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슈팅 바쿠간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슈팅 바쿠간』(일본어: 爆丸バトルブローラーズ, 영어: Bakugan Battle Brawlers)는 일본의 세가 토이즈와 스핀 마스터가 발매한 남아용 완구·바쿠간(→#완구를 참조)을 원안으로 한 TV 애니메이션.
이 목록은 언제든 바뀔 수 있는 주제로, 내용이 완벽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만약 사실과 다른 내용이 있거나 빠진 내용이 있다면 직접 편집해 주세요.
Remove ads
개요
현재 일본 내에서는 3편의 애니메이션 시리즈가, 북미에서는 4편의 시리즈까지 방영되고 있다.이하, 특필이 없는 경우는 원칙적으로 일본 국내의 방송내용을 바탕으로 개요·해설한다.일본에서는 제3 시리즈까지 일관해서 TV 도쿄계열(이하, TXN)에서 방송되고 있지만, 일부 타민방 넷국에도 지연 넷 방송되고 있다. 한국에서는 재능TV를 통해 2007년 8월 27일부터 <슈팅 바쿠간>이라는 제목으로 방영되었다.
당초, 제1시리즈는 일본 국내를 중심으로 한 상품 전개와 연동해 방송했지만, 완구는 예상했던 만큼은 히트 하지 않고, 방송 종료와 거의 동시에 국내에서의 전개는 종식. 그 후 북미에서 방송되었을 때 인기 프로가 되어 바쿠간 완구도 상승적으로 팔려 나갔고, 그 후 유럽 등 세계 각국에서 히트했다. 이 이후, 폭환의 상품전개는 전세계(특히 북미)를 겨냥한 전략이 취해지고, 일본에서의 상품전개가 재시동된 후에도 애니메이션의 속편시리즈는 북미 선행으로 방송되게 되었다. 다만, 애니메이션의 핵심 스탭은 계속해 일본을 거점으로 계속 만들고 있다.
Remove ads
시리즈 목록
- 『슈팅 바쿠간』
- 영문제목 : BAKUGAN BATTLE BRAWLERS. 애니메이션 제1시리즈. 이하 「(제)1기」. 총52화(일본에서의 본방송 시에는 제40화가 미방송). 2007년 4월 5일부터 2008년 3월 27일까지 TXN에서 매주 목요일 저녁 17시 30분(JST. 이하도 마찬가지) 범위(애니메이션 530개 범위), 2007년 4월 11일부터 BS 재팬에서 방송되었다. 지상 디지털 방송에서는 16:9 풀 사이즈 방송, 자막 방송 실시(이후의 시리즈도 같은 사양으로 방송).
- 『슈팅 바쿠간 2』
- 영문제목 : BAKUGAN BATLE BRAWLERS : NEW VESTROIA. 애니메이션 제2시리즈. 이하 「(제)2기」. 총 52부작으로 해외에서 인기를 얻어 2009년 북미 선행으로 제작·방송되었다. 일본에서는 2010년 3월 2일부터 2011년 3월 5일까지 애니메이션 본편이[주 1] TXN 외계열 외 방송국 25국에서 방송되었다. 당초 매주 화요일 19시 00분에 방송을 시작했으나 2010년 10월부터는 토요일 10시 30분에 이동해 방송했다. 토요일로의 이동 후에는, 일찌기 1기 본방송범위였던 매주 목요일 17시 30분범위로 리피트 방송도 행해지고 있었다(TXN만. 2기 종료와 동시에 종료).
- 『슈팅 바쿠간 BG』
- 영문제목 : BAKUGAN BATTLE BRAWLERS : GUNDALIAN INVADERS. 애니메이션 제 3 시리즈.이하 「(제)3기」. 북미에서 2010년 3월부터 2011년 1월까지 방송됐다. 일본에서는 2011년 4월 3일부터 2012년 1월 29일까지 TXN외에서 방송. 이번 시리즈에서 방송 요일이 매주 일요일 9시 00분으로 변경된다[1]. 이차원세계에서의 바쿠간전쟁을 주축으로, 제2시즌 종반에 붙여진 복선적인 수수께끼도 밝혀져 가지만, 이야기의 길이로서는 상기 2작품과 달리 1쿨 짧다.
