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맵시 쿼크

물리학의 기본 입자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맵시 쿼크
Remove ads

맵시 쿼크(charm quark 참 쿼크[*], 기호: c)는 기본 입자인 쿼크 중 세 번째로 무거우며, 쿼크로 이루어진 강입자에서 발견된다. 맵시 쿼크를 지니는 강입자로는 J/ψ 중간자(
J/ψ
), D 중간자 (
D
), 맵시 시그마 중입자 (
Σ
c
), 그리고 다른 맵시 입자들이 있다.

간략 정보 구성, 통계 ...

기묘 쿼크와 함께 물질 2세대를 이루며, 전하는 +2/3 e이고 정지 질량은 1.29+0.05
−0.11
 GeV/c2
이다.[1] 다른 쿼크와 마찬가지로, 맵시 쿼크는 스핀1/2기본 페르미온이며, 4가지의 기본 상호작용의 영향을 받는다:중력, 전자기력, 약한 상호작용, 강한 상호작용. 맵시 쿼크의 반입자는 맵시 쿼크에서 전하와 같은 일부 특성이 크기는 같고 부호가 반대맵시 반쿼크(종종 반 맵시 쿼크라고도 불린다)이다.

네 번째 쿼크의 존재는 1964년 경에 많은 저자들(예를 들면 제임스 비오르켄셸던 글래쇼[4])에 의해 추측되었지만, 대부분은 1970년에 셸던 글래쇼, 이오아니스 일리오풀로스, 그리고 루치아노 마이아니가 제안했다(GIM 메커니즘 참고).[5] 첫 번째로 발견된 맵시 입자(맵시 쿼크를 지니는 입자)는 J/ψ 중간자이다. 이 입자는 버턴 릭터가 이끄는 스탠퍼드 선형 가속기 센터(SLAC)의 연구진[6]새뮤얼 차오 충 팅이 이끄는 브룩헤이븐 국립 연구소(BNL)의 연구진이 발견하였다.[7]

1974년
J/ψ
(과 맵시 쿼크)의 발견은 11월 혁명이라 알려진 일련의 돌파를 이루었다.


Remove ads

맵시 쿼크를 지니는 강입자

아래의 강입자들은 맵시 쿼크를 지니고 있다:

  • D 중간자는 맵시 쿼크(혹은 그 반입자)와 위 쿼크 또는 아래 쿼크를 지닌다.

  • D
    s
    중간자는 맵시 쿼크와 기묘 쿼크를 지닌다.
  • 쿼코늄 상태가 많다: 예를 들면
    J/ψ
    가 있다. 이는 맵시 쿼크와 그 반쿼크로 이루어진다.
  • 맵시 중입자도 존재하며, 기묘 중입자와 대응되도록 명명되었다. (예:
    Λ+
    c
    )

같이 보기

각주

추가 문헌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