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대한민국의 일반 국도
대한민국의 국가가 관리하는 도로 중 고속국도를 제외한 도로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대한민국의 일반 국도(大韓民國의 一般 國道)는 고속도로 이외의 대한민국의 일반 국도를 가리키는 말로, 일반적으로 국도(國道)라고 한다. 중요도시·지정항만, 중요비행장, 국가산업단지 또는 관광지 등을 연결하며 고속도로와 함께 국가기간도로망을 이루는 도로로, 과거에는 대통령령으로 그 노선이 지정되었으나 2014년 1월 21일에 전면 개정된 《도로법》이 같은 해 7월 14일부터 시행되면서 더 이상 대통령령으로 노선 지정을 하지 않고 국토교통부령에 의해 지정·고시하고 있다. 각 지방자치단체에 있는 지방국토관리청에서 관리하며, 시내동지역에서는 원활한 관리를 위해 시장이 관리한다. 고속도로와 달리 2차로나 미포장로도 일정 구간이 존재하며, 1급에서 4급까지로 나뉜다. 각각의 도로에는 번호가 매겨져 있어, '몇 번 국도' 또는 '국도 몇 호선'으로 통칭된다.
![]() | 이 문서의 일부는 오래된 정보를 가지고 있어 최신 정보로 교체해야 합니다. (2021년 12월) |
일제강점기 시대였던 1938년에 《조선도로령》에 따라 처음 지정되었고, 이 때 지정된 노선은 1960년대 중반까지 대체적으로 유지되다가[1] 1967년에 이르러 현재의 노선이 지정되었다.[2]
Remove ads
노선 번호 부여 체계
1

대한민국의 일반국도 노선을 표기할 때는 파란색 타원에 흰색 숫자로 표기한다. 일반국도 노선 번호는 한자리 또는 두자리 수로 구성되어 있다. 남북방향으로 된 노선은 홀수로 번호를 붙이고 동서방향으로 된 노선은 짝수로 번호를 붙인다. 한자리 수로 된 일반국도는 가장 기본이 되는 축 역할을 하는 노선이다. 두자리 수로 된 일반국도는 각 한자리 수의 일반국도를 이어주는 간선 역할을 한다.[3][4]
역사
- 1938년 12월 1일 : 조선도로령에 의해 국도 노선을 최초로 지정
- 1962년 1월 1일 : 조선도로령 폐지
- 1963년 2월 5일 : 각령 제1191호 1급국도와2급국도의노선지정의건에 의해 조선도로령에 있던 국도 노선이 보존됨.[5]
- 1966년 12월 27일 : 1급국도와2급국도의노선지정의건 각령을 개정해 조선도로령과 전혀 다른 지금과 같은 노선 뼈대가 형성되었다.[6]
- 1969년 12월 1일 : 1급국도와2급국도의노선지정령으로 변경[7]
- 1971년 8월 31일 : 1급국도와2급국도의노선지정령을 폐지하고[8] 일반국도노선지정령을 제정.[9] 이 때 일부 1급국도가 고속국도로 분리되어 지정됨.
- 1972년 2월 22일 : 국도 제27호선 신설, 국도 제32호선 기점을 변경.[10]
- 1981년 3월 14일 : 국도 12개 노선을 신설하고 13개 노선을 연장해 지정함. 3개 노선의 경유지를 변경.[11]
1981년 신설 및 변경된 노선 목록
- 국도 제1호선 주요 경유지 변경
- 국도 제2호선 주요 경유지 변경
- 국도 제3호선 주요 경유지 변경
- 국도 제4호선 노선명을 '군산 ~ 경주선'에서 '군산 ~ 감포선'으로 변경, 주요 경유지 변경
- 국도 제5호선 주요 경유지 변경
- 국도 제6호선 주요 경유지 변경
- 국도 제12호선 노선명을 '제주 ~ 우회선'에서 '제주 제1우회선'으로 변경
- 국도 제13호선 종점을 '전라남도 광주시'에서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으로 연장해 '완도 ~ 담양선'으로 변경하고 주요 경유지 변경
- 국도 제14호선 기점을 '경상남도 거제군 장승포읍'에서 '경상남도 거제군 동부면'으로 변경하고 주요 경유지 변경
