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보영운수 (경기)

경기도 안양시의 시내버스 회사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보영운수(寶永運輸)는 경기도 안양시의 시내버스 회사로 주사무소는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일직로 119에 있으며 창박골, 군포공영차고지 등에 영업소를 두고 있다. 계열사로는 시내버스 업체인 삼영운수, 마을버스 업체로는 의왕시 마을버스 업체인 덕장운수, 같은 안양시 마을버스 업체인 편안운수 등이 있다. 현재 대표이사는 한나라당 소속으로 경기도 도의원을 지낸 적이 있는 신보영이며, 계열사인 삼영운수 대표를 겸하고 있다.

간략 정보 창립, 산업 분야 ...
Remove ads

역사

Remove ads

현황

2022년 1월 기준이다.[6]

자세한 정보 운행업체, 보유 노선수 ...

운행 노선

요약
관점

창박골영업소

군포공영차고지

군포공영차고지에 있으며, 군포공영차고지 이전에는 수리동 1152번지(현 군포중앙도서관)에 영업소가 위치하였다.

군포부곡영업소

2015년 7월 부곡동버스공영차고지의 개장으로 22번이 군포버스공영차고지를 떠나 부곡동 차고지를 이용하게 되었다.

  • 22번: 금강1단지 - 부곡공영차고지 - 부곡지구 - 삼성마을(당동2지구) - 용호고등학교 - 한세대학교 - 경기외국어고등학교 - 호계사거리 - 향촌마을 - 평촌역 - 인덕원역 - 덕장초등학교 <이 노선은 삼영운수에서 양도받은 노선이다.>
  • 55번: 금강1단지 - 부곡공영차고지 - 부곡지구 - 군포공영차고지 - 군포국민체육센터 - 용호고교 - 군포역 - 금정역 - 명학초교 - 명학대교 - 범계역 (2020년 7월 1일 노선 단축, 2024년 8월 23일 노선 구간 변경 및 연장)

본사

  • 83번: 숲속마을3.5단지 - 인덕원역 - 동일테크노타운 - 평촌역 - 안양시청 - 동안구청 - 비산사거리.이마트 - 안양1번가.안양고용센터 - 안양역 - 박달사거리.박달1동행정복지센터 - 박달초교.안양고교 - 충훈2교 - 충훈고교 - 석수시장 - 관악역 - 석수역 <이 노선은 삼영운수에서 양도받은 노선이다.>

폐선된 노선

도시형버스

  • 10-3번 (창박골영업소): 창박골 - 명학역 - 평촌단지
  • 10-6번 (창박골영업소): 창박골 - 덕천마을 - 평촌단지
  • 11번: 연현마을 - 안양일번가 - 인덕원 - 과천 - 양재역 - 종합운동장역 (1997년 8월 폐선)
  • 11-1번 : 충훈부 - 석수 I park - 관악역 - 안양1번가 - 비산사거리 - 안양종합운동장 - 인덕원역 - 정부과천청사역 - 사당역 - 이수역 - 경문고등학교 - 갯마을앞 (2019년 7월 1일 폐선)
  • 11-4번: 평촌 - 인덕원역 - 과천 - 송동마을입구 - 양재역 - 삼성역 - 종합운동장역
  • 11-6번 (군포영업소): 군포공영차고지 - 산본1·2단지 - 흥안대로 - 인덕원역 - 과천 - 송동마을입구 - 양재역 - 삼성역 - 종합운동장역 (2006-02-21 폐선)[8]
  • 11-7번 (군포영업소): 과천 환경사업소 - 선바위역 - 경마공원 후문 - 주암동 - 양재동화물터미널 - 양재시민의숲역 - 양재역 <안양시 구간은 영업운행 하지 않음> (2015년 3월 1일 일부구간 변경과 동시에 17번으로 노선번호 변경)
  • 12번: 연현마을 - 안양일번가 - 호계동 - 인덕원 - 청계 (1997년 8월 폐선)
  • 12-1번 (창박골영업소): 창박골 - 안양일번가 - 비산사거리 - 인덕원 - 청계
  • 13번 (창박골영업소): 창박골 - 안양일번가 - 성결대 - 호계도서관 - 인덕원 - 청계
  • 구 15-1번: 관악역 - 안양유원지입구 - 안양일번가 - 금정역 - 시민회관 - 산본8단지
  • 15-5번: 박달동 - 안양일번가 - 군포문예회관 - 군포공영차고지
  • 16번: 호계사거리 - 성결대 - 안양일번가 - 연현마을
  • 16-1번 (1990년대) (1997년 8월 폐선)
  • 16-1번 (본사영업소): 연현마을 - 안양일번가 - 비산대교 - 비산사거리 - 동안구청 - 범계역 - 백영고 - 농수산물시장 - 갈뫼지구 (2006년 2월 20일 폐지)
  • 구 17번 (군포영업소): 산본 8단지 - 10단지 - 군포시청 - 군포중 - 금정동주민센터 - 11단지 - 시청 - 산본역 - 산본 1,2,3단지 <훗날 17번과는 별개>[9]
  • 17번 (군포영업소): 과천시 환경사업소 - 양재역 (19번과 노선 동일) <2015년 6월 20일 19번으로 번호변경, 구 11-7번, 안양시 구간은 영업운행 하지 않음>
  • 구 19번 (본사영업소): 연현마을 - 성결대 - 호계동 - 인덕원 - 연현마을 (반시계방향)
  • 19번: 과천시 환경사업소 - 선바위역 - 우면2지구 - 양재역(서초구청) <구 11-7번, 17번. 안양시 구간은 운행하지 않음> (2018년 11월 27일 폐선)
  • 19-1번 (본사영업소): 연현마을 - 인덕원 - 호계동 - 성결대 - 연현마을 (시계방향)
  • 20번: 삼막사입구 - 농수산물도매시장 (1997년 8월 ~ 1998년 4월)[10][11]
  • 21번: 관악역 - 고천 (1997년 8월 ~ 1998년 4월)[10][11]
  • 22번: 충훈부 - 만안구청 - 범계역 - 안양시청 - 농수산물도매시장 (1997년 8월 신설)[10]
  • 23번: 창박골 - 만안구청 - 범계역 - 안양농수산물도매시장 (1997년 8월 신설)[10]
  • 111번 (창박골영업소): 창박골 - 안양일번가 - 명학역 - 평촌
  • 115번 (창박골영업소): 창박골 - 안양일번가 - 시흥 - 독산동 - 신대방역

일반좌석버스

직행좌석버스

Remove ads

특이사항

  • 심야노선
    • 직행좌석버스 3030번의 막차가 새벽 1시 00분에 군포공영차고지에서 출발한다.

보유 차종

자일대우버스

현대자동차

본럭 버스

갤러리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