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면소판결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면소판결(免訴判決)이란 형사사건에서 실체적 소송조건이 결여된 경우에 선고하는 판결을 뜻한다. 유죄·무죄의 실체판결과 구분되며 실체적 소송조건의 흠결을 이유로 소송을 종결한다는 차이를 가지고 있다.

자세한 정보 형사소송법, 이념과 구조 ...
Remove ads

사유

  • 확정판결이 있을 때
  • 사면이 있을 때
  • 공소시효가 완성되었을 때
  • 범죄 후의 법령개폐로 형이 폐지되었을 때

판례

  • 피고인에게는 실체 판결청구권이 없는 것이므로 면소판결에 대하여 무죄의 실체판결을 구하여 상소를 할 수는 없는 것이다.[1]
  • 폐지 또는 실효된 형벌 관련 법령이 당초부터 위헌·무효인 경우 그 법령을 적용하여 공소가 제기된 피고사건에 대하여 법원이 취하여야 할 조치(=무죄의 선고) 및 이 경우 면소를 선고한 판결에 대하여 상소가 가능하다[2]

각주

같이 보기

참고 문헌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