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민영 방송
민간 언론 사업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민영 방송(民營放送, 영어: Commercial Broadcasting)은 민간단체나 민간사업체가 운영하는 방송이다. 국가가 운영하는 국영 방송이나 공공기업체 등이 운영하는 공영 방송과 대비된다.
![]() | 현재 이 문서는 주로 일부 국가에 한정된 내용만을 다루고 있습니다. (2011년 4월) |
보통의 민영 방송은 상업적 광고방송을 겸하는 경우가 많아 '상업 방송'이라고도 칭하나, 몇몇 민영 방송은 공공 목적으로 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상업 방송'과는 개념이 다르다.
민영 방송은 주로 1920년대 미국에서부터 발전하였으며 현재 미국의 방송은 거의 민영 방송이다. 그리고 민영 방송은 주 수입원이 광고 방송을 통해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민영 방송은 방송전파라는 공공재를 영리적 목적에 이용한다는 점과 과도한 상업주의의 끝을 달린다는 지적이 많은 편이다. 그리하여 최근의 민영 방송들은 표면적으로나마 공공성을 중요하게 여기는 편이다.
민영 방송의 형태는 주로 선진국이나 신흥 공업국에서 많이 발달하는 편인데, 이는 개발도상국이나 후진국에서는 전파의 부족이라든지 지리적 여건 등이 허락이 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선진국이나 신흥 공업국에서도 민영방송만이 그 자리를 채우지는 않는다. 앞서 말했듯이, 민영 방송의 폐단 그리고 국가기간방송의 필요성 등으로 인해 대부분은 공영 방송과 민영 방송을 병존시키는 형태를 띤다.
Remove ads
대한민국의 민영방송
요약
관점
최초의 민영방송
대한민국의 최초의 민영방송은 CBS기독교방송으로, 1954년 12월 15일에 개국하였다. 상업목적의 최초의 민영방송은 HLKZ-TV이며 1956년 5월 12일에 개국하였다. 상업목적 최초의 민영라디오방송은 문화방송(현재 사명은 부산문화방송)으로 1959년 4월 15일에 개국했다.
민영방송의 발전과 흐름
60·70년대 민영방송의 발전
1963년 4월 25일 동아방송(DBS)이, 1964년 5월 9일 라디오서울(RSB)이 개국하면서 빠른 속도로 민영 라디오방송국이 늘어나기 시작했고, 그 해 12월 7일 동양TV(D-TV)가 대한민국 최초의 민영TV 방송국으로 개국했다. 이후 1965년 6월 26일 서울FM(1966년 3월 동양방송이 인수하여 TBC FM으로 개칭)이 최초의 FM 방송국으로 개국했고, 1966년 7월 16일 RSB(TBC RADIO), D-TV(TBC TV), 서울FM(TBC FM)이 중앙일보와 합병, 주식회사 중앙일보·동양방송으로 출범하면서 동양방송(TBC)은 최초의 민영 종합방송국이 되었다. MBC도 1969년 8월 8일 MBC TV를, 1971년 9월 19일 MBC FM을 개국했고, 1974년 경향신문과 합병, 주식회사 경향신문·문화방송으로 출범한다.
1980년 언론 통폐합
민영방송의 부활
SBS 중심의 민영 상업 방송 네트워크 구축
1990년 6월 14일 정부는 수도권 지역을 키 스테이션(가시청권)으로 하는 민영 TV 방송[1]을 허용, 10월 31일 태영[2]이 대주주에 선정되었고, 11월 14일 서울방송(SBS)으로 발족했다. 그리고 SBS 라디오가 1991년 3월 20일에 개국했고, 그 해 12월 9일 SBS TV가 개국해 동양방송 폐국 이후 11년만의 민영 상업 방송으로 출범했다. PSB 부산방송(현 KNN), TBC, kbc, TJB 등[3] 지역 민영방송국이 1995년 5월 14일에 SBS와 방송 네트워크 협정을 체결하고 속속 개국하기 시작했다. 흔히 1995년에 개국한 지역 민영방송을 1차 지역 민방, 1997년에 개국한 민영방송을 2차 지역 민방으로 구분하고 있다. 그러나 이후에 개국한 민영방송은 워낙 시기가 벌어져있고 그 숫자도 적은지라, 따로 차수를 붙이지는 않는다. 한편 SBS를 중심으로 한 전국 네트워크 구축은 강원도 권역, 제주특별자치도 지역 민영방송사인 GTB(현 G1방송), JIBS를 끝으로 2002년 5월 31일에 최종적으로 완료되었으며 사내 웹메일을 @sbs.co.kr로 통일해야 한다.
