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백제의 관등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백제의 관등은 백제에 있어서의 관료 등급이다.
개요
백제의 관료 체제에는 정무(政務)의 분담과 문무관의 분화가 나타나고 있어, 중국의 관제를 수용한 것을 시사해 준다. 백제의 관등은 16등급으로 분화·발전되었던 것이며, 그 중의 제1품 대신급인 좌평에는 수상격인 내신좌평(內臣佐平)을 비롯하여 6좌평(六佐平)이 있어 정무를 분장했다. 이들은 자의(紫衣)를 입었다. 그 밑의 달솔(達率)·은솔(恩率)·덕솔(德率)·우솔(?率)·나솔(奈率) 등의 여러 '솔’관이 2 6등급의 관등을 이루고 비의(緋衣)를 입었다. 그 밑의 장덕(將德)·시덕(施德)·고덕(固德)·계덕(季德)·대덕(對德) 등의 ‘덕’관은 7 11등급의 관등을 차지하였으며, 문독(文督)·무독(武督)·좌군(佐軍)·진무(振武)·극우(剋虞) 등 12 16등급의 하급 관리들은 청의(靑衣)를 착용하게 되었다. 이들 16등급의 관료군은 크게 3단계로 나누어져 각각 다른 색의 옷을 착용하였다. 이것은 왕족을 정점으로 하는 백제 사회의 신분적인 차등을 나타낸 것 같다.
Remove ads
참고 자료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