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보골류보프 변환

서로 다른 두 정준 (반)교환 사이를 연관짓는 변환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물리학에서 보골류보프 변환(Bogoliubov transformation)은 서로 다른 두 정준 (반)교환 대수 사이를 연관짓는 변환이다.

역사

니콜라이 보골류보프가 1947년에 초유체를 다루기 위하여 도입하였다.[1]

정의

요약
관점

소멸 및 생성 연산자라고 하자. 즉,

이라고 하자. 이를 정준 교환 관계(canonical commutation relation, 약자 CCR)이라고 한다. 정준 교환 관계는 다음과 같은 선형변환 아래 불변이다.

.

이러한 변환을 보골류보프 변환이라고 한다.

마찬가지로, 페르미온정준 반교환 관계(canonical anticommutation relation, 약자 CAR)

도 다음과 같은 보골류보프 변환 아래 불변이다.

.

진공 은 모든 소멸 연산자에 의하여 소멸되는 상태로 정의된다.

보골류보프 변환을 가하면 소멸 연산자가 바뀌게 되므로, 이에 따라 일반적으로 진공 상태도 달라진다. 즉, 변환된 소멸 연산자에 대한 진공 상태를 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두 진공 상태는 다르다.

.
Remove ads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