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베트남-중국 국경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베트남-중국 국경
Remove ads

베트남–중국 국경베트남중국 사이의 국제 경계로, 서쪽 라오스와의 삼국 접경점에서 시작하여 동쪽 통킹만 해안에 이르기까지 1,297km에 걸쳐 이어지는 육상 국경과, 통킹만 및 남중국해에 걸친 해상 국경으로 구성되어 있다.[1]

Thumb
베트남-중국 국경 지도

양국은 육상 국경에 대한 분쟁을 해결하고 국경 협정에 서명함으로써 육상 경계는 확정되었으나, 스프래틀리 군도파라셀 제도를 포함한 영해 및 도서 영유권 분쟁으로 인해 해상 경계는 현재까지도 명확히 정의되지 않고 있다.[2][1]

묘사

Thumb
베트남-중국 국경이 홍강에서 벗어나는 지점인 홍강과 롱바오강의 합류지점이다.

베트남과 중국의 육상 국경은 1,347km이며[3], 두 개의 중국 성과 일곱 개의 베트남 성이 이 국경과 접하고 있다.[3]

육상 국경은 서쪽의 시청다산 봉우리에 있는 중국–라오스–베트남 삼국 접점에서 시작된다. 이후 전반적으로 동쪽 방향으로 이어지지만[4], 매우 불규칙한 지그재그 형태를 띠며 진행되며, 주로 소수 민족이 거주하는 외딴 산악 지역을 통과한다.[5] 곳곳에서는 다강, 홍강, 난시강, 쏭감강, 쏭짜이강, 진장강과 같은 강들이 짧은 구간 동안 경계로 이용된다. 동쪽에서 국경은 중국 둥싱시와 베트남 몽까이 근처에 있는 베이룬강/카롱강 하구에 닿으며, 그 강을 따라 습지를 지나 통킹만으로 이어진다.[5]

국경 통과 및 무역 지점

Thumb
허커우 (전경)와 라오까이 (배경) 사이의 국경 교차점

베트남과 중국은 1991년에 국경 무역에 관한 협정을 체결하였다. 1992년에는 21개의 국경 무역 지점 (국경 시장 및 물품 수출입, 다만 사람들의 출입은 제한)이 개설되었으며, 이 중 네 곳은 국경 통로로도 사용되었다.[6] 국경 지역에 거주하는 베트남인은 중국 세관에서 대기 시간을 줄여주는 하루짜리 국경 출입증을 사용하여 중국에 출입할 수 있다.[7]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