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밀양대로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밀양대로(Miryang-daero, 密陽大路)는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대산면 모산사거리와 밀양시 산내면 가지산터널을 잇는 경상남도의 도로이다. 밀양시의 핵심 간선도로 역할을 하기 때문에 밀양대로라 명명되었으며, 밀양시 중심부를 관통한다. 창원시에서는 진산대로와 직결되며 밀양시에서는 울밀로와 직결된다.
![]() | 이 문서의 일부는 오래된 정보를 가지고 있어 최신 정보로 교체해야 합니다. (2022년 3월) |
![]() | 이 문서는 위키백과의 편집 지침에 맞춰 다듬어야 합니다. (2022년 3월 26일) |
Remove ads
연혁
- 1999년 12월 21일 : 밀양시 산외면 금천리 ~ 금곡리 2.3km 구간 개통 및 기존 1.7km 구간 폐지[1]
- 2000년 11월 20일 : 하남 ~ 밀양간 도로(밀양시 하남읍 수산리 ~ 상남면 예림리) 12km 구간 부분개통[2]
- 2000년 12월 31일 : 하남 ~ 밀양간 도로(밀양시 상남면 예림리 ~ 내이동) 4.55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밀양시 하남읍 수산리 ~ 상남면 예림리 12.6km 구간 폐지[3]
- 2005년 12월 28일 : 밀양시 교동 ~ 산외면 희곡리 구간 7.94km 확장 개통[4]
- 2008년 2월 19일 : 산외 ~ 상북간 도로(경상남도 밀양시 산내면 삼양리 ~ 울산광역시 울주군 상북면 궁근정리) 8.663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5]
- 2008년 3월 24일 : 가지산터널 개통[6]
- 2009년 7월 10일 : 2개 이상 시·도에 걸쳐 있는 도로로 밀양대로를 고시[7]
- 2009년 12월 21일 : 산내 ~ 상북간 도로 중 얼음골 교차로까지 구간(밀양시 산내면 남명리 ~ 삼양리) 4.0km 구간 일부 개통[8]
- 2010년 4월 30일 : 밀양시 산외면 금곡리 ~ 산내면 용전리 4.112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2.29km 구간 폐지[9]
- 2011년 9월 27일 : 밀양시 산내면 남명리 ~ 삼양리 4.0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10]
- 2013년 7월 26일 : 밀양시 산내면 가인리 ~ 남명리 6.21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밀양시 산내면 가인리 ~ 삼양리 7.0km 구간 폐지[11][12]
Remove ads
주요 경유지
노선
- (■): 자동차 전용도로 구간
주요 건물 및 시설
- 상남파출소 (경상남도 밀양시 상남면 밀양대로 1495)
- 밀양교육지원청 (경상남도 밀양시 상남면 밀양대로 1522)
- 예림초등학교 (경상남도 밀양시 상남면 밀양대로 1524)
- 밀양예림우편취급국 (경상남도 밀양시 상남면 밀양대로 1531)
- 밀양경찰서 (경상남도 밀양시 상남면 밀양대로 1545)
- 밀양소방서 (경상남도 밀양시 밀양대로 1760)
- 삼문동 행정복지센터 (경상남도 밀양시 밀양대로 1764)
- 센텀밀양병원 (경상남도 밀양시 밀양대로 1823)
- 중앙파출소 (경상남도 밀양시 밀양대로 1879)
- 트라이얼마트 밀양점 (경상남도 밀양시 밀양대로 1881)
- KT밀양빌딩 (경상남도 밀양시 밀양대로 1892)
- 한국전기연구원 밀양나노센터 (경상남도 밀양시 밀양대로 1908)
- 한국농어촌공사 밀양지사 (경상남도 밀양시 밀양대로 1920)
- 영남종합병원 (경상남도 밀양시 밀양대로 1959)
- 밀양시청 (경상남도 밀양시 밀양대로 2047)
- 밀성제일고등학교 (경상남도 밀양시 밀양대로 2078)
Remove ads
자동차 전용도로 구간
얼음골 교차로부터 가지산터널까지 구간은 국토해양부에서 지정한 자동차전용도로 구간이므로 보행자, 자전거 등은 통행할 수 없다. 이륜자동차(모터사이클 혹은 오토바이)는 긴급자동차(싸이카 및 소방용 모터사이클 등)에 한해 통행이 가능하며, 그 밖의 이륜자동차와 경운기 우마차 트랙터 손수레는 통행할 수 없다. 우회 도로로는 산내로가 있다.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