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라파밀
비디히드로피리딘계 칼슘 통로 차단제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베라파밀(Verapamil)은 이솝틴(Isoptin) 등의 상품명으로 판매되는 약물로,[6] 고혈압, 협심증, 심실상성 빈맥 등의 치료에 쓰이는 칼슘 통로 차단제이다.[7] 편두통이나 군발두통 예방에 쓰이는 경우도 있다.[8][9] 경구 투여와 정맥 주사용 약제가 존재한다.[7]
![]() | |
![]() | |
체계적 명칭 (IUPAC 명명법) | |
---|---|
(RS)-2-(3,4-Dimethoxyphenyl)-5-{[2-(3,4-dimethoxyphenyl)ethyl](methyl)amino}-2-(propan-2-yl)pentanenitrile | |
식별 정보 | |
CAS 등록번호 | 52-53-9 |
ATC 코드 | C08DA01 |
PubChem | 2520 |
드러그뱅크 | DB00661 |
ChemSpider | 2425 |
화학적 성질 | |
화학식 | C27H38N2O4 |
분자량 | ? |
약동학 정보 | |
생체적합성 | 35.1% |
동등생물의약품 | ? |
약물 대사 | 간 |
생물학적 반감기 | 2.8~7.4시간[1] |
배출 | 콩팥: 11% |
처방 주의사항 | |
허가 정보 |
US Daily Med:바로가기 |
임부투여안전성 | C(오스트레일리아)[2] |
법적 상태 | |
투여 방법 | 경구 투여, 정맥 주사 |
흔한 부작용에는 두통, 저혈압, 구역질, 변비가 있다.[7] 다른 부작용에는 알레르기 반응과 근육통 등이 있다.[10] 맥박이 느린 서맥이나 심부전 환자에서는 사용을 권고하지 않는다.[10] 임신 중 사용 시 태아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2] 작용 기전상 비-디히드로피리딘 칼슘 통로 차단제(non-DHP CCB)에 속하며,[7] 따라서 본 윌리엄스 분류상으로는 클래스 4 항부정맥제로 분류된다.[11]
베라파밀은 1981년 미국에서 사용이 승인되었다.[7][12] WHO 필수 의약품 목록에 등재되어 있다.[13][14] 복제약으로도 이용 가능하다.[7] 지속작용 제제도 존재한다.[10] 2021년 한 해 동안 200만 건 이상 처방되어, 196번째로 많이 처방된 약물로 기록되었다.[15][16]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