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하우사어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하우사어는 하우사인의 언어로 주로 나이지리아 북부에서 니제르 남쪽에 걸쳐서 쓰인다. 아프리카아시아어족의 차드어파에 속한다.
Remove ads
문자
로마자
현대 하우사어는 영국 식민통치의 영향으로 1930년대부터 로마자에 근거한 문자를 쓰고 있다. 이 표기법은 보코(하우사어: bōkṑ)라고 불리며, 공식 정서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문자 ƴ는 니제르에서만 사용되고 있다. 나이지리아에서는 ʼy가 ƴ대신에 사용되고 있다. 성조, 모음의 장단, 및 r과 ɽ의 구별(모든 화자가 구별하는 것은 아니다.)은 표기에는 나타내지 않는다.
아랍 문자
19세기부터 하우사어를 위해 변형한 아랍 문자, 아자미(ajami)를 사용했다.
Remove ads
음운
닿소리
홀소리
겹홀소리로는 ai, au, iu, ui 4개가 있다.
성조
하우사어에는 세 개의 성조, 즉 저조·고조·하강조가 있다.[3] 성조를 나타내는데 프랑스어의 발음 구별 기호가 쓰인다.
- à è ì ò ù (저조)
- á é í ó ú (고조)
- â ê î ô û (하강조)
Remove ads
문법
- 자리아(Zaria)와 바우치(Bauchi) 방언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에서는 남성과 여성 2개의 문법성이 있다.
- 명사는 접사가 붙는 형태에 따라 20개로 나뉜다.
- 인칭대명사는 체계가 복잡하다.
- 인칭은 1인칭, 2인칭, 3인칭, 부정칭 4개가 있고, 여기에 1~3인칭 모두 단·복수에 따라 달라지며, 2·3인칭 단수는 성에 따라 달라진다.
- 시제로는 완료상, 진행상, 가정(假定)상, 미래상, 부정(不定) 미래상, 습관상 6개가 있으며, 여기에 가정상에는 부정(否定)형, 관련형, 소유 부정(否定)형에 따라 달라지고 나머지는 일반형과 부정(否定)형에 따라 달라진다.
- 동사는 7개로 나뉜다.
한국어 서적
- 장태상, 《하우사어 문법》,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2012년 2월 28일
같이 보기
참고 자료
- Ɓ
각주
참고 문헌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