- 국도 제15호선 종점을 '전라남도 광주시'에서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으로 연장해 '나로도 ~ 담양선'으로 변경하고 주요 경유지 변경
- 국도 제16호선 제주 제2우회선 노선 신설
- 국도 제17호선 기점을 '전라남도 여수시'에서 '전라남도 여천군 돌산읍'으로, 종점을 '충청북도 청주시'에서 '경기도 용인군 내사면'으로 연장해 '돌산 ~ 양지선'으로 변경하고 주요 경유지 변경
- 국도 제18호선 진도 ~ 구례선 노선 신설
- 국도 제19호선 주요 경유지 변경
- 국도 제20호선 시천 ~ 경주선 노선 신설
- 국도 제21호선 종점을 '충청남도 천안시'에서 '경기도 이천군 장호원읍'으로 연장해 '군산 ~ 장호원선'으로 변경하고 주요 경유지 변경
- 국도 제22호선 기점을 '전라북도 영광군 법성면 법성포'에서 '전라북도 정읍군 정주읍'로 연장해 '정주 ~ 순천선'으로 변경하고 주요 경유지 변경
- 국도 제23호선 기점을 '전라남도 목포시'에서 '전라남도 강진군 대구면'으로 연장해 '마량 ~ 천안선'으로 변경하고 주요 경유지 변경
- 국도 제24호선 기점을 '전라남도 광주시'에서 '전라남도 신안군 지도읍'으로 연장해 '지도 ~ 울산선'으로 변경하고 주요 경유지 변경
- 국도 제26호선 주요 경유지 변경
- 국도 제27호선 종점을 '전라북도 전주시'에서 '전라북도 군산시'로 연장해 '녹동 ~ 군산선'으로 변경하고 주요 경유지 변경
- 국도 제28호선 기점을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에서 '경상북도 영주시'로 연장해 '영주 ~ 포항선'으로 변경하고 주요 경유지 변경
- 국도 제29호선 장동 ~ 대산선 노선 신설
- 국도 제30호선 변산 ~ 대구선 노선 신설
- 국도 제31호선 기점을 '경상북도 포항시'에서 '경상남도 울산시'로 연장해 '울산 ~ 신고산선'으로 변경하고 주요 경유지 변경
- 국도 제32호선 노선명을 '서산 ~ 대전선'에서 '만리포 ~ 대전선'으로 변경, 주요 경유지 변경
- 국도 제33호선 고성 ~ 선산선 노선 신설
- 국도 제34호선 기점을 '경상북도 문경군 문경읍'에서 '충청남도 당진군 당진읍'으로 연장해 '당진 ~ 영덕선'으로 변경하고 주요 경유지 변경
- 국도 제35호선 부산 ~ 강릉선 노선 신설
- 국도 제36호선 주요 경유지 변경
- 국도 제37호선 거창 ~ 문산선 노선 신설
- 국도 제38호선 종점을 '강원도 정선군 정선면'에서 '강원도 삼척군 삼척읍'으로 연장해 '평택 ~ 삼척선'으로 변경하고 주요 경유지 변경
- 국도 제39호선 부여 ~ 의정부선 노선 신설
- 국도 제40호선 대천 ~ 공주선 노선 신설
- 국도 제42호선 종점을 '강원도 삼척군 북평읍'에서 '강원도 동해시'로 연장해 '인천 ~ 동해선'으로 변경하고 주요 경유지 변경
- 국도 제43호선 기점을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로'에서 '경기도 화성군 향남면'으로 연장해 '발안 ~ 고성선'으로 변경하고 주요 경유지 변경
- 국도 제45호선 해미 ~ 청평선 노선 신설
- 국도 제46호선 종점을 '강원도 속초시'에서 '강원도 고성군 고성읍'으로 연장해 '인천 ~ 간성선'으로 변경하고 주요 경유지 변경
- 국도 제47호선 반월 ~ 금화선 노선 신설
- 국도 제48호선 경유지 변경
- 국도 제56호선 금화 ~ 양양선 노선 신설
- 국도 제99호선 노선명을 '제주 ~ 회순선'에서 '제주 ~ 중문선'으로 변경
- 1981년 6월 24일 : 국도 제3호선 기점을 '경상남도 삼천포시'에서 '경상남도 남해군 삼동면'으로 연장해 '남해 ~ 초산선'으로 변경, 국도 제14호선 주요 경유지 변경, 국도 제23호선 기점을 '전라남도 강진군 대구면'에서 '전라남도 강진군 강진읍'으로 연장해 '강진 ~ 천안선'으로 변경[12]
- 1986년 5월 13일 : 직할시 출범 등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주요 경유지 수정[13]
