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번영로 (부산)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번영로 (부산)
Remove ads

번영로(Beonyeong-ro, 繁榮路, 부산광역시도 제11호선, 부산 제1도시고속도로)는 부산광역시 금정구 구서동 구서 나들목에서 동구 좌천동 제5부두를 잇는 부산광역시에서 첫번째로 개통된 도시고속화도로이다.

Thumb
번영로 도심방향 원동 나들목 부근
Thumb
과정교 위에서 촬영한 번영로

경부고속도로국도 제7호선과 접하여 부산 시내로 빠르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컨테이너 물동량 수송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게다가 부산광역시에서 교통량이 많은 도로 중 하나로 중앙로와 같이 부산광역시의 핵심 중추 도로이다. 1981년 4월 1일부터 통행료를 징수하기 시작하면서 대연동과 반여동에 요금소가 있었으나 2004년 1월부터 무료화되어 폐쇄되었다.[1][2]

전 구간이 아시안 하이웨이 1호선과 중복된다. 이 도로를 통하여 남쪽으로는 카페리를 이용하여 일본으로 연결되며, 북쪽으로는 경부고속도로와 연결된다.

Remove ads

연혁

  • 1977년 5월 : 착공
  • 1980년 10월 7일 : 개통 및 번영로로 명명[3]
  • 1981년 4월 1일 : 문현 ~ 구서 15.7km 구간에 대해 통행료 징수 개시[4]
  • 2007년 3월 21일 : 자동차 전용도로구간에 충장고가로 구간도 포함[5]

주요 경유지

부산광역시

노선

전 구간 자동차 전용도로이며, 이 노선에는 충장고가로 구간도 포함한다.

  • 시설물
    • IC : 나들목(Interchange)
    • SA : 휴게소(Service area)
    • TN : 터널(Tunnel)
자세한 정보 구간, 종류 ...

특징

  • 구서동 방향의 경우 일단 문현 나들목 등에서 진입할 경우 망미 나들목 이전에는 나갈 수 없다. 반대로 부두 방향의 경우 대연 나들목, 문현 나들목에서 진입할 수 없다.
  • 오륜터널을 이용할 경우 편도 방향의 경우 2개의 터널로 분리된다.
  • 자동차전용도로이나, 고속도로는 아니다.
  • 금사 나들목은 부두 방향은 진입만 가능하고, 구서동 방향은 진출만 가능하다. 석대고가교 나들목은 그 반대이다.

사고

  • 1999년 9월 10일 부산 지역에 기습적인 집중 폭우가 쏟아지면서 이날 오전 11시 50분에 대연 나들목 부근 황령산에서 대형 산사태가 발생하여 운행 중인 차량 3~4대를 덮쳤다. 이 산사태로 인하여 번영로 램프 일부가 무너져 황령로를 덮쳤고, 인근 육교까지 덮쳤다.[7][8][9]

주의사항

  • 이 도로는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어 있어 자전거, 보행자 등의 통행이 불가능하다. 이륜자동차(모터사이클 혹은 오토바이)의 경우 긴급자동차(싸이카 및 소방용 모터사이클 등)에 한해 통행이 가능하며 그 밖의 이륜자동차, 초소형전기자동차는 통행을 못한다.
  • 이에 대한 대체도로로는 중앙대로, 수영로, 서동로 등이 있다.

같이 보기

관련 도로

일본 연결 관련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