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무흘구곡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무흘구곡
Remove ads

무흘구곡(武屹九曲)은 대한민국 성주군 금수강산면김천시 증산면에 걸쳐 있는 35 km 길이의 계곡으로 물이 아홉번 굽어진다 하여 경상북도 성주군의 대가천 계곡에 1~4곡이, 김천시에 5~9곡이 있다.

간략 정보 종목, 참고 ...

개요

무흘구곡은 조선의 학자인 한강(寒岡) 정구가 약 35 km에 이르는 맑은 물과 기암괴석의 절경을 보고 읊은 시의 배경이 된다. 정구와 그 후예들이 대가천의 계곡을 오르내리며 한시를 지어 절경을 노래했던 곳으로, 9곡의 굽이마다 이름을 지어 의미를 부여하고 상징화하였다.

지질

영남 육괴 내에 있는 무흘구곡의 지질은 우백질 화강편마암과 반상변정 편마암으로 구성된다. 무학정은 메타텍틱편마암, 선바위는 우백질 화강편마암, 성주 사인암은 반상변정 편마암에 해당한다. 성주 사인암에서는 밝은색의 반상변정 편마암을 관입한 어두운색의 염기성 암맥이 관찰된다.

구곡

제1곡 봉비암

제2곡 한강대

제3곡 무학정과 배바위

무흘구곡 제3곡 무학정(舞鶴亭)은 주변 산수의 경관이 빼어난 곳에 있으며 정자 밑의 바위(지질학적으로 메타텍틱편마암에 해당)는 생김새가 배[船] 모양과 같아서 또는 옛날 대가천을 오르내리는 배들을 이곳에 매어두었다 하여 일명 배바위[船巖]라 불린다.

제4곡 선바위

제5곡 사인암

고려 시대의 관리가 이곳의 경치가 매우 아름다워 관인(官印)을 버리고 이곳과 영원히 인연을 맺고 살기를 원했다고 하여 사인암(捨印巖; 도장을 버림)이라 한다. 이곳에는 선캄브리아기 반상변정 편마암과 이를 관입한 암회색의 염기성 암맥이 관찰된다.

사진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