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목씨 (백제)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목씨(木氏)는 백제의 성씨이자 백제의 유력 가문인 대성팔족 중 하나이다. 본래는 목협(木劦)씨이거나 같은 성씨일 가능성도 존재한다.
이들은 주로 백제 내에서 고위직을 얻었으며 정치, 군사적으로 큰 영향력을 행사했다.[1][2]
백제 말기인 의자왕 때는 왕족 중심의로 국정을 운영하자 이들은 중앙귀족으로서의 지위를 상실하고 결국 지방세력으로 전락하게 되었다.[3]
상세
목씨 세력은 근초고왕의 가야 원정 때 처음 등장하여 세력기반을 다지게 되었으며, 구이신왕대에는 왕모(王母)와 연결되면서 목만치가 국정을 장악하면서 두각을 나타내게 되었다. 그리고 개로왕의 왕권강화에도 크게 기여하였다. 이는 웅진 천도 시 목리만치가 문주왕을 보좌하고 있는 것을 볼 때 이해될 수 있다.[4]
일본서기에 등장하는 목리미순(木刕眯淳)은 군신회의에 참여하기에 앞서 안라회의에도 참가하였으며, 목리금돈(木刕今敦)은 가야 문제로 왜에 파견되기도 하였다. 즉, 목씨 세력은 가야 및 왜와 관련하여 실질적인 업무를 도맡던 것으로 보인다.[5]
목지국(目支國)의 '목(目)'과 '목(木)'의 음이 상통하며, '기(支)'는 '성(城)'이나 '읍(邑)'을 뜻하므로 '벌․평야․성'을 의미하는 '라(羅)'와 상통하므로 '목지(目支)'와 '목라(木羅)'를 동의어로 해석하고, 고대사회에서 국명이 때로는 왕실의 성으로도 사용된 예를 들어 목씨를 목지국의 왕성(王姓)으로 보는 견해가 있다.[6]
목씨 세력의 재지기반을 영산강 일대로 비정하고 나주 회진에 집성촌을 이루고 있는 나주 임씨를 백제가 멸망한 후 목(木)과 글자가 비슷한 임(林)씨로 개성한 목(木)씨들의 후손으로 추정하는 견해가 있다.[7]
목협만치가 일본으로 건너가서 5세기에서 6세기에 걸쳐 최고위 귀족으로 위세를 떨친 소가 씨(蘇我氏)의 시조가 되었다는 견해가 있다.[8][9]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