- 『슈팅 바쿠간 서바이벌 포스』
- 영문제목 : BAKUGAN BATLE BRAWLERS : MECHTANIUM SURGE. 애니메이션 제 4시리즈. 이하 「(제)4기」. 북미에서는 3시즌에 이어 4시즌이 2011년 2월부터 2012년 1월까지 방송됐다. 한국과 일본 미방송
- 『폭 TECH! 바쿠간』/『폭 TECH! 바쿠간 가치』
- 2012년, 2013년에 애니메이션화.
- 『바쿠간 배틀 플래닛』
- 2019년에 완구 전개 및 애니메이션화.
- 『바쿠간 아머드 얼라이언스』
- 2020년 애니메이션 제2기Web 전달.
- 『바쿠간 지오간 라이징』
- 2021년 애니메이션 제3기Web 전달.
Remove ads
스토리
- 제1기
- 어느 날 전 세계에 불가사의한 카드가 나타났다. 그리고 돌연, 카드로부터 차례차례로 몬스터로 변형하는 공이 튀어나와, 배틀을 시작했다. 아이들은 인터넷상에 전용 홈페이지를 만들어, 그 공을 「바쿠간」이라고 이름 붙여 폭환끼리를 싸우게 하는 「폭환 배틀」에 열중해 갔다. 아이들의 중심이 되어 배틀의 공식 룰을 만든 것이, 주인공·단오(쿠소 단마) 등 「배틀 브롤러즈」다. 그리고 지금, 세계 각지에 말하는 바쿠간이 나타나기 시작했고, 단오의 밑에도 말하는 바쿠간·드래고가 나타났다.
- 제2기
- 격투 끝에 단오들 배틀 브롤러즈는 그들의 세계와 바쿠간의 세계 원더레볼루션을 함께 구했지만 평화는 잠깐에 불과했다. 어느 날 원더레볼루션이 다른 세계로부터의 침략자·베스터의 습격을 받아 바쿠간들은 사로잡힌 몸이 되어 버린다. 단오는 드래고와 함께 협력자·바쿠간 디펜더등의 지원을 받아 새로운 싸움에 투신해 간다.
- 제3기
- HEX 그리고 베스타 국왕 제노헬드의 야망을 꺾어 다시 원더레볼루션을 구한 댄들은 자신들의 세계로 돌아가 각자의 일상을 보내고 있었다. 어느 날 단오의 동료인 마루쵸가 지휘를 맡아 개발하던 가상 배틀 시스템 바쿠간 인터스페이스에 갑자기 두 개의 다른 세계 간달디아와 로테르디아에서 온 사자가 나타난다. 그들은 오랜 기간 무역을 하며 서로 다투는 숙적들 사이였는데, 어떤 사건에서 바쿠간과 바쿠간 배틀러의 존재를 알고 서로의 세력에 포섭하려 했던 것이다. 단오는 바쿠간을 전쟁의 도구로 삼는 둘을 모두 용서하지 못하고 전쟁을 멈추기 위해 동료들과 함께 행동을 개시했다. 그러나 뜨거운 격돌은, 머지않아 배틀의 영역을 넘어 「바쿠간 전쟁」이라고 해야 할 초대전이 되어 간다.
바쿠간
'바쿠간'은 '바쿠간(爆丸)'이라 불리는 둥근 모양의 완구와 게이트 카드라 불리는 카드가 결합된 게임이다. 애니메이션에서는 바쿠간 플레이어인 주인공 소년 단마(국내명:단오)가 세상을 구하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배틀을 벌여나가는 것을 큰 줄거리로 삼고 있다.
