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모로비리국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모로비리국
Remove ads

모로비리국(牟盧卑離國)은 고대 한반도에 존재했던 국가로 마한의 54소국 중 하나이다.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에 있었다. 백제 때는 모량부리현(牟良夫里縣)이라 불렀고, 통일신라시대 경덕왕 때부터는 고창현이라고 불려, 지금의 전라북도 고창군까지 이어진다. 4세기경에 전라도 부근의 다른 소국들과 함께 백제에 흡수되었다고 여겨진다.

간략 정보 모로비리국, 기타 ...

지명

모로비리국(牟盧卑離國)의 '모로(당시 발음 mora~mura)'는 마을을 뜻하는 일본어 '무라'와 동계어로 보는 견해[1], 산의 순우리말인 '뫼'의 고형으로 보는 견해[2]가 있다.

모로비리의 '비리(卑離)'는 백제, 신라에서 '벌판(후대에 성으로 의미가 확장됨)'을 뜻하는 지명 접미사인 부리(夫里)·벌(伐/火)과 동계어라는 견해가 국내외 언어학계의 통설이다.[3] 한편 순우리말 지명 중 '벼랑'을 뜻하는 어휘로 중세어 '비레', '비러', '비례', '별ㅎ', 현대어 '비리', '빌', '별', '베리' 등이 확인되기에 이와 관련지어 해석할 여지도 있다.[4] 다만 마한 소국명의 '卑離'를 벼랑으로 해석한 학자는 아직 존재하지 않는다.

학계의 견해에 따르면 국명의 의미는 '마을 벌판' 또는 '산 벌판' 정도로 해석할 수 있다.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