- 1990년 10월 30일 : 국도 제29호선 시점을 '전라남도 장흥군 장동면'에서 '전라남도 보성군 미력면'으로 변경해 '보성 ~ 대산선'으로 변경, 국도 제38호선 종점을 '강원도 삼척시'에서 '강원도 동해시'로 연장해 '평택 ~ 동해선'으로 변경[14]
- 1996년 7월 1일 : 국도 3개 노선을 신설하고 6개 노선을 연장해 지정함. 41개 노선의 경유지를 변경, 1개 노선 폐지.[15]
1996년 신설 및 변경된 노선 목록
- 국도 제2호선 종점을 '부산직할시 중구'에서 '부산광역시 중구'로 변경
- 국도 제3호선 기점을 '경상남도 남해군 삼동면'에서 '경상남도 남해군 미조면'으로 변경
- 국도 제4호선 종점을 '경상북도 월성군 감포읍'에서 '경상북도 경주시 감포읍'으로 변경하고 노선명을 '군산 ~ 경주선'으로 변경
- 국도 제6호선 기점을 '인천직할시 중구'에서 '인천광역시 중구'로, 종점을 '강원도 명주군 주문진읍'에서 '강원도 강릉시 주문진읍'으로 변경하고 노선명을 '인천 ~ 강릉선'으로 변경
- 국도 제7호선 기점을 '부산직할시 중구'에서 '부산광역시 중구'로 변경
- 국도 제14호선 기점을 '경상남도 거제군 남부면'에서 '경상남도 거제시 남부면'으로 변경, 종점을 '경상남도 울산시'에서 '경상북도 포항시'로 연장해 노선명을 '거제 ~ 포항선'으로 변경
- 국도 제17호선 종점을 '경기도 용인군 내사면'에서 '경기도 용인시 양지면'으로 변경하고 노선명을 '여천 ~ 용인선'으로 변경
- 국도 제19호선 기점을 '경상남도 남해군 삼동면'에서 '경상남도 남해군 미조면'으로 변경
- 국도 제20호선 종점을 '경상북도 경주시'에서 '경상북도 포항시'로 연장해 노선명을 '산청 ~ 포항선'으로 변경
- 국도 제21호선 기점을 '전라북도 군산시'에서 '전라북도 전주시'로 연장, 종점을 '경기도 이천군 장호원읍'에서 '경기도 이천시 장호원읍'으로 변경해 노선명을 '전주 ~ 이천선'으로 변경
- 국도 제22호선 기점을 '전라북도 정주시'에서 '전라북도 정읍시'로 변경하고 노선명을 '정읍 ~ 순천선'으로 변경
- 국도 제24호선 노선명을 '신안 ~ 울산선'으로 변경
- 국도 제26호선 종점을 '대구직할시 서구'에서 '대구광역시 서구'로 변경
- 국도 제29호선 종점을 '충청남도 서산군 대산면'에서 '충청남도 서산시 대산읍'으로 변경하고 노선명을 '보성 ~ 서산선'으로 변경
- 국도 제30호선 종점을 '대구직할시 서구'에서 '대구광역시 서구'로 변경
- 국도 제31호선 기점을 '경상남도 울산시'에서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으로 연장하고 노선명을 '부산 ~ 신고산선'으로 변경
- 국도 제32호선 기점을 '충청남도 서산군 소원면'에서 '충청남도 서산시 태안읍'으로, 종점을 '충청남도 대전시'에서 '대전광역시 유성구'로 변경해 노선명을 '서산 ~ 대전선'으로 변경
- 국도 제33호선 종점을 '경상북도 선산군 선산읍'에서 '경상북도 구미시 선산읍'으로 변경하고 노선명을 '고성 ~ 구미선'으로 변경
- 국도 제35호선 기점을 '부산직할시 부산진구'에서 '부산광역시 부산진구'로 변경
- 국도 제36호선 기점을 '충청남도 대천시'에서 '충청남도 보령시'로 변경하고 노선명을 '보령 ~ 울진선'으로 변경
- 국도 제37호선 종점을 '경기도 파주군 문산읍'에서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으로 변경하고 노선명을 '거창 ~ 파주선'으로 변경
- 국도 제38호선 기점을 '경기도 평택군 포승면'에서 '충청남도 서산시 대산읍'으로 연장하고 노선명을 '서산 ~ 동해선'으로 변경
- 국도 제40호선 기점을 '충청남도 대천시'에서 '충청남도 보령시'로 변경
- 국도 제42호선 기점을 '인천직할시 중구'에서 '인천광역시 중구'로 변경
