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부눈어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부눈어(Bunun, 중국어: 布農語 부눙어[*])는 대만 원주민인 부눈족의 언어이다.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의 지리적 구분인 대만제어에 속한다. 부눈어에는 이스부쿤(Isbukun), 타크바누아즈(Takbanuaz), 타키바탄(Takivatan), 타키바카(Takibaka), 타키투두흐(Takituduh)의 다섯 가지 방언이 있다. 가장 화자 수가 많은 방언인 이스부쿤 방언은 대만 남부에서 쓰인다. 타크바누아즈, 타키바탄 방언은 대만 중부에서 쓰인다. 타키바카, 타키투두흐 방언은 비교적 북쪽에서 쓰인다. 여섯 번째 방언인 타키풀란(Takipulan) 방언은 1970년대에 사멸했다.
Remove ads
음운론
자음
표기법:
- /ɓ ɗ/는 보통 ⟨b⟩, ⟨d⟩로 표기한다.
- /ð/는 ⟨z⟩로, /ŋ/는 ⟨ng⟩로, /ʔ/는 ⟨'⟩로, /dʒ/는 ⟨j⟩로 표기한다.
참고:
- 접근음 [j w]이 나타나긴 하지만, 음절초에 자음이 있어야 한다는 제약을 만족시키기 위해 기저의 /i u/로부터 나타나는 것이다. 따라서 자음 음소가 아니다.
- 치 마찰음 /ð/은 실제로는 치간음(/ð̟/)이다.
- 이스부쿤 방언에서 /χ/는 어말 또는 자음 뒤에도 나타나고 /h/는 어두 또는 모음 사이에도 나타나지만, 다른 방언에서는 이 환경에서 모두 /q/로 나타난다.
- 이스부쿤 방언에서는 다른 방언에서 모음 사이에 나타나는 성문 파열음(/ʔ/)이 탈락하지만, 다른 방언에서 /h/가 나타나는 곳에 /ʔ/가 나타난다. (예를 들어 이스부쿤 방언의 [mapais] ‘쓰다’는 다른 방언의 [mapaʔis]에 대응하고, 이스부쿤 방언의 [luʔum] ‘구름’은 다른 방언의 [luhum]에 대응한다.)
모음
참고:
- /e/는 이스부쿤 방언에 나타나지 않는다.
Remove ads
각주
참고 문헌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