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밧단아람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밧단아람(히브리어: פַדַּן אֲרָם 파단 아람)은 아람나하라임의 북부 평야를 지칭하는 성경의 지명이다.[1] 아람어로 밧단아람은 '아람의 밭'을 의미하는데,[2] 이는 평평한 땅을 북쪽과 동쪽의 산악 지역과 구별하는 이름이다.[3] 창세기에서 아브라함 종교의 족장인 아브라함은 아람을 "내 땅"이라고 묘사한다.[4]

히브리어 성경에서

밧단아람은 메소포타미아 북부하란 지역을 지칭한다. "밧단아람"과 "하란"은 아카드어에서 밧다누(paddanū)와 하라누(harranū)가 "길" 또는 "대상로"의 동의어이므로, 동일한 지역에 대한 방언적 변형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5]

밧단아람 또는 밧단은 구약성경의 11개 구절에 등장하는데, 모두 창세기에 있다. 문서가설의 지지자들은 이 구절들 대부분을 제사장 문서[6][7][8]에, 나머지는 후대의 편집자에 귀속시킨다.[9]

창세기 11:31에 따르면, 아브라함과 그의 아버지 데라갈대아 우르를 떠나 가나안으로 가는 길에 정착했던 하란 성읍은 유프라테스강을 따라 위치한 "강 사이의 아람"인 아람나하라임의 일부인 밧단아람에 있었다. 아브라함의 형제인 나홀은 그 지역에 정착했다. 나홀과 밀가의 아들이자 라반리브가의 아버지인 아브라함의 조카 브두엘은 밧단아람에 살았다. 아브라함은 그의 아들 이사악을 위해 친척 중에서 아내를 찾으라고 그의 종을 그곳으로 보냈다. 종은 리브가를 찾았다.[5]

이사악리브가의 아들 야곱은 형 에서의 분노를 피하기 위해 그곳으로 보내졌다.[5] 그곳에서 야곱은 라반을 위해 일하며 열한 아들과 딸 디나를 낳고,[10] 가축과 재산을 모았다.[11] 그곳에서 야곱은 세겜이스라엘 땅으로 가서 열두 번째 아들을 얻었다.[12]

Remove ads

랍비의 해석에서

미드라시에서, 이사악 바르 유다는 밧단아람 사람들이 불량배였고 리브가는 가시덤불 속의 백합 같았다고 가르쳤다.[13] 랍비 이사악은 따라서 리브가의 밧단아람 체류를 민족들 가운데 있는 이스라엘의 상징으로 여겼다.[14]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