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미상꽃차례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미상꽃차례, 유이꽃차례, 유이화서(葇荑花序, catkin 또는 ament), 미상화서(尾狀花序)는 눈에 띄지 않거나 꽃잎이 없는 가늘고 원통형의 꽃차례(즉, 이삭)로, 주로 바람에 의해 수분(풍매화)되지만 때로는 곤충에 의해 수분되기도 한다(버드나무의 경우). 대개 단성 꽃이 많으며, 종종 아래로 처지는 중앙 줄기를 따라 빽빽하게 배열되어 있다. 미상꽃차례는 자작나무과, 참나무과, 뽕나무과, 버드나무과를 포함한 많은 식물 과에서 발견된다.

발생
미상꽃차례를 맺는 식물에는 자작나무, 버드나무, 사시나무, 히코리, 밤나무, 스위트펀 (Comptonia) 등 많은 나무나 관목이 있다.
이들 식물 중 상당수에서는 수꽃만 미상꽃차례를 형성하고 암꽃은 단일(개암나무, 참나무), 구과(오리나무) 또는 다른 형태(뽕나무)를 띤다. Corylus jacquemontii는 수꽃차례와 암꽃차례를 모두 가지고 있다.[1] 다른 식물(사시나무 등)에서는 수꽃과 암꽃 모두 미상꽃차례로 피어난다. 은백양은 회색의 수꽃차례와 회록색의 암꽃차례를 가지고 있다.[2]
미상꽃차례의 개화 시기는 기후변화 및 위도와 같은 요인으로 인해 달라질 수 있지만, 일반적인 시기는 다음과 같다: 개암나무 미상꽃차례는 1월에서 3월, 오리나무 미상꽃차례는 2월에서 3월, 은자작나무 미상꽃차례는 3월에서 5월, 참나무 미상꽃차례는 4월에서 5월, 흰버드나무 미상꽃차례는 4월에서 5월에 개화한다.[3]
영국에서는 많은 나무가 겨울 동안 벌거벗은 상태인 1월이나 2월에 미상꽃차례를 볼 수 있다. 심지어 12월에도 나타날 수 있다.[4]
Remove ads
진화
한동안 미상꽃차례는 Amentiferae(문자 그대로 미상꽃차례를 맺는 식물)로도 알려진 제안된 Hamamelididae 사이의 핵심 공통파생형질로 여겨졌다. 분자 계통 발생 연구에 따르면 Hamamelididae는 현재 다계통군으로 여겨진다.[5][6] 이는 미상꽃차례 꽃 배열이 수렴 진화를 통해 참나무목과 버드나무과에서 적어도 두 번 독립적으로 발생했음을 시사한다.[7] 이러한 수렴 진화는 조상의 꽃차례 특징이 무엇이었을지, 그리고 이 두 계통에서 미상꽃차례가 어떻게 진화했는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한다.
어원

catkin이라는 단어는 "새끼 고양이"를 의미하는 중세 네덜란드어 katteken에서 유래한 외래어이다(독일어 Kätzchen과 비교). 이 이름은 길쭉한 미상꽃차례가 새끼 고양이의 꼬리를 닮았거나, 일부 미상꽃차례에서 발견되는 가는 털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8][9] Ament는 "끈" 또는 "띠"를 의미하는 라틴어 amentum에서 유래했다.[10]
갤러리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