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좌평
백제의 관등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백제 고이왕 27년(260년)에 개혁 이후 마련되었다고 하나 확실성은 없고, 그후 근초고왕 대에 대략 완성된 듯하다. 오늘날의 장관에 해당하는 관직으로, 내신좌평이 이들 중 좌장에 해당하였다. 그러나 이후 상좌평(上佐平)이 생기고 상좌평이 수상으로서 정사암 회의의 의장을 맡게 되었다.
- 상좌평(上佐平) : 좌평의 수장, 수상
- 내신좌평(內臣佐平) : 왕명의 출납을 관장. 오늘날 대통령비서실장에 해당.
- 내두좌평(內頭佐平) : 국가 재정 업무를 관장. 오늘날 기획재정부 장관에 해당.
- 내법좌평(內法佐平) : 의례에 관한 일을 관장. 오늘날 교육부 장관, 외교부 장관, 보건복지부 장관,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에 해당.
- 위사좌평(衛士佐平) : 숙위 군사를 관장. 오늘날 대통령경호처장에 해당.
- 조정좌평(朝廷佐平) : 형벌과 감옥 사무 관장. 오늘날 법무부 장관에 해당.
- 병관좌평(兵官佐平) : 지방 군사업무 관장. 오늘날 국방부 장관에 해당.
이는 중국의 6전 조직(六典組織)을 모방한 것으로 후세의 6부(六部) 및 6조(六曹)와 유사하였다.
좌평(佐平)을 신라 관직 서발(舒發)·이벌(伊罰)과 동계어로 보는 견해가 있는데[1], '左'는 '東'이므로[2], 고유어 'ᄉᆡ'로 볼 수 있으며, '平'은 '벌'로 차훈되어 좌평(佐平)은 서발(舒發)·이벌(伊罰)과 같다는 주장이다.
Remove ads
참고 자료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