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무라오카 하나코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무라오카 하나코
Remove ads

무라오카 하나코 (村岡 花子, 1893년 (메이지 26년) 6월 21일 ~ 1968년 (쇼와 43년) 10월 25일)는 일본번역가, 아동문학가, 아동문학에서 유명한 몽고메리의 많은 작품과, 엘레나 포터, 올컷 등의 작품의 번역을 담당했다. 기독교문필가협회 (현 일본크리스천 펜클럽) 초대회장 (재임 1952년 (쇼와 27년) 6월 ~ 1958년 (쇼와 33년) 10월)을 맡았다.

간략 정보 무라오카 하나코, 작가 정보 ...
Remove ads

생애

요약
관점

성장기

야마나시현 코후시의 안나카 잇페이 · 테츠 부부의 장녀로 태어났다. 본명은 무라오카 하나(村岡 はな, 결혼 전 성 : 안나카 (安中)이다.

크리스천인 아버지의 희망에 의해, 2살에 캐나다 감리교의 코후교회에서 코바야시 코우타이 목사로부터 유아세례를 받는다. 아버지인 잇페이는 슨푸 (현 시즈오카시)의 작은 차(茶)상인의 집에서 태어나, 차(茶)를 팔러 행상을 돌던 중에, 캐나다 감리교회에 출입하게 되어, 열성적인 크리스천이 된다. 포교를 하던 도중, 코후로 옮겨와 살게 되었고, 그곳에서 만난 테츠와 결혼하여 그녀의 친정에서 살게된다. 교회 교류로 새로운 문화의 영향을 받은 잇페이는 영리한 큰 딸 하나에게 과잉 기대를 걸었다.

Thumb
코후교회 초대교회당.<br/>1892년 (메이지 25년) 무렵 촬영. 당시의 소재지 : 코후시 사쿠라쵸 (현 코후시 츄오2쵸메)

상식에 얽매이지 않고, 장사도 팽개친 채 이상을 추구하는 잇페이는 처가나 친척들과 실랑이가 끊이지 않자, 하나가 5살 때 연을 끊고, 일가족이 상경해 미나미시나가와에서 엽차가게를 운영하게 된다. 죠난진죠소학교에 다니게 된 하나는, 심상풍경을 단가로 표현하고, 구작을 지어 읊으며 즐기는 어린 시절을 보냈다. 그 무렵, 사회주의 활동에 참가한 잇페이는 특히 교육의 기회균등을 호소하며, 딸의 재능을 키우기 위해, 분주히 움직여서 1903년 (메이지 36년), 학교 창설자와의 신앙상 연결 덕분에, 10살의 하나를 토요에이와여학교에 급비생으로 편입학 할 수 있게 하였다. 한편, 사족 생활은 궁핍해, 8남매 중 높은 교육을 받은 사람은 맏딸인 하나 뿐이고, 나머지 동생은 둘째 딸과, 셋째 딸을 남겨두고 모두 입양 아니면 다른 가게나 다른 집의 봉양 등으로 집을 나갔다. 하나의 입학은, 동생들의 희생으로 이루어졌다.

여학교 입학 이후

토요에이와여학교에서 캐나다인 I.S.블랙모어 선교사로부터 영어를 배워, 기숙사감 카모 레이코로부터 훈도를 받는 한편, 다이쇼 3미인 중 한명인 후의 뱌쿠렌 사건을 일으키는 동급생 야나기와라 아키코의 소개로 사사키 노부츠나의 「죽백회」에 들어가, 만엽집 등 일본의 고전문학을 배운다. 이때부터 필명인 「안나카 하나코 (安中花子)」를 쓰게 된다. 같은 학교 고등과 재학 중에 아일랜드 문학의 번역가 마츠무라 미네코 (가인, 필명 : 카타야마 히로코, 아쿠타가와 류노스케의 만년(晩年의 연인)의 권유로 동화를 집필. 모리 오가이 번역의 안데르센즉흥시인』에 감동하여, 번역가의 꿈을 갖는다. 1910년, 부인교풍회를 통해 부인 문제를 언급해 『부인신보』 등에 게재하고 편집도 맡았다.

1914년, 토요에이와여학교 고등부를 졸업하자, 블랙모어 교장의 배려로, 기숙사에 남아 여성 선교사들에게 일본어를 가르치면서, 일본 기독교부인교풍회 서기 일과, 영문학 연구를 계속하였다.

1916년경부터, 동화나 소녀소설을 『소녀화보』에 집필, 1917년 일본 기독교흥문협회의 첫번째 책 『로베』를 출간한다.

