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대성팔족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대성팔족(大姓八族)이란 백제에 있었던 8가지 권세 있는 성씨를 말한다. 중국의 역사서인 《수서》(隋書)는 백제의 대성팔족으로 다음 8가지 성을 기록하고 있다.[1]
사씨(沙氏)ㆍ연씨(燕氏)ㆍ리씨(刕氏)[2]ㆍ해씨(解氏) ㆍ정씨(貞氏)[3]ㆍ국씨(國氏) ㆍ목씨(木氏) ㆍ 백씨(苩氏)
《북사(北史)》와 《통전(通典)》 등에는 정씨(貞氏) 대신 진씨(眞氏)가 기록되어 있는데, 《삼국사기》에는 정씨 인물이 전혀 보이지 않는 점을 들어 대개 貞은 眞의 오기인 것으로 본다.
《신당서(新唐書》)에는 리씨(刕氏)가 협씨(劦氏)로 기록되어 있는데, 비슷한 모양으로 인한 오사로 본다.
청나라 건륭제 때 편찬한 《만주원류고》에서는 백제의 대성팔족 중 백씨(苩氏)를 묘씨(苗氏)로 기록하고 있는데,[4] 한자로 백(苩)과 묘(苗) 글자가 비슷한 모양이어서 잘못 기록한 것으로 보인다.
백제 왕실이 북위의 8성 제정을 참고한 것으로 보이며, 일본의 8색성 제정까지 이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백제의 대성팔족, 북위 8성 제정, 일본의 8색성 모두 다양한 성씨 집단의 통제와 왕권 강화의 측면을 위해 제정한 것으로 볼 수 있다.
Remove ads
성씨별 주요 인물
- 사씨(沙氏): 사사노궤(沙沙奴跪)[5], 사백(沙白), 사두(沙豆), 사약사(沙若思), 사법명(沙法名), 사오(沙烏), 사택기루(沙宅己婁), 사걸(沙乞), 사택적덕(沙宅積德), 사택지적(砂宅智積) 사타상여(沙咤相如), 사택소명(沙宅紹明).
- 연씨(燕氏): 연신(燕信), 연돌(燕突), 연모(燕謨), 연회(燕會), 연비선나(燕比善那), 연문진(燕文進)
- 해씨(解氏): 해루(解婁), 해충(解忠), 해명(解明), 해구(解仇), 해수(解須).
- 진씨(眞氏): 진정(眞淨), 진로(眞老), 진가모(眞嘉謨), 진무(眞武), 진가(眞可), 진충(眞忠), 진회(眞會), 진남(眞男), 진물(眞勿), 진고도(眞高道).
- 국씨(國氏): 국사리(國沙利)[6][7], 국수다(國雖多), 국지모(國智牟), 국변성(國辨成), 국골부(國骨富).
- 목씨(木氏): 목간나(木干那), 목만치(木滿致), 목라근자(木羅斤資).
- 백씨(苩氏): 백가(苩加), 백기(苩奇), 백가(白加), 백매순(白昧淳).
- *예씨(禰氏)[8] : 예군(禰軍), 예식진(禰寔進).
Remove ads
대성팔족 활동양상[9]
한성기
웅진기
사비기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