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부여군

대한민국의 충청남도 군단위 행정 구역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부여군
Remove ads

부여군(扶餘郡)은 대한민국 충청남도 남부에 있는 이다. 동쪽으로 논산시, 서쪽으로 보령시서천군, 북쪽으로 청양군공주시, 남쪽으로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군산시와 접한다.

간략 정보 부여군, 행정 ...

북동쪽에서 남서쪽으로 금강이 흐르며, 비옥한 충적평야를 형성한다. 부여는 수려한 자연경관과 함께 백제 문화의 유물·유적이 산재해 있는 문화 관광지이다. 백제시대 부여의 명칭은 사비이며, 백제 성왕이 국호를 남부여(538년)로 바꾸고 웅진에서 사비로 천도한 이후 538년부터 660년까지 백제 수도였다. 매년 10월 공주시와 함께 백제문화제를 개최한다. 명소로는 백제시대 문화재인 부소산성과 백제의 별궁 연못이었던 궁남지 등이 있고, 백제문화단지가 조성되어 있다. 부여의 관북리 유적·부소산성능산리 고분군, 정림사지부여 나성 등 4곳의 백제역사유적지구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군청 소재지는 부여읍이고, 행정구역은 1읍 15면이다.

Remove ads

역사

요약
관점
Thumb
조선후기 부여현 지도

부여는 본래 백제의 대산현(大山縣)이었고, 538년부터 660년까지 백제의 수도였다. 757년(신라 경덕왕 16년) 한산현(翰山縣)으로 고쳐 가림군(嘉林郡)의 영현으로 하였다. 940년(고려 태조 23년) 홍산으로 고치고, 1175년(명종 5) 한산감무로 하여금 이를 겸하게 하였다.

1413년(조선 태종 13년) 현감이 파견되었고, 1895년(고종 32) 군(郡)으로 승격되었으며, 1914년 행정구역개편 때 부여군에 병합되어 홍산면이 되었다. 홍산(鴻山)이라는 지명은 그 모양이 나는 기러기처럼 생긴 비홍산(飛鴻山)에서 유래하였다.[1]

자세한 정보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Remove ads

지리

요약
관점

충청남도의 서남쪽에 위치하며, 동쪽으로 공주시, 논산시, 북쪽으로 청양군, 서로 보령시, 서남으로 서천군, 남으로는 금강을 경계로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군산시와 접한다. 주변으로는 산지가 많으며 백마강이 부여군 한가운데를 지난다.

차령산맥이 충청남도의 북동에서 남서부로 이어져 군의 북서쪽을 지나면서 구릉지를 이루고, 성태산(631m)·만수산(432m)·월명산(544m)·옥녀봉(368m)·원진산(271m) 등이 보령시·서천군과 경계를 이룬다.

부여군의 동부를 흘러 남쪽 군계(郡界)를 이루는 금강 연안에 충적평야가 펼쳐지고, 북부·서부 산지에서 시작하여 금강으로 흘러드는 은산천(恩山川)·구룡천(九龍川)·금천(金川)·사동천(寺洞川)·여사천(餘士川) 등의 하천 유역에도 크고 작은 평야가 형성되어 있다.

내산면(內山面)에서 시작하는 구룡천은 금천과 합류하여 부여 딴펄마을에서 금강으로 흘러드는데, 이 두 하천 유역의 구룡평야는 3,000ha가 넘는 비옥한 토지로 부여군내 제일의 곡창지대를 이룬다.

기후

자세한 정보 부여군 (부여기상관측소, 부여읍 가탑리)의 기후, 월 ...
Remove ads

산업

지역내 총생산

부여군의 2012년 지역 내 총생산은 3조7800억 원으로 충청남도 지역 내 총생산의 1.3%를 차지하고 있다. 이중 농림어업(1차 산업)은 6천12억 원으로 16.20%를 차지하고, 광업 및 제조업(2차 산업)은 1조5511억 원으로 41.03%의 비중으로 차지하고 있으며, 상업 및 서비스업(3차 산업)은 1조61710억 원으로 42.77%의 비중을 차지한다. 3차 산업 부문에서는 건설업(8.94%)과 공공행정(7.28%), 교육 서비스업(4.05%), 도소매업(3.3%)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9]

산업별 종사자 현황

2022년 부여군 산업의 총종사자 수는 19,482명으로 충청남도 총 종사자 수의 2.4%를 차지하고 있다. 이중 농림어업(1차 산업)은 349명으로 비중이 낮고 1.8%의 비중을 차지하고, 광업 및 제조업(2차 산업)은 3,342명으로 17.2%의 비중으로 차지하고 상업 및 서비스업(3차산업)은 15,779명으로 81.0%의 비중을 차지한다. 2차 산업은 충청남도 전체의 비중(32.8%)보다 낮고 3차 산업은 충청남도 전체비중(66.7%)보다 높다. 3차 산업 부문에서는 숙박 및 음식점업(10.8%), 도소매업(16.7%)과 교육서비스업(8.3%)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9.4%), 문화 및 기타서비스업(8.6%)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10]