이것을 계기로 교사직은 그만두고, 도쿄 · 긴자의 기독교 도서 출판사인 일본 기독교흥문교회 (후에 교문관에 합병)에 여성용 · 어린이를 위한 잡지의 편집자로써 근무했다. 복음인쇄 합자회사의 경영자이자 기혼자였던 무라오카 케이조와 만나 불륜 끝에 1919년에 결혼, 이때부터 무라오카의 성을 따랐다. 1920년, 장남이 태어났지만 1926년에 병으로 요절했다. 이 일을 계기로 영어 아동문학 번역하고 소개하는 길로 들어섰다. 1927년, 카타야마 히로코의 권유에 의해 마크 트웨인The Prince and the Pauper (번역 : 왕자와 거지)』를 번역하여, 평범사에서 간행했다. 1928년에는 여성 문학자에 의한 동인 문예지 『火の鳥(불새)』의 창간 멤버가 되었다. 1930년, 『팔레아나의 성장 (후에 『팔레아나의 청춘』으로 바꿈)』을 번역하고 출판하였다.

1932년부터 1941년 11월까지 JOAK의 라디오 프로그램 『어린이 시간』의 한 코너인 『어린이의 신문』에 출연, 「라디오 아줌마」로서 인기를 얻어, 관객과 만담가가 그녀의 흉내를 낼 정도였다. 이 무렵, 번역 작품을 스스로 낭독한 SP레코드를 몇개 발매했다.


2차 세계대전 중에는 대정익찬회가 후원하는 대동아문학자대회에 참가하는 등, 전쟁 수행에 협조적인 자세를 취했다. 또한 이치카와 후사에의 권유로 부선획득동맹에 참가해, 부인 참정권 획득 운동에 협력하였다, 하지만 혼외자에 대한 법적 차별 철폐에는 반대했다. 그 외, 문부성 촉탁이나 행정 감찰 위원회 위원, 여류 문학자 협회 의사, 공명 선거 연맹 이사, 가정문고 연구회 회장, 기독교 문화 협회 부인부 위원 등을 역임했다. 1960년 아동문학에 대한 공헌으로 인수포장을 받는다. 1968년 뇌혈전으로 사망했다.

장남 미치오의 병사 후, 안타깝게도 그녀는 더 이상 아이를 낳지 못하게 되어, 그녀의 직계후손은 존재하지 않는다. 나중에 여동생의 우메코의 장녀 미도리 (1932년생)을 양녀로 삼는다. 미도리의 딸로, 하나코의 의붓손녀에 해당하는 무라오카 미에, 무라오카 에리는 모두 빨간머리 앤 기념관 · 무라오카 하나코 문고를 주재하고 있었다. (자료는 토요에이와에 기증되어 폐관. 2015년 이후, 토요에이와여학원 본부 · 대학원동 1층에 있는 「무라오카 하나코 문고 전시 코너」에 있다.)

기독교인으로서는 일본조합기독교회 오모리 메구미교회 (현 일본기독교단)의 회원으로 교회를 다녔다. 게다가 영어 찬송가를 번역했다. 일본 기독교단의 1954년 찬송가에도 2곡 (7번 『主のみいつとみさかえとを』, 277번 『わがたまをいつくしみて』)이 수록되어있다.

몽고메리와 무라오카

무라오카와 몽고메리의 만남은 일본을 떠나는 선교사 미스 쇼에게 전해진 『빨간머리 앤』의 원서인 1908년 겨울판이었다. 이 만남은 1939년의 일로, 무라오카는 등화관제 아래 번역을 계속하다가 종전 무렵에야 번역을 마쳤고, 1952년 미사카쇼보에서 출판한 『빨간머리 앤』은 일본 독자들에게도 널리 받아들여졌다. 무라오카는 이후 앤 시리즈, 에밀리 시리즈, 언덕집의 제인, 과수원 세레나데, 팻 아가씨 등 몽고메리의 작품을 차례대로 번역했다. 무라오카의 마지막 번역작인 『에밀리가 원하는 것(エミリーの求めるもの)』은 그녀가 죽은 후, 1969년 출간되었다.

약력

자세한 정보 년도, 내용 ...
Remove ads

저역서

요약
관점
자세한 정보 제목, 원작가 ...
자세한 정보 제목, 출판년도 ...

일본 국립국회도서관 디지털 컬렉션에서 읽을 수 있는 책이 있다.

