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박혜리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박혜리(Hyeri Park)는 대한민국의 경제학자이자 정책연구자이다.[1]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무역투자정책팀 선임연구원으로,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정부조달(바이 아메리카), 중소기업 무역정책을 연구한다.[1][2] 그의 연구는 중소기업 관점의 통상정책 영향 분석과 조달 규범의 변화가 산업과 공급망에 미치는 효과를 다룬다.[3][4]

간략 정보 박혜리박혜리, 국적 ...
간략 정보 박혜리 ...
Remove ads

생애와 학력

  • 한양대학교 경제학 학사(2001).[1]
  • 텍사스 A&M 대학교 경제학 석사(2004).[1]
  • 서울대학교 경제학 박사과정 수료(2012).[1]

경력

  • 2018년: KIEP 무역통상실 무역협정팀 전문연구원(정책브리핑 「‘Buy National’ 정책의 확산과 최근 정부조달의 국제 논의 동향」 표기).[5]
  • 2021–2022년: KIEP 무역통상실 무역투자정책팀 전문연구원(CBAM·정부조달 분석 저자 표기).[3][4]
  • 2022년–현재: KIEP 무역투자정책팀 선임연구원(Principal Researcher).[1][2]

연구 주제

  • CBAM과 중소기업: EU CBAM 과도기간(2023–2025)과 본격 시행에 대비해 중소기업의 취약 요인과 대응 과제를 식별한다.[3]
  • 정부조달·바이 아메리카: 미국 연방조달의 ‘Made in America’ 행정명령 이행, 전담기관(Made in America Office) 설치, 예외적용(waiver) 엄격화 등 제도 변화를 분석한다.[4]
  • 전자조달·국제규범: 국경간 전자조달 동향과 GPA(정부조달협정) 범위·절차를 비교해 기업의 입찰 전략 변수(원산지, 부품 국산비율, 면제 요건 등)를 정리한다.[6]

연구 방법

박혜리는 중소기업 관점에서 통상정책의 파급경로를 데이터 기반으로 분석한다. 특히 기업단위 미시자료와 무역자료를 결합해 산업별 취약 요인을 지표화하고, 공급망 간접효과를 고려하는 분석틀을 사용한다.[3] 2020년대 연구에서 정부조달 규범의 세부 조항(원산지, 면제, 이행감독)을 사례 비교로 정리하여 실무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4]

저서

논문

  • 박혜리·임경수, 2015, 〈APEC 환경상품 자유화의 진전(APEC's Liberalization Efforts on Environmental Goods)〉, World Economy Update 15-04, doi:10.2139/ssrn.2770221.
APEC이 54개 환경상품 관세를 2015년까지 5% 이하로 낮추기로 합의한 과정을 정리한다. 한국의 관련 품목 경쟁력을 주요 경제권과 비교한다. 정책 대응과 향후 시장 자유화에 대비한 준비 방향을 간단히 제시한다.
  • 이천기·이주관·박혜리·강유덕, 2021, 〈FTA의 무역·환경·노동 연계: 추세와 전망(Linkages of Trade, Environment and Labour in FTAs: Trends and Prospects)〉, World Economy Brief 21-16, doi:10.2139/ssrn.3882265.
최근 FTA에서 환경과 노동 규범이 어떻게 강화되는지 설명한다. 집행 가능성(enforceability) 관점에서 미국·EU 사례를 비교한다. 한국의 통상정책이 고려해야 할 쟁점을 요약한다.
  • 박혜리·박지현, 2021, 〈탄소국경조정제도(CBAM)에 대한 중소기업 대응방안 연구(A Study on Korean SMEs Policies for the CBAM)〉, KIEP 연구자료(PR) 21-06, doi:10.2139/ssrn.4062023.
CBAM이 중소기업에 미치는 직접·간접 영향을 산업별로 측정한다. 기업단위 통계와 무역자료를 결합해 취약 산업을 도출한다. 정부·기업이 단계별로 준비해야 할 과제를 제시한다.
Remove ads

평가와 영향

연구는 중소기업의 CBAM 적응, 공급망 상의 간접효과, 정부조달시장 접근전략 등 실무적 의사결정에 필요한 근거를 제공하였다.[3][4] 또한 조달 규범 변화(바이 아메리카)의 제도 설계·집행 흐름을 정리하여 국내 기업의 위험요인과 기회요인을 동시에 드러냈다.[4]

같이 보기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