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바빌론 유수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바빌론 유수( - 幽囚, 히브리어: גלות בבל, 영어: Babylonian captivity, Babylonian exile)는 기원전 597년 유다 왕국이 멸망하면서 치드키야 왕을 비롯한 유대인들이 신바빌로니아 제국의 수도 바빌론에 포로로 잡혀간 사건을 말한다.[1] 유대인들은 기원전 538년에 신바빌로니아를 정복한 아케메네스 페르시아 제국의 키루스 2세에 의해 풀려날 때까지 약 60년 동안 바빌론에서 포로생활을 하였다.


히브리어 성경에 따라 유대인이 바빌론으로 추방되었던 다른 사건을 합쳐 말하기도 한다. 기원전 597년에 여호야긴왕이 폐위되면서 일족이 바빌론으로 끌려간 것과, 기원전 582년경 신바빌로니아가 임명한 예후드 지방 총독인 게덜라이어(그다랴, 그달리야) 암살 이후 바빌론으로 잡혀간 사건을 포함하여 3차에 걸친 추방이 있었다.
Remove ads
특징
바빌론 유수기 동안 유대인은 고난과 고통으로 민족일치를 강화했고, 예루살렘에 성전을 재건하여 유대교를 정립하였고, 이 기간 동안 경전을 정리하여 구약 성서의 기초를 만들었다.
유대인들은 바빌론에서 아케메네스 페르시아 제국의 앞선 화려한 문화를 체험하였다. 페르시아 종교였던 조로아스터교에서는 절대적인 신을 설정하였고, 그 신이 인간을 심판한다는 개념으로 인간사에 윤리성을 도입하였다. 이 교리를 유대인들이 받아들여 그때까지도 현세 지향적이였던 유대교를 선진화시켰다.[2]
유대인 가운데 일부는 바빌론에 잔류하여 공동체를 유지하였는데, 이들이 디아스포라의 유래가 되었다.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