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보렐-칸텔리 보조정리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확률론에서, 보렐-칸텔리 보조정리(영어: Borel–Cantelli lemma)는 일련의 사건들 가운데 무한 개가 일어날 확률이 0일 충분 조건과 1일 충분 조건을 제시하는 정리이다.[1][2][3][4]
정의
요약
관점
보렐-칸텔리 보조정리는 (제1) 보렐-칸텔리 보조정리(영어: (first) Borel–Cantelli lemma)와 제2 보렐-칸텔리 보조정리(영어: second Borel–Cantelli lemma)로 구성된다.
확률 공간 속 사건의 열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 (제1 보렐-칸텔리 보조정리) 만약 라면, 이다.
- (제2 보렐-칸텔리 보조정리) 만약 이며 가 독립이라면, 이다.
제1 보렐-칸텔리 보조정리의 증명:
제2 보렐-칸텔리 보조정리의 증명:
Remove ads
일반화
요약
관점
제2 보렐-칸텔리 보조정리는 다음과 같이 일반화할 수 있다.
코첸-스톤 부등식
확률 공간 속 사건의 열 에 대하여,
라고 하자. 그렇다면, 다음이 성립한다.[2]
페트로프의 일반화
확률 공간 속 사건의 열 및 임의의 실수 에 대하여,
라고 하자. 그렇다면, 만약
라면,
이다.[4]
특히, 코첸-스톤 부등식은 인 특수한 경우이다.
Remove ads
역사
에밀 보렐과 프란체스코 파올로 칸텔리(이탈리아어: Francesco Paolo Cantelli)가 제시하였다.
사이먼 버나드 코첸(영어: Simon Bernhard Kochen)과 찰스 졸 스톤(영어: Charles Joel Stone)이 한 가지 일반화를 제시하였다.[2] 발렌틴 블라디미로비치 페트로프(러시아어: Валентин Владимирович Петров)는 보다 더 일반적인 결과를 내놓았다.[3][4]
같이 보기
참고 문헌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