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부산서원 고문서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부산서원 고문서
Remove ads

부산서원 고문서대한민국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동남리에 있는 부산서원에 관계된 조선시대의 고문서이다.

간략 정보 종목, 수량 ...
간략 정보 종목 ...

2004년 12월 22일 부여군의 향토문화유산 제68호 부여 부산서원 고문서로 지정되었다가, 2014년 9월 1일 충청남도의 문화재자료 제420호로 승격, 지정되었다.[1]

Remove ads

개요

부산서원은 조선 인조․효종 대에 정계와 학계에서 활약한 신독재 김집 선생과 백강 이경여 선생의 위패를 모신 서원으로 1719년에 부여지역 유림들의 공론에 의해 창건되었으며 창건된 해에 왕으로부터 사액하여 부산서원이 되었다.[1]

김집선생을 이곳에 배향하게 된 계기는 부여현감을 역임한 인연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이며 이경여 선생은 전주이씨 가문으로 부여의 대표적인 사족으로 일찍이 문과로 출사하여 영의정까지 오르고 말년에 이곳 부여에 낙향하여 여생을 보냈으므로 그 덕행을 추모하여 서원에 배향되었다.[1]

부산서원은 이후 수차례 중수되다가 19세기 말 흥선대원군의 서원 정리 정책에 따라 훼철되었다. 이후 1970년대 중반 복설운동이 시작되어 1977년 예산군 덕산면에 위치한 충의사 건물을 본전 건물로 이건하여 복설하였다. 부산서원과 관련한 고문서는 부산서원 창건시 발기인 명단인 부산서원 창건소제명록 및 부산서원의 역대 임원록인 부산서원안 등 29점이 현재 부여 정림사지 박물관에 기탁 보관중에 있다.[1]

Remove ads

지정 사유

부산서원 고문서는 서원 소장 다양한 고문서를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으며 특히 충청도 소재 서원에는 소수의 성책고문서류 등을 소장한 경우는 있지만 부산처럼 일괄이라 할 수 있는 다양한 문서를 소장한 경우는 매우 드문 사례로 조선시대 서원 연구 및 사료적 가치가 높아 충청남도 문화재자료로 지정한다.[1]

세부 목록

자세한 정보 번호, 서명 ...

같이 보기

  • 부산서원

각주

참고 자료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