자세한 정보 제목, 출판년도 ...
Remove ads

관련 작품

  • 하나코가 보낸 선물 낭독 : 무라오카 하나코 (2014년 4월 16일 발매, 유니버설 뮤직)
    • UICZ-4301- SP레코드로 발매되었던 무라오카의 낭독을 모아 21세기에 발매된 CD

관련 드라마

  • 하나코와 앤 (NHK 연속 텔레비전 소설 / 2014년 상반기)
    • 무라오카 하나코의 생애를 기록한 서적 「앤의 요람 (저자 : 무라오카 에리)」를 원작으로, 나카조노 미호가 각본을 다룬 작품.
    • 히로인 무라오카 하나코를 요시타카 유리코가 연기했다.

같이 보기

  • 무라오카 케이조 (村岡敬三) : 하나코의 남편
  • 무라오카 히토시 (村岡斎) : 케이지의 동생. 하나코의 도련님. 형과 함께 인쇄회사를 경영, 관동대지진 때 사망.
  • 무라오카 헤이키치 (村岡平吉) : 하나코의 장인. 성경 인쇄를 통해 알려져 「바이블의 무라오카씨」라고 불린다. 1898년 복음인쇄합자회사 설립
  • 무라오카 미도리 (村岡みどり) : 하나코의 양녀 (하나코의 여동생의 딸). 번역가이자 가인(歌人)
  • 무라오카 미에 (村岡美枝) : 하나코의 손녀 (실제로는 의붓손자이자 큰조카). 번역가 · 영미 문학가. 앤 시리즈 마지막 권 『앤의 추억의 날들 (원제 : The Blythes Are Quoted)』을 번역
  • 무라오카 에리 (村岡恵理) : 하나코의 손녀 (실제로는 의붓손자이자 조카). 미에의 여동생. 작가. 저서 『앤의 요람-무라오카 하나코의 생애-』는 앞에서 서술한 『하나코와 앤』의 원안이 된다. 미에와 함께 빨간머리 앤 기념관 · 무라오카 하나코 문고를 주재.
  • 무라오카 노조미 (村岡希美) : 하나코의 조카손자 (케이조의 동생의 손자). 여배우. 앞에서 서술한 『하나코와 앤』에도 나옴
  • 야나기와라 뱌쿠렌 (柳原白蓮) : 토요에이와여학교 재학시절 동창. 하나코의 마음의 벗으로 여겨진다.
  • 이자벨라 블랙모어 : 토요에이와여학교 재학시절 교장. 하나코가 훈도를 받음.
  • 카모 레이코 (加茂令子) : 토요에이와 재학시절 기숙사 사감. 재봉 교사
  • 사사키 노부츠나 (佐佐木信綱) : 하나코의 고전문학 스승
  • 히로오카 아사코 (広岡浅子) : 히로오카가 고텐바 · 니노오카에서 개최한 하기 스터디 그룹에, 야마나시 에이와여학교 교사 시절의 하나코가 1916년부터 참가. 하나코가 작가의 길에 뜻을 두는 계기가 되었다고 여겨짐.
  • 카타야마 히로코 (片山廣子, 마츠무라 미네코 (松村みね子) : 하나코에게 동화 집필과 『왕자와 거지』 번역을 권유.
  • 야마무로 군페이 (山室軍平) : 구세군 일본 사령관. 하나코가 케이지와 만나게 되는 계기가 된 『모세가 수학 세시국』의 번역을 의뢰. 그 후, 하나코는 구세군 전도 집회에도 게스트로 불려가기도 했다.
  • 헬렌 켈러 : 일본 방문 시 하나코가 통역을 맡음.
  • 코이케 키코우 (小池喜孝) : 전 미카사 서방 편집자. 빨간 머리 앤의 일본명 『赤毛のアン』이라고 명명한 사람.
  • 나카무라 사키코 (中村佐喜子) : 카도카와 문고판 『빨간 머리 앤』의 역자. 하나코 버전의 신초문고판과 대등한 스테디셀러가 됨.
  • 쿠마이 아이코 (熊井明子) : 하나코가 「붉은 머리 앤」시리즈의 「앤의 친구」 중에서 「잡향」이라고 번역한 「포푸리」를 일본에 소개
  • 어린이의 시간 : 전쟁 전의 NHK 어린이 보도 프로그램. 전후 같은 목적의 프로그램인 「주간 어린이 뉴스」와의 사이에 직접적인 연결은 없다.
  • 미치오 문고 라이브러리 - 하나코가 창설한 일본 최초의 가정도서관. 미치오는 하나코의 요절한 아들 이름.
  • 빨간머리 앤 기념관 · 무라오카 하나코 문고 : 오오모리의 자택 터에 개설된 문학과
  • 아키야마 치에코 (秋山ちえ子) : '라디오 아줌마'의 후계자. 하나코의 1년 후에 NHK 출연을 개시해, TBS 라디오로 옮겨 오랜 세월 방송을 담당.
Remove ads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