독립(비네트워크) 민영방송의 등장
한편 1997년에 개국한 2차 지역민방 가운데, 인천지역을 중심으로 한 경인방송(iTV, 개국 당시 인천방송)이 같은해 10월 11일에 개국하였다. 이는 1990년대 이후 어떠한 네트워크에도 가입하지 않은 첫 독립 TV민영방송으로써, 경쟁상대인 SBS에 비하여 상당히 불리한 조건을 가지고 있었음에도 대표적인 독립 민영방송사로써 자리매김해왔다.
1990년대 말 박찬호의 메이저 리그 경기 중계권을 독점적으로 획득한 것을 계기로 방송권역을 기존의 인천지역에서 경기남부지역까지 확장하는 등 전성기를 누렸으나, 이후 2004년 대주주 동양제철화학의 방송사의 경영개선 이행의 거부등을 이유로 노사양측이 대립해오다가, 급기야는 방송위원회의 재허가 추천 거부로 인해, 같은해 12월 31일을 끝으로 결국 iTV는 7년 만에 폐국하게 된다.
이후 2005년 3월 1일부터 아직 면허가 남아있는 iFM(현 경인방송 iFM)의 방송을 재개하였으나, TV방송은 iTV에서의 재개국이 실현되지 못하고 결국 다른 사업자로 넘어가게 되었다. 사업자 선정 중 많은 논란이 빚어져 계속 개국시기가 늦춰지다가 끝내는 최종적으로 (주)영안모자가 선정되었고, 2007년 12월 28일, OBS경인TV가 개국하였다.
종합편성채널의 탄생 및 2011년대 이후
대한민국 민영 상업 방송의 역사
※ 문화방송 네트워크 20개국들은 원래 언론통폐합 이전까지 민영방송이었으나, 통폐합 이후 현재 소유권상으로 공영방송으로 분류된다.
Remove ads
해외의 민영방송국
- 그리스 : 메가 채널, ANT1, 알파 TV
- 노르웨이 : TVNorge, TV2
- 네덜란드 : RTL4, RTL5, SBS6
- 뉴질랜드 : TV3, PRIME
- 독일 : RTL Television, Sat.1, VOX, Prosieben
- 말레이시아 : TV3, NTV7, 8TV, TV9
- 멕시코 : 텔레비사, TV 아즈테카
- 미국 : ABC, CBS, NBC, Fox 등
- 벨기에 : RTL-TVI, VTM
- 브라질 : Rede Globo, Rede Record, SBT, Rede Bandeirantes, RedeTV, Rede Gazeta
- 스웨덴 : TV3, TV4
- 스페인 : antena3, cuatro, telecinco, la sexta
- 슬로바키아 : TV Markíza, TV JOJ, TA3
- 아르헨티나 : América 2, 카날 9, 텔레페, El Trece
- 아이슬란드 : Stöð 2
- 아일랜드 : TV3
- 영국 : ITV, Channel 5
- 오스트리아 : ATV, PULS 4
- 우루과이 : 몬테카를로 TV, 사에타 TV 채널 10, 텔레도체
- 이탈리아 : Rete 4, Canale 5, Italia 1, La 7
- 인도네시아 : RCTI, SCTV, Antv
- 대한민국 : SBS TV, YTN, 대농방송
- 일본 : 닛폰 TV 방송망, 도쿄 방송, 후지 TV, TV 아사히, TV 도쿄
- 체코 : Nova, Prima televize, TV Barrandov
- 칠레 : 카날 13, Chilevisión, Mega, La Red, UCV Televisión, Telecanal
- 캐나다 : CTV, Global, TVA
- 포르투갈 : SIC, TVI
- 폴란드 : Polsat, TVN
- 프랑스 : TF1[4], Canal+, M6
- 핀란드 : MTV3, Nelonen
- 필리핀 : ABS-CBN, ABC (TV5), GMA 네트워크
- 헝가리 : RTL Klub, TV2
- 호주 : 채널 7, 채널 9, 채널 10
- 홍콩 : aTV, TVB
- 타이완 : 타이완텔레비전공사, 중국텔레비전공사, 민간전민텔레비전공사
Remove ads
각주
같이 보기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