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Walls and Bridges
존 레논의 음반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Walls and Bridges》는 영국의 음악가 존 레논의 네 번째 솔로 스튜디오 음반이다. 이 음반은 1974년 9월 26일, 미국에서, 10월 4일, 영국에서 애플 레코드를 통해 발매되었다. 오노 요코와의 18개월간 별거 기간 동안 쓰여지고, 녹음되고, 발매된 이 음반은 레논의 "잃어버린 주말" 중간 시기의 모습을 담고 있다. 《Walls and Bridges》는 미국에서 《빌보드》와 《레코드 월드》 차트 모두에서 1위를 기록했으며[10], 〈Whatever Gets You thru the Night〉와 〈#9 Dream〉 두 개의 히트 싱글을 포함하고 있다. 이 중 첫 번째 곡은 레논이 솔로 아티스트로서 미국에서 처음으로 1위를 차지한 곡이며, 생애 동안 미국이나 영국에서 유일하게 차트 1위를 기록한 솔로 싱글이다.
이 음반은 영국에서 실버 인증을, 미국에서 골드 인증을 받았다.
Remove ads
배경
1973년 6월, 레논이 《Mind Games》를 녹음하려던 즈음, 오노 요코는 레논에게 별거를 제안했다.[11] 곧 레논은 오노의 격려 아래 그들의 개인 비서였던 메이 팡과 함께 캘리포니아로 떠났고, 두 사람은 18개월간의 관계를 시작했으며[12], 레논은 이 시기를 훗날 "잃어버린 주말"이라고 회상하게 된다.[13] 레논과 팡이 로스앤젤레스에 머무는 동안[14], 레논은 2년 동안 보지 못했던 아들 줄리언과 다시 가까워질 기회를 가졌다.[15]
레논은 원래 프로듀서 필 스펙터와 함께 로큰롤 고전 곡들로 구성된 음반을 녹음할 계획이었으나[16], 이 세션은 음악보다는 술에 취한 난동으로 유명해졌다.[17] 이후 레논과 팡은 뉴욕으로 돌아왔고, 스펙터는 세션 테이프를 가지고 자취를 감추었다.[17] 이 무렵 레논은 피에르 호텔에 머무르며 여러 곡을 새로 작곡했고, 몇몇 곡은 자택에서 데모로 녹음하기 시작했다.[17][18]
Remove ads
녹음
레논은 1974년 6월, 뉴욕의 레코드 플랜트에서 스튜디오 뮤지션들과 함께 그의 신곡들을 리허설하기 시작했는데[19], 여기에는 드럼의 짐 켈트너, 베이스 기타의 클라우스 부어만, 기타의 제시 에드 데이비스, 퍼커션의 아서 젠킨스가 포함되었다.[20] 이 핵심 연주자들은 음반에서 플라스틱 오노 뉴클리어 밴드로 소개되었으며, 이는 많은 레논의 솔로 작업에 이름이 올라간 개념적 그룹 플라스틱 오노 밴드의 변형이다.[20]
뮤지션들은 짧은 시간 안에 자신들만의 편곡을 만들어 냈고, 녹음은 빠르게 진행되었다.[21] 리틀 빅 혼스의 색소폰 연주자 론 아프레아는 "그는 편곡에 대한 정식 교육을 받지 않았기 때문에, 조절실에 앉아 우리가 각자 파트를 만들도록 내버려 뒀다. 그가 우리가 연주하는 것을 좋아하면 알려주었다... 우리가 더 잘할 수 있을 것 같으면 '해 봐'라고 말했다"고 말했다.[21] 아프레아는 또한 브라스 섹션이 2주에 걸쳐 녹음되었다고 덧붙였다.[21] 레논은 나중에 "개인적으로 대단한 한 해였다. 내가 뭔가를 만들어낼 수 있었다는 것이 거의 놀랍다. 하지만 《Walls and Bridges》를 만드는 것은 즐거웠고, 스튜디오에 들어가서 전부 해낼 수 있어서 어렵지 않았다. 모든 것이 그냥 엉망이 되지 않아서 놀랐다"고 말했다.[16] 리허설 녹음은 사후에 발매된 음반 《Menlove Ave.》와 《John Lennon Anthology》에 수록되었다.[21]
Remove ads
곡 목록
모든 곡들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존 레논에 의해 작사/작곡하였다.
참여 인원
다음은 음반 부클릿으로부터 발췌한 것이다.[20]
- 존 레논 – 프로듀서, 편곡, 보컬(리드, 하모니, & 백그라운드), 기타(리드, 리듬, 어코스틱), 피아노, 휘파람, 퍼쿠션
- 플라스틱 누클리어 밴드
- 켄 에이셔 – 일렉트릭 피아노, 클라비넷, 메로트론
- 짐 켈트너 – 드럼
- 아서 젠킨스 - 퍼쿠션
- 닉키 홉킨스 – 피아노
- 클라우스 부어만 – 베이스
- 바비 키즈 – 테너 색스폰
- 론 애프리아 - 테너 색스폰
- 제시 이디 데이비스 – 어코스틱 기타, 리드 기타
- 에디 모타우 – 어코스틱 기타
- 추가 인원
- 스트링스 & 브라스 뮤지션들 from 뉴욕 필하모닉 – 편곡/지휘 by 켄 에이셔.
- 리틀 빅 혼스 – 론 애프리아 (알토 색스폰), 바비 키즈 (테너 색스폰), 프랭크 비카리 (테너 색스폰), 하워드 존슨 (바리톤 & 베이스 색스폰) and 스티브 마다이오 (트럼펫).
- 줄리안 레논 – 드럼 "Ya Ya".
- 엘튼 존 – 피아노 & 하모니 보컬 "Whatever Gets you thru the Night" and 하몬드 오르간 & 백그라운드 보컬 "Surprise, Surprise (Sweet Bird of Paradox)"
- 해리 닐슨 – 백킹 보컬 "Old Dirt Road".
- The 44th Street Fairies: 조이 담브라, 로리 버튼, 메이 팡 – 백그라운드 보컬 "#9 Dream".
- 샐리 야쿠스 – 엔지니어
- 지미 아이오빈 – 오버덥 엔지니어
- 로이 치깔라 – 리믹스 엔지니어
- 메이 팡 – 프로덕션 코디네이터
- 로이 코하라 – 아트 디렉션
- 밥 그루엔 – 포토그라피
Remove ads
차트
Remove ads
인증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