- 국도 제43호선 기점을 '경기도 화성군 향남면'에서 '충청남도 연기군 전의면'으로 연장하고 노선명을 '연기 ~ 고성선'으로 변경
- 국도 제45호선 기점을 '충청남도 서산군 해미면'에서 '충청남도 서산시 해미면'으로 변경하고 노선명을 '서산 ~ 가평선'으로 변경
- 국도 제46호선 기점을 '인천직할시 중구'에서 '인천광역시 중구'로 변경하고 노선명을 '인천 ~ 고성선'으로 변경
- 국도 제47호선 노선명을 '화성 ~ 철원선'으로 변경
- 국도 제48호선 기점을 '경기도 강화군 양사면'에서 '인천광역시 강화군 양사면'으로 변경
- 국도 제56호선 노선명을 '철원 ~ 양양선'으로 변경
- 국도 제59호선 광양 ~ 하동선 노선 신설
- 국도 제67호선 칠곡 ~ 구미선 노선 신설
- 국도 제78호선 만포진 ~ 강계선 노선 폐지
- 국도 제82호선 평택 ~ 화성선 노선 신설
- 국도 제99호선 노선명을 '제주 ~ 서귀포선'으로 변경
- 2001년 8월 25일 : 국도 7개 노선을 신설하고 15개 노선을 바꿈[16]
2001년 신설 및 변경된 노선 목록
- 국도 제2호선 기점을 '전라남도 목포시'에서 '전라남도 신안군 장산면'으로 변경하고 노선명을 '신안 ~ 부산선'으로 변경
- 국도 제11호선 기점을 '제주도 제주시'에서 '제주도 서귀포시'로, 종점을 '제주도 서귀포시'에서 '제주도 제주시'로 변경하고 노선명을 '서귀포 ~ 제주선'으로 변경
- 국도 제13호선 종점을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에서 '충청남도 금산군 금산읍'으로 연장하고 노선명을 '완도 ~ 금산선'으로 변경
- 국도 제17호선 기점을 '전라남도 여천군 돌산읍'에서 '전라남도 여수시 돌산읍'으로 변경하고 노선명을 '여수 ~ 용인선'으로 변경
- 국도 제18호선 기점을 '전라남도 진도군 임회면'에서 '전라남도 진도군 고군면'으로 연장
- 국도 제19호선 종점을 '강원도 원주시'에서 '강원도 홍천군 서석면'으로 연장하고 노선명을 '남해 ~ 홍천선'으로 변경
- 국도 제21호선 기점을 '전라북도 전주시'에서 '전라북도 남원시 대강면'으로 연장하고 노선명을 '남원 ~ 이천선'으로 변경
- 국도 제24호선 기점을 '전라남도 신안군 지도읍'에서 '전라남도 신안군 임자면'으로 연장
- 국도 제27호선 기점을 '전라남도 고흥군 도양읍'에서 '전라남도 고흥군 금산면'으로 연장
- 국도 제32호선 종점을 '대전광역시 유성구'에서 '대전광역시 중구'로 변경
- 국도 제40호선 기점을 '충청남도 보령시'에서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으로 연장하고 노선명을 '예산 ~ 공주선'으로 변경
- 국도 제46호선 종점을 '강원도 고성군 고성읍'에서 '강원도 고성군 간성읍'으로 변경
- 국도 제47호선 기점을 '경기도 화성군 반월면'에서 '경기도 안산시'로 변경하고 노선명을 '안산 ~ 철원선'으로 변경
- 국도 제58호선 진해 ~ 청도선 노선 신설
- 국도 제59호선 종점을 '경상남도 하동군 금남면'에서 '강원도 양양군 양양읍'으로 연장하고 노선명을 '광양 ~ 양양선'으로 변경
- 국도 제75호선 가평 ~ 화천선 노선 신설
- 국도 제77호선 부산 ~ 인천선 노선 신설
- 국도 제79호선 의령 ~ 창녕선 노선 신설
- 국도 제87호선 포천 ~ 철원선 노선 신설
- 국도 제88호선 영양 ~ 울진선 노선 신설
- 국도 제95호선 남제주 ~ 북제주선 노선 신설
- 국도 제99호선 기점을 '제주도 제주시'에서 '제주도 서귀포시'로, 종점을 '제주도 서귀포시'에서 '제주도 제주시'로 변경하고 노선명을 '서귀포 ~ 제주선'으로 변경
- 2008년 1월 3일 : 국도 제4호선의 기점을 '전라북도 군산시'에서 '전라북도 군산시 옥도면'으로 연장[17]
- 2008년 11월 17일 : 국도 5개 노선을 연장하고 18개 노선의 경유지를 변경, 5개 노선을 폐지[18]
