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부산광역시의 무형문화재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부산광역시의 무형문화재는 무형문화재 중에서 부산광역시 내에 있는 문화재를 의미한다. 2011년 11월 30일 현재 18건의 무형문화재가 지정되어 있으며, 1건의 무형문화재가 지정해제되었다.
지정목록
자세한 정보 1호, 2호 ...
번호 | 사진 | 명칭 | 소재지 | 전승자 | 지정일 | 참조 |
(범음.범패) |
1972년 11월 5일 지정 | |||||
2호 | 수영농청놀이 (水營農廳놀이) |
|
1972년 2월 18일 지정 | |||
3호 | 동래학춤 (東萊鶴춤) |
부산 동래구 온천동 산13-3 |
|
1972년 9월 19일 지정 | ||
4호 | 동래지신밟기 (東萊地神밟기) |
부산 동래구 우장춘로195-46 |
|
1977년 12월 13일 지정 | ||
5호 | 충렬사제향 (忠烈祠祭享) |
부산 동래구 충렬대로 345(충렬사) |
|
1979년 2월 2일 지정 | ||
6호 | 부산농악 (釜山農樂) |
부산 서구 대신공원로 34-91 |
|
1980년 2월 12일 지정 | ||
7호 | 다대포후리소리 (多大浦후리소리) |
부산 사하구 다대1동 468-6 |
|
1987년 7월 2일 지정 | ||
8호 | 가야금산조(강태홍류) (伽倻琴散調(姜太弘流)) |
부산 동래구 온천1동 87-1 |
|
1989년 7월 6일 지정 | ||
9호 | 부산영산재 (釜山靈山齋) |
부산 사상구 모라2동 159-1 |
|
1993년 4월 20일 지정 | ||
10호 | 동래고무 (東萊鼓舞) |
부산 동래구 우장춘로195-46 |
|
1993년 12월 28일 지정 | ||
11호 | 구덕망깨소리 | 부산 서구 대신공원로 34-91 |
|
2001년 10월 17일 지정, 2019년 4월 24일 명칭변경 |
||
12호 | 주성장 (鑄成匠) |
부산 기장군 정관읍 용수리 |
|
2004년 10월 4일 지정 | ||
13호 | 사기장 (沙器匠) |
부산 기장군 일광읍 원리 |
|
2005년 3월 3일 지정 | ||
14호 | 동래한량춤 (東萊閑良춤) |
부산 동래구 온천동 산13-3 (사) 부산민속예술보존협회 |
|
2005년 12월 27일 지정 | ||
15호 | 불화장 (佛畵匠) |
부산 북구 구포2동 |
|
2008년 12월 16일 지정 | ||
16호 | 아쟁산조 (牙箏散調) |
부산 동래구 |
|
2009년 12월 7일 지정 | ||
17호 | 화혜장 (靴鞋匠) |
부산 사하구 |
|
2010년 9월 20일 지정 | ||
18호 | 부산 고분도리걸립 (부산 고분도리걸립) |
부산 서구 | 부산구덕민속예술보존협회
|
2011년 3월 26일 지정 | ||
19호 | 선화 (禪畵) |
부산 수영구 |
|
2013년 5월 13일 지정 | ||
20호 | 목조각장 (木彫刻匠) |
부산 강서구 대저2동 신노전로 63 |
|
2013년 5월 8일 지정 | ||
21호 | 지연장 (紙鳶匠) |
부산 동래구 |
|
2014년 1월 1일 지정 | ||
22호 | 수영지신밟기 | 부산 수영구 | 수영지신밟기 보존회
|
2014년 1월 1일 지정 | ||
23호 | 부산 기장 오구굿 | 부산 기장군 |
|
2014년 1월 1일 지정 | ||
24호 | 전각장 (篆刻匠) |
부산 금정구 |
|
2015년 3월 25일 지정 | , | |
25호 | 하단돛배 조선장 | 부산 사하구 |
|
2016년 12월 28일 지정 | , | |
26호 | 동장각장(銅章刻匠) | 부산 해운대구 | 2018년 2월 28일 지정 |
닫기
Remove ads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