등장인물
슈팅 바쿠간
브롤러즈
고정
1기
2기
3기
4기
- 파메라 영어성우 : 아니크 오본사윈
- 라르프 영어성우 : 앤드루 크래이그
악역
1기
- 마스카레이드 (카이저)
- 하르게
- 나가 (네거)
2기
HEX
- 스펙트라 팬텀
- 거스 그라브
- 밀렌느 파로우
- 쉐도우 프로브
- 볼트 러스터
- 린크 볼란
- 킹 제노헤드 4세
- 프린스 하이드론
- 클레이 페르민
3기
- 바리오듀스 황제
- 기르
- 나자크
- 스코티아
- 에어젤
- 카자리나
4기
- 셀론
- 아누비어스
- 메그밀
- 엑소더스
바쿠간몬스터
1기
- 드래고노이드
- 타이그리스
- 프레데터
- 안젤로 & 디아블로
- 골렘
- 피닉스
- 히드라
- 게리슨
- 루시퍼
- 슈레더
- 사우러스
- 서펜트
- 저거노트
- 랩터
- 스콜피온
- 레이저맨
- 센티피드
- 그리폰
2기
- 샤이먼
- 엘핀
- 윌더
- 잉그램
- 퍼시벌
- 헬리오스
- 브론테스
- 베가
- 발칸
- 파브로스
- 골리앗테스
- 마쿠바스
- 드리어드
- 알타일
- 하데스
- 맥스파이더
폭 TECH! 바쿠간
바쿠간 배틀 플래닛/바쿠간 배틀 바쿠기어
주요 등장인물
주요 바쿠간들
그 밖의 등장인물(한국판, 바쿠간 배틀 플래닛)
- 박성태: 에이
- 권창욱: 스트라타
- 은영선: 파라비온
- 김영찬: 고티온, 듀란 아빠
- 김기흥: 단 아빠
- 김장: 벤튼
- 김선혜: 베로니카(리아 엄마)
- 유영: 매기, 디
- 홍승효: 젠킨스, 씨, 팬독스, 윈튼 아빠, 바이스록스
- 임채헌: 신디우스
- 홍범기: 마르코, 아튜린
- 양정화: 피오나
- 김현지: 클라비
- 소정환: 베어
- 김다올: 비, 유우, 병사1, 코다
- 남도형: 레이
- 류승곤: 루피세온, 리아 아빠
- 민응식: 트립 대령
- 김채하: 노빌리어스
- 정유미: 듀란 딘
- 여윤미: 듀란 엄마
- 김가령: 에밀리
- 현경수: 샤르고 로닌
- 권성혁: 토니
- 여민정: 윈튼 엄마
- 정승욱: 아인 카이트(준 아빠)
- 김현심: 크린
- 이소은: 파이드로스
- 최낙윤: 티코
- 김기철: 커브, 키노 할아버지
- 서윤선: 페이드 닌자
- 정재헌: 마일스 카이트
- 김서영: 라이트닝 마음속
- 손종환: 타토니엄, 그롬
- 윤동기: 키리온
- 이재현: 키노
- 김영은: 브라켄
- 최석필: 캐러스
- 송준석: 타리노
- 박시윤: 맥스
- 강성우: 이, 모우
- 강새봄: 맥, 단 엄마, 브롤러1, 윈튼 여동생
- 김도희: 보비, 케리, 윈튼 남동생
그 밖의 등장인물(한국판, 바쿠간 배틀 바쿠기어)
Remove ads
방영 목록
1기 배틀 브롤러즈 (2007~2008)
2기 뉴 베스트로이어 (2010~2011)
3기 건달리안 인베이더즈 (2011~2012)
4기 메크타늄 서지 (캐나다, 미국 방영)
폭 TECH! 바쿠간 1기 (2012~2013)
폭 TECH! 바쿠간 2기 가치 (2013)
바쿠간 배틀 플래닛 (2019~2020)
바쿠간 배틀 바쿠기어 (2020~2021)
바쿠간 지오간 라이징 (2021~2022)
바쿠간 에볼루션 (2022~)
Remove ads
제품 정보
1기 제품
- 모노팩 시리즈
- 드래고노이드(불, 물, 빛, 어둠, 흙, 바람)
- 사우러스(불, 물, 빛, 어둠, 흙, 바람)
- 스콜피온(불, 물, 빛, 어둠, 흙)
- 센티피드(불, 물, 빛, 어둠, 흙)
- 그리폰(불, 물, 빛, 어둠, 흙)
- 타이그리스(불, 물, 빛, 어둠, 흙, 바람)