2008년 변경된 노선 목록
- 국도 제1호선 주요 경유지 변경 (대전광역시)
- 국도 제2호선 주요 경유지 변경
- 국도 제5호선 기점을 '경상남도 마산시'에서 '경상남도 거제시 연초면'으로 연장하고 노선명을 '거제 ~ 중강진선'으로 변경
- 국도 제6호선 주요 경유지 변경
- 국도 제11호선 서귀포 ~ 제주선 노선 폐지
- 국도 제12호선 제주 제1우회선 노선 폐지
- 국도 제14호선 주요 경유지 변경
- 국도 제16호선 제주 제2우회선 노선 폐지
- 국도 제18호선 주요 경유지 변경
- 국도 제26호선 주요 경유지 변경
- 국도 제28호선 주요 경유지 변경
- 국도 제29호선 주요 경유지 변경
- 국도 제32호선 기점을 '충청남도 서산군 태안읍'에서 '충청남도 태안군 소원면'으로 변경하고 노선명을 '태안 ~ 대전선'으로 변경
- 국도 제33호선 주요 경유지 변경
- 국도 제35호선 주요 경유지 변경
- 국도 제36호선 주요 경유지 변경
- 국도 제37호선 주요 경유지 변경
- 국도 제38호선 주요 경유지 변경
- 국도 제39호선 주요 경유지 변경
- 국도 제40호선 기점을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에서 '충청남도 당진군 합덕읍'으로 연장하고 노선명을 '당진 ~ 공주선'으로 변경
- 국도 제43호선 주요 경유지 변경
- 국도 제46호선 주요 경유지 변경
- 국도 제56호선 주요 경유지 변경
- 국도 제59호선 주요 경유지 변경
- 국도 제67호선 종점을 '경상북도 구미시 산동면'에서 '경상북도 군위군 군위읍'으로 연장하고 노선명을 '칠곡 ~ 군위선'으로 변경
- 국도 제77호선 종점을 '인천광역시 동구'에서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으로 연장하고 노선명을 '부산 ~ 파주선'으로 변경
- 국도 제82호선 주요 경유지 변경
- 국도 제87호선 기점을 '경기도 포천군 내촌면'에서 '경기도 포천시 내촌면'으로 변경
- 국도 제95호선 남제주 ~ 북제주선 노선 폐지
- 국도 제99호선 서귀포 ~ 제주선 노선 폐지
- 2012년 1월 26일 : 13개 노선의 경유지를 변경[19]
2012년 변경된 노선 목록
- 국도 제1호선 충청남도 논산시 구간 경유지 변경
- 국도 제2호선 무안 ~ 삼향 국도대체우회도로 구간으로 경유지 변경
- 국도 제3호선 경상남도 진주시, 경기도 광주시 구간 경유지 변경
- 국도 제4호선 국도 제1호선과 중첩 구간 변경
- 국도 제14호선 국도 제7호선과 중첩 구간 추가
- 국도 제15호선 국도 제2호선과 중첩 구간 삭제 및 국도 제13호선과 중첩 구간 추가
- 국도 제19호선 국도 제18호선과 중첩 구간 변경 및 국도 제17호선과 중첩 구간 삭제, 국도 제13호선과 중첩 구간 추가
- 국도 제25호선 경상남도 국도 중첩 구간 변경
- 국도 제26호선 전라북도, 경상남도 국도 중첩 구간 변경
- 국도 제29호선 전라북도 국도 중첩 구간 변경
- 국도 제30호선 전라북도 국도 중첩 구간 변경
- 국도 제39호선 국도 제6호선과 중첩 구간 추가
- 국도 제77호선 경상남도, 전라남도 국도 중첩 구간 변경
- 2013년 12월 24일 : 국도 제43호선 기점을 '충청남도 연기군 소정면'에서 '세종특별자치시'로 연장하고 노선명을 '세종 ~ 고성선'으로 변경[20]
- 2014년 7월 14일 : 도로법 전면개정으로 일반국도 노선 지정령 폐지[21]
- 2015년 3월 27일 : 국토교통부고시로 일반국도 노선 지정과 함께 일부 노선 변경[22]
2015년 변경된 노선 목록
- 국도 제6호선 종점을 '강원도 강릉시 주문진읍'에서 '강원도 강릉시 연곡면 동덕리'로 변경
- 국도 제13호선 종점을 '충청남도 금산군 금산읍'에서 '충청남도 금산군 금성면 양전리'로 변경