상주인구와 주간인구

부여군 2017년 기준 상주인구는 69,086명이고 주간인구는 68,620명으로 주간인구지수가 103으로 높다. 통근으로 인한 유입인구는 3,927명, 유출인구는1,492명이고, 통학으로 인한 유입인구는 267명, 유출인구는 562명으로 전체 유입인구가 2,140명 더 많은데, 이는 충청남도 대부분의 지역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다.[11]

행정 구역

부여군의 행정 구역은 1읍 15면 191법정리 432행정리 1,686반으로 편제되어 있다. 군청사는 부여읍 동남리 725에 있다. 인구는 2017년 12월 31일을 기준으로 69,086명이며, 전체 인구의 32%가 부여읍에 거주하고 있다. 또한 면적은 624.6km2(2009)로 도내에서 공주시, 서산시, 당진시, 천안시에 이어 다섯 번째로 넓다. 인구 최고치는 1964년의 195,843명이었다. 제헌 국회 때부터 5대 민의원까지는 부여군도 부여갑, 부여을 선거구로 나누었으나 단일 선거구가 되었고, 현재는 청양군, 공주시와 선거구를 공유하고 있다.[12]

Thumb
자세한 정보 읍·면, 한자 ...

도시 계획

도시 계획 구역은 부여읍, 규암면, 은산면, 홍산면 4개 읍면 중심으로 44.2km"가 지정되었으며, 이중 부여,규암 39.75km"에 대하여는 2006년 목표년도로 한 도시계획을 수립하였다. 이 계획은 2000년대를 향한 역사,문화,관광도시의 위상정립과 백제 문화권 종합계획에 따른 도시개발 전략을 제시한 계획이다.

자세한 정보 읍도지역/읍면별, 계 ...
Remove ads

군청

  • 현재 부여군청은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에 위치하고 있다.

문화 · 관광

Thumb
부소산성

부여는 백제의 마지막 수도로서 이와 관련한 역사 탐방이 문화관광의 주된 자원이다. 주요 사적으로는 부여군 부여읍 동남리에 있는 부여정림사지오층석탑능산리고분군, 궁남지, 부소산성, 낙화암, 고란사, 무량사 등이 있다. 대표적 유물로는 국보로 지정된 백제금동대향로, 부여정림사지오층석탑 등이 있다. 국가지정문화재에는 국보 4점, 보물 16점, 사적 21곳, 무형문화재 1점, 민속자료 4점, 천연기념물 1점, 사적 및 명승 1점을 보유하고 있으며, 도지정문화재로 유형문화재 25점, 기념물 25점, 무형문화재 5점이 있다. 그 외에도 도문화재자료 40점, 군향토유족77점으로 많은 문화재가 있다. 매해 공주시와 합동으로 10월에 종합예술제인 백제문화제를 개최한다.

명소,유적지

부여팔경

조선시대 이후 부여팔경이 전해져 내려오고 있다.

박물관

연구소

  • 사비생물연구소


행사

  • 백제문화제(매년 10월 초·중순)
  • 은산별신제(恩山別神祭) (매년 3월)
  • 유왕산 추모제 (매년 음력 8월 16일~17일)
  • 팔충제 (매년 10월초)
  • 임천 충혼제(매년 4월말)
Remove ads

교통

고속도로

2009년 5월에 개통한 서천공주고속도로가 관통하며, 부여읍내로 진입할 수 있는 부여 나들목과 남면등으로 진입할 수 있는 서부여 나들목이 신설되었다. 2024년 12월 10일 익산평택고속도로 부여구룡 나들목~안중 나들목 구간이 개통되었다.

버스

스포츠

부여군에는 백마강생활체육공원, 군민체육관 등의 스포츠 시설이 있다. 과거 K3리그에 참여했던 부여군 FC가 연고로 삼기도 했다.

출신 인물

교육

라디오방송

  • CH 3번: FM 90.5MHz - 대전국악방송
  • CH 4번: FM 91.7MHz - 대전CBS
  • CH 5번: FM 92.5MHz - 대전MBC 라디오
  • CH 7번: FM 93.3MHz - 대전극동방송
  • CH 9번: FM 94.7MHz - KBS대전 제1라디오
  • CH 11번: FM 95.7MHz - TJB 파워FM
  • CH 13번: FM 97.5MHz - 대전MBC FM4U
  • CH 15번: FM 98.5MHz - KBS대전 FM방송
  • CH 16번: FM 100.9Mhz - KBS대전 제2라디오
  • CH 21번: FM 102.9MHz - TBN 대전교통방송
  • CH 24번: FM 105.7MHz - EBS FM (계룡산)
  • CH 25번: FM 106.3MHz - CPBC 대전가톨릭평화방송

자매 도시

국내

국내 자매결연 현황은 다음과 같다.[13]

국외

국외 자매결연 현황은 다음과 같다.[14]

자세한 정보 도시, 국가 ...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