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봉수 (통신)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봉수(烽燧) 또는 연기 신호(Smoke signal)는 가장 오래된 형태의 장거리 통신 수단 중 하나이다. 장거리용 시각적 통신수단 으로서 봉수는 소식 전달, 위험 신호 또는 사람들을 공동 구역으로 불러모으는데 이용되었다.

각국의 봉수
고려
정식으로 법으로 제정하여 실시한 것은 고려전기, 즉 1149년(의종 3년)에 서북면병마사(西北面兵馬使) 조진약(曺晋若)의 상주(上奏)에 의하여 낮에는 연기로, 밤에는 불빛으로 하되 평상시에는 한 번씩 올리고 2급(二急)에는 두 번, 3급(三急)에는 세 번, 4급(四急)에는 네 번씩 올리고, 봉수대에는 방정(防丁) 2명, 백정(白丁) 30명을 두고 각각 평전(平田) 1결(一結)을 주도록 규정하였다. 그런데 봉수소에 배치되는 봉졸(烽卒 : 봉군)은 천역(賤役)에 속하는 것으로 국가관리가 죄를 범했을 때에 봉졸로 배치되는 예도 있었다.
조선

로. 문화재청 제공]]
조선의 봉수는 조선에서 운영한 봉수이다. 조선에서는 세종 때에 정식으로 봉수제도를 마련하였는데, 평상시에는 횃불을 1개, 적이 나타나면 2개, 적이 국경에 접근하면 3개, 국경을 넘어오면 4개, 적과의 전투가 벌어지면 5개를 올리되 구름이 끼거나 바람이 불어서 연락을 할 수 없을 때는 봉졸들이 차례로 달려서 보고하였다. 서울에서는 오원(五員)이 병조에 보고하고 지방에서는 오장(伍長)이 관할 진장(鎭將)에게 보고하였다.
Remove ads
같이 보기
참고 문헌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