- 국도 제14호선 종점을 '경상북도 포항시'에서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청림동'으로 변경
- 국도 제20호선 종점을 '경상북도 포항시'에서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동촌동'으로 변경
- 국도 제23호선 종점을 '충청남도 천안시'에서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신부동'으로 변경
- 국도 제33호선 종점을 '경상북도 구미시 선산읍'에서 '경상북도 구미시 도개면 신림리'로 변경
- 국도 제37호선 기점을 '경상남도 거창군 거창읍'에서 '경상남도 거창군 거창읍 송정리'로 변경
- 국도 제39호선 기점을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에서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가탑리'로 변경
- 국도 제75호선 기점을 '경기도 가평군 설악면'에서 '경기도 가평군 설악면 신천리'로 변경
- 2016년 4월 8일 : 진주시 국도대체우회도로 개통으로 국도 제2호선, 국도 제3호선, 국도 제33호선 진주시 구간 경유지 변경[23]
- 2016년 7월 13일 : 국도 제34호선 종점 지번 변경[24]
- 2017년 7월 11일 : 수원시 국도대체우회도로 개통으로 국도 제43호선 화성시 ~ 수원시 구간 경유지 변경, 국도 제87호선 총 연장 변경[25]
- 2020년 11월 13일: 새만금 동서도로 개통을 앞두고 국도 제12호선(군산-김제선) 지정[26]
- 2021년 6월 22일 : 8개 국도 노선 변경[27]
2021년 변경된 노선 목록
- 국도 제4호선 기점을 '전라북도 군산시 옥도면 관리도리'에서 '전라북도 부안군 하서면 백련리'로 변경. 이에 따라 '군산 ~ 경주선'에서 '부안 ~ 경주선'으로 변경 (새만금 남북도로 경유)
- 국도 제5호선 기점을 '경상남도 거제시 연초면 죽토리'에서 '경상남도 통영시 도남동'으로 변경. 이에 따라 '거제 ~ 중강진선'에서 '통영 ~ 중강진선'으로 변경
- 국도 제15호선 기점을 '전라남도 고흥군 봉래면 신금리'에서 '전라남도 고흥군 봉래면 예내리'로, 종점을 '전라북도 담양군 담양읍 객사리'에서 '전라북도 남원시 주천면 송치리'로 변경. 이에 따라 '고흥 ~ 담양선'에서 '고흥 ~ 남원선'으로 변경
- 국도 제17호선 종점을 '경기도 용인시 양지면 양지리'에서 '경기도 광주시 도척면 추곡리'로 변경. 이에 따라 '여수 ~ 용인선'에서 '여수 ~ 광주선'으로 변경
- 국도 제27호선 기점을 '전라남도 고흥군 금산면 오천리'에서 '전라남도 완도군 고금면 덕암리'로 변경. 이에 따라 '고흥 ~ 군산선'에서 '완도 ~ 군산선'으로 변경
- 국도 제38호선 기점을 '충청남도 서산시 대산읍 독곶리'에서 '충청남도 태안군 이원면 내리'로 변경. 이에 따라 '서산 ~ 동해선'에서 '태안 ~ 동해선'으로 변경
- 국도 제19호선과 국도 제87호선 총 연장 변경
Remove ads
노선 목록 (2024년 기준)
- 시점 및 종점, 길이의 정보는 국토교통부고시 제2015-181호 도로 노선의 지정 고시를 기준으로 하며, 이후 변경된 내용은 국토교통부의 고시에 따른다.
- 현재 대한민국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하 북한)까지 연결된 노선은 국도 1, 3, 5, 7, 31, 43호선이다.
- 행정 구역은 대한민국의 행정 구역을 따르며, 이북 지역도 이북5도위원회가 정한 행정 구역으로 표기하였으므로, 실제 북한의 행정 구역과는 다를 수 있다.
Remove ads
폐지된 일반 국도
모든 구간이 북한 관할에 있는 일반 국도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