 점차 정서적으로 위축되기 시작했다.[15] 그럼에도 그는 고통을 잠시 뒤로하고 《Mind Games》의 곡들을 쓰기 시작했고, 음반 수록곡 전부를 단 일주일 만에 완성했다.[16]

Remove ads

녹음 및 콘텐츠

레논은 《Mind Games》에서 데이비드 스피노자(베이스), 마이클 브렉커(섹스폰), 스니키 피트(페달 스틸 기타), 릭 마로타(드럼) 등 뉴욕의 일류 유명 세션 연주자들과 함께 작업했다. 그리고 이것은 결과적으로 "현대 음악"(Contemporary Music)으로서의 완성도 높은 음반을 만들어 내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1973년 말, 록 문화는 절정에 달해 있었다. 극도로 치열한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서 레논은 자신을 확실하게 부각시켜야 했으며, 이에 새 뮤지션들과 함께 생동감과 지성미 넘치는 곡들을 만들어야 했다. 서정적이면서도 선율이 풍부한 곡들을 수록하고 있는 《Mind Games》는 《Imagine》의 후속작이라고도 볼 수 있으며 언더그라운드 냄새를 풍기고 있다.[17]

표지 및 속지

레논이 직접 디자인 한 음반 커버 앞면에서는 요코와의 별거를 암시하는 듯, 산 만한 크기의 요코의 형상이 그늘을 드리우는 황야에서 레논 홀로 여행가방을 들고 서 있는 모습이 표현되어 있다.[17]

이너 슬리브에 삽입된 "누토피아 선언"(Declaration Of Nutopia)에서는 존과 요코가 자신들이 거주하고 있는 뉴욕 다코타 아파트, 즉 누토피아 대사관에서 새로운 국가의 설립을 선언하고 있다. 그 날짜가 크리스마스 다음으로 전 세계인이 함께 즐기는 기념일인 4월 1일, 즉 만우절이라고 하는 농담이 담겨져 있기는 하지만 말이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우리는 개념의 나라, '누토피아'의 탄생을 선언하노라. 당신이 누토피아를 알기만 하면 이 나라의 시민권을 얻을 수 있다. 누토피아에는 영토도 없고 경계도 없으며 여권도 필요없다. 오직 사람들만 있을 뿐이다. 누토피아는 조화 이외의 어떤 법률도 없다. 누토피아의 모든 사람들은 이 나라의 대사들이다. 누토피아의 대사로서 우리 두 사람은 외교적 면책 특권과 국제연합의 인정을 요청하는 바이다." 누토피아에서의 국기는 흰 손수건, 누토피아에서의 국가는 〈Nutopian International Anthem〉(누토피아 국제 찬가)이다.

곡 목록

다음 곡들은 존 레논에 의해 작사/작곡하였다.

자세한 정보 #, 제목 ...
자세한 정보 #, 제목 ...

참여 인원

다음은 음반 부클릿과 RYM으로부터 발췌한 것이다.[18][19]

  • 존 레논 – 프로듀서, 편곡, 보컬(리드, 하모니, 백킹), 기타(리듬, 슬라이드, 어쿠스틱), 클라비코드, 퍼쿠션, 커버 아트
  • 더 플라스틱 유.에프. 오노 밴드 - 연주
  • 케네스 아셔 – 피아노, 파몬드 오르간, 멜로트론
  • 데이비드 스피노자 – 리드 기타
  • 고든 에드워즈 – 베이스
  • 짐 켈트너 – 드럼
  • 릭 마로타 – "Bring on the Lucie"와 "Meat City"에서 짐 켈트너와 함께 드럼
  • 마이클 베커 – 색스폰
  • 스니키 피트 클레이노우 – 페달 스틸 기타
  • 섬싱 디퍼런트 – 백킹 보컬
  • 닥터 윈스턴 오부기 & 로스 파라노이아스 - 퍼쿠션, 기타, 클라비넷
  • 로이 치깔라, 댄 바르비에로– 엔지니어
  • 톰 랩스타넥 – 마스터링

인증

자세한 정보 국가, 인증 ...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