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데이터가 주어졌다고 하자.
- 위상 공간

- 위상군

그렇다면, 올이
이고 밑이
인 주다발은 다음과 같은 데이터로 주어진다.
- 올이
인 올다발 
- 연속 오른쪽 작용

이 데이터는 다음 두 조건을 만족시켜야 한다.
- 모든
,
에 대하여,
. 즉, 각
에 대하여,
는 올
위에 작용한다.
- 임의의
에 대하여, 만약
이라면,
인
가 유일하게 존재한다. 즉, 임의의
에 대하여, 오른쪽 작용
는 정추이적 작용이다. 여기서
는
위의
의 올이다.
두 조건 가운데 첫째 조건은 다음과 같은 가환 그림으로 표현된다.

두 조건 가운데 둘째 조건은 다음과 같은 가환 그림으로 표현된다.
- !}\uparrow \scriptstyle \exists !\!\!\!\!&{\!\!\!\!\color {White}^{\cdot }}\searrow ^{\cdot }\!\!\!\!\\P&{\xleftarrow {p}}&\bullet &{\xrightarrow {p'}}&P\\&{_{\pi }}\searrow {\color {White}_{\pi }}&&{\color {White}_{\pi }}\swarrow {_{\pi }}\\&&X\end{matrix}}}

만약
가 리 군이며,
와
가 매끄러운 다양체이며,
가 매끄러운 함수이며,
의 작용
역시 매끄러운 함수라면
를 매끄러운 주다발(-主-, 영어: smooth principal bundle)이라고 한다.
주다발 사상
다음과 같은 데이터가 주어졌다고 하자.
- 두 위상 공간
, 
- 위상군
와 
-주다발
, 
이 두 주다발 사이의 주다발 사상(영어: principal bundle morphism)
는 다음과 같은 데이터로 구성된다.[1]:§1
- 연속 함수

- 연속 함수

- 연속 군 준동형

이 데이터는 다음 조건을 만족시켜야 한다.


즉, 다음 가환 그림이 성립해야 한다.
![{\displaystyle {\begin{matrix}P\times G&{\xrightarrow {(\Phi ,\phi )}}&Q\times H\\{\scriptstyle \cdot }\downarrow {\scriptstyle \color {White}\cdot }&&{\scriptstyle \color {White}\cdot }\downarrow \scriptstyle \cdot \\P&{\xrightarrow {\Phi }}&Q\\{\scriptstyle \pi _{P}}\downarrow {\scriptstyle \color {White}{\pi _{P}}}&&{\scriptstyle \color {White}{\pi _{Q}}}\downarrow {\scriptstyle \pi _{Q}}\\X&{\xrightarrow[{f}]{}}&Y\end{matrix}}}](//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1c75c47fab6163c795d94f8b586a8c2b4e0b5d19)
주다발 사상
에서, 만약
이며,
가 항등 함수이며,
가 단사 함수라면 (즉, 부분군의 포함 사상이라면)
를 구조군 축소(構造群縮小, 영어: reduction of structure group)라고 한다.
주연장
다음 데이터가 주어졌다고 하자.
차원 매끄러운 다양체 
- 리 군

위의 매끄러운
-주다발 
- 자연수 (음이 아닌 정수)

그렇다면, 다음과 같은,
위의 올다발을 정의할 수 있다.

여기서
은
위의
차 틀다발이다. 이는
위의 주다발이며, 그 올군은
차
차원 제트 군
이다.
는
위의
차 제트 다발이다. 이는
위의 벡터 다발이다.
은
위의 두 올다발의 곱이다.
즉, 국소적으로
의 점은 다음과 같은 꼴이다.

여기서
은 단사 매끄러운 함수이며,
은 열린집합이며,
역시 열린집합이다.
는
의,
에서의
차 제트이다.
는
의 단면이다.
이는
위의 주다발을 이룬다. 그 올군은

이다. 여기서

이며, 그 군 연산은 다음과 같다.

이 군은
위에 다음과 같이 오른쪽에서 작용한다.

이를
의
차 주연장(主延長, 영어: principal prolongation)이라고 한다.[2]:150–151, §15.3[3]:Definition 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