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민망 황제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민망 황제
Remove ads

민망 황제(베트남어: Minh Mạng / 明命 명명, 1791년 5월 25일 ~ 1841년 1월 20일)는 베트남 응우옌 왕조의 제2대 황제(재위: 1820년 ~ 1841년)이다. 성명완복담(베트남어: Nguyễn Phúc Đảm / 阮福膽 완복담)이었으나 후에 완복교(베트남어: Nguyễn Phúc Kiểu / 阮福晈 완복교)로 개명하였다. 초대 황제인 자롱 황제의 넷째 아들이다. 재위 기간에 사용했던 연호가 통칭이 되어 명명제(明命帝)라고 부른다

간략 정보 민망 황제Minh Mạng明命帝, 재위 ...
Remove ads

생애

가륭제의 사후, 황제에 즉위하였다. 응우옌 왕조 건국때의 국호인 비엣남(越南, 월남)을 다이난(大南, 대남)으로 바꾸었다. 대외적으로는 쇄국적인 자세를 보였고, 점차 프랑스 사람에 대한 우대조치도 인정받지 못하게 되었다. 1826년에는 개국을 요구하는 프랑스 군함의 함장과의 접견을 거부하고, 1826년에는 역시 건국 때의 공적자인 프랑스인 쇼니의 조카가 영사자격으로 순방을 해왔지만 이것마저 거부해, 베트남과 프랑스의 공식관계는 한동안 중단되었다. 캄보디아로 군사 원정을 실시하여 실패에 끝나지만, 주변의 모든 세력에게 충분한 위협을 주었다. 더욱 산악 지대의 소수민족에 대한 통제 강화를 도모하였다. 1832년에는 속국으로 자치를 보장해주던 참파를 완전히 병합하였다.내정에는 중국식 중앙집권화를 진행시켜 베트남 각지에 성(省)과 현(縣)을 설치하였다. 관리 등용에 대해서는, 건국 당초부터 행해지고 있던 과거에 전시(殿試)를 추가하였다. 이러한 움직임은 각지에서 반란을 불렀으며, 동시에 기독교에 대한 탄압의 동기가 되었다. 따라서 1836년에는 유럽으로부터 파견된 선교사 7명을 처형하고 동시에 기독교 신자 다수를 탄압하였다. 그리하여 많은 기독교 신자들이 산악 지대로 피하게 되었다. 결국 이는 훗날 프랑스-에스파냐 연합군의 침공과 프랑스가 베트남의 이권 장악을 불러오는 씨앗이 된다.(→베트남-프랑스 관계)

Remove ads

가족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