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무성 후치경 파찰음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무성 후치경 파찰음(無聲 後齒莖 破擦音) 또는 무성 후치경 폐찰음(無聲 後齒莖 閉擦音)은 윗니의 잇몸 뒤쪽에 둔 뒤, 혀가 떨어진 순간에 혀와 잇몸 뒷면 사이에 있는 틈새로 숨을 쉼으로써 생기는 호흡의 마찰에 의해 조음되는 파찰음의 무성음이다.

국제 음성 기호
국제 음성 기호로는 t͡ʃ로 표기한다.
발음의 예
이 발음의 한글 표기
이 발음의 한글 표기는 홀소리 앞에서 ㅊ, 닿소리 앞 및 어말에서는 '치'다.
특이 사항
Henry Rogers의 저서 《The Sounds of Language: An Introduction to Phonetics(한국어판: 언의의 소리)》, Routledge, 2000년의 한국어판 표지에 이 발음 기호가 그려져 있다.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