- 프레데터(불, 물, 빛, 어둠, 흙, 바람)
- 골렘(불, 물, 빛, 어둠, 흙, 바람)
- 피닉스(불, 물, 빛, 어둠, 흙, 바람)
- 메테오 드래고노이드(불, 물, 빛, 어둠, 흙)
- 듀얼 히드라(불, 물, 빛, 어둠, 흙)
- 캐릭터 키트 시리즈
- 단오키트(불)
- 드래고노이드
- 사우러스
- 서펜트
- 르노키트(빛)
- 저거노트
- 사우러스
- 그리폰
- 마루쵸키트(물)
- 랩터
- 저거노트
- 게리슨
- 줄리키트(흙)
- 레이저맨
- 스콜피온
- 센티피드
- 카이저키트(어둠)
- 센티피드
- 슈레더
- 루시퍼
- 슌키트(바람)
- 피닉스
- 루시퍼
- 랩터
- 스페셜 세트(Vol.1)
- 타이그리스
- 프레데터
- 골렘
- 토너먼트팩 시리즈
- 토너먼트팩 Ver 1.0(불, 물, 빛, 어둠, 흙, 바람)
- 게리슨
- 루시퍼
- 슈레더
- 토너먼트팩 Ver 2.0(불, 물, 빛, 어둠, 흙, 바람)
- 서펜트
- 저거노트
- 랩터
- 토너먼트팩 Ver 3.0(불, 물, 빛, 어둠, 흙)
- 레이저맨
- 센티피드
- 그리폰
- 배틀팩 시리즈
- 배틀팩 Ver 1.0(불 VS 물, 빛 VS 어둠)
- 게리슨
- 루시퍼
- 슈레더
- 배틀팩 Ver 2.0(불 VS 빛, 흙 VS 어둠)
- 서펜트
- 저거노트
- 랩터
- 배틀팩 Ver 3.0(불 VS 어둠, 물 VS 빛)
- 레이저맨
- 센티피드
- 그리폰
2기 제품
- 부스터팩 시리즈
- 드래고노이드(불)
- 샤이먼(빛)
- 엘핀(물)
- 윌더(흙)
- 잉그램(바람)
- 퍼시벌(어둠)
- 헬리오스(불)
- 브론테스(빛)
- 베가(물)
- 발칸(흙)
- 알타일(바람)
- 하데스(어둠)
- 스타터팩 시리즈
- 단오키트(불)
- 드래고노이드
- 카오스 드래고노이드
- 파브닐
- 바론키트(빛)
- 샤이먼
- 블레이드 타이그리스
- 라즈리온
- 마루쵸키트(물)
- 엘핀
- 프레데터 디아블로
- 프로시
- 미라키트(흙)
- 윌더
- 해머 골렘
- 크레이프
- 슌키트(바람)
- 잉그램
- 스톰 피닉스
- 오베론
- 에이스키트(어둠)
- 퍼시벌
- 알파드 히드라
- 엑시드라
- 헥스키트 1(불, 빛, 바람)
- 헬리오스
- 브론테스
- 알타일
- 헥스키트 2(어둠, 물, 흙)
- 하데스
- 베가
- 발칸
3기 제품
배틀 플래닛, 바쿠기어 제품
- 일반 상품
- BBP 001 드래곤노이드
- BBP 002 티렉스
- BBP 003 페가트릭스
- BBP 004 니리어스
- BBP 005 하울커DX
- BBP 006 캐리어 세트
- 니리어스
- BBP 007 배틀 아레나
- 아쿠오스 드래곤노이드
- BBP 008 카드게임 스타터
- 하오스 하울커DX
- 드래곤노이드
- 오레러스 페가트릭스
- BBP 009 하이드로스
- BBP 010 파이러스 서펜테지DX
- BBP 011 맨토노이드
- BBP 012 니리어스DX
- BBP 013 신디우스
- BBP 014 드래곤노이드DX
- BBP 015 페가트릭스DX
- BBP 016 스타터 팩 Vol.1
- 하오스 하이드로스DX
- 다커스 드래곤노이드
- 아쿠오스 티렉스
- BBP 017 스타터 팩 Vol.2
- 다커스 맨토노이드DX
- 파이러스 팬골
- 오레러스 니리어스
- BBP 018 서펜테지
- BBP 019 고티온
- BBP 020 하이드로스DX
- BBP 021 티렉스DX
- BBP 022 커브
- BBP 023 신디우스DX
- BBP 024 가가노이드DX
- BBP 025 맨토노이드DX
- BBP 026 타토니엄
- BBP 027 하이퍼 드래곤노이드DX
- BBP 028 배틀 팩(5볼) Vol.1
- 파이러스 히드라노이드DX
- 벤투스 파이드로스DX
- 바이스록스
- 다커스 페가트릭스
- 오레러스 맨토노이드
- BBP 029 스콜플러스
- BBP 030 팬골DX
- BBP 031 맥스타우러DX
- BBP 032 스타터 팩 Vol.3
- 벤투스 바이스록스DX
- 다커스 고티온
- 하오스 파이드로스
- BBP 033 타리노
- BBP 034 피라비온DX
- BBP 035 루피세온DX
- BBP 036 카드게임 스타터 Vol.2
- 오레러스 노빌리어스DX
- 하오스 타리노
- 파이러스 맨토노이드
- BBP 037 바이스록스DX
- BBP 038 아쿠오스 타토니엄DX
- BBP 039 히드라노이드
- BBP 040 웨범DX
- BBP 041 클로프트
- BBP 042 골렘DX
- BBP 043 타리노DX
- BBG 044 드래곤노이드DX 바쿠기어
- BBG 045 하이드로스DX 바쿠기어
- BBG 046 티렉스DX 바쿠기어
- BBG 047 페가트릭스DX 바쿠기어
- BBG 048 니리어스DX 바쿠기어
- BBG 049 하울커DX 바쿠기어
- 특별 상품
- BEX 001 드래곤노이드 막시무스
- 타이탄 드래곤노이드
Remove ads
주제가
제1기
- 1쿨 오프닝 :「넘버원 배틀 브롤러즈(ナンバーワン・バトルブローラーズ)」 (1~30화) 노래 : 사이킥 러버
- 2쿨 오프닝 : 「압도적인∞Generation(ブッちぎり∞ジェネレーション)」 (31~52화) 노래 : 사이킥 러버
- 1쿨 엔딩 : 「Air Drive」 (1~26화) 노래 : Elephant Girl
- 2쿨 엔딩 : 「헬로(ハロー)」 (27~52화) 노래 : 더☆본
제2기
- 오프닝 : 「초! 최강 워리어즈(超!最強!ウォーリアーズ)」 (1~52화) 노래: 사이킥 러버
- 1쿨 엔딩 : 「BANG! BANG! BAKUGAN」 (1~13, 52화) 노래 : 우시마 요시후미
- 2쿨 엔딩 : 「Communication breakdown」 (14~51화) 노래 : Crush Tears
제3기
- 1쿨 오프닝 : 「Ready Go!」 (1~13화) 노래 : Sissy
- 2쿨 오프닝 : 「메카 메타(めが・めた)」 (14~39화) 노래 : 단(코바야시 유우)
- 1쿨 엔딩 : 「Love the music」 (1~13화) 노래 : LISP Feat. 단
- 2쿨 엔딩 : 「Tan-Kyu-Shin」 (14~31화) 노래 : KREYA
- 3쿨 엔딩 : 「사랑×GO! 용기×GO!(愛×GO! 勇×GO!)」 (32~39화) 노래 : TAKUYA
배틀 플래닛
일본
- 오프닝 : 「정열 잼버리(情熱ジャンボリー)」
- 아티스트: HiHi Jets
- 작사: MiNE
- 작곡: 카와구치 스스무, MiNE, Atsushi Shimada
- 편곡: Atsushi Shimada / Peach
- 엔딩 : 「BE MY STORY」
- 아티스트: HiHi Jets
- 작곡·편곡: 나카무라 타카히토
- 편곡: Dr.Dalmatian
대한민국
- 여는곡·닫는곡: [We Are one]
- 작사: 1월 8일
- 작곡·편곡: 이소영
- 노래: 손우진
Remove ads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