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북구 (대구광역시)
대한민국 대구광역시의 자치구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북구(北區)는 대구광역시 북쪽에 있는 구이며, 대구광역시청(산격청사) 소재지이다.
개요
북구의 지리는 금호강을 따라 남북으로 나누거나, 생활권과 역사성을 기준으로 금호강 이남에 무태조야동을 묶은 동부(옛 달성군 북면 지역)와 서부(칠곡군에서 편입된 옛 칠곡동 지역)로 나눌 수 있다.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 고등교육의 중심인 경북대학교가 있다. 그 밖에 대구보건대학교와 영진전문대학교가 북구에 있다. 대구오페라하우스와 대구창조경제단지 같은 문화시설이 있으며, 산격2동에는 대구 유일의 전시장(컨벤션)인 엑스코가 있다.
경부고속도로 북대구IC와 중앙고속도로의 칠곡 나들목이 있는 시외교통의 요충지이며, 두 고속도로가 분기하는 금호 분기점도 북구에 있다.
역사
- 조선시대에는 달성군 북면 지역이었고, 침산1동, 2동, 3동과 산격 1동, 2동, 3동, 4동 지역에 해당되었다. 이후 추가로 편입된 곳은 칠곡군 칠곡읍 지역[3], 수성면 지역[4]이었다.
- 1938년 11월 2일 대구부청 북부출장소 신설
- 1963년 1월 1일 : 구제 실시로 대구시 북부출장소와 달성군 공산면의 동변동, 서변동을 합쳐 대구시 북구를 설치하였다.[5] (9법정동)
- 1963년 12월 1일 : 태평로3가를 태평로3가,4가,5가,6가로 분동하였다.[6] (12법정동)
- 1964년 7월 1일 : 태평로3가 전역을 중구에 이관하였다.[7] (11법정동)
- 1965년 2월 1일 : 행정동을 통폐합해 14개로 개편하였다.[8] (14행정동)
- 14행정동 - 칠성1가동, 칠성2가1동, 칠성2가2동, 태평로4가동, 태평로5·6가동, 침산1동, 침산2동, 산격1동, 산격2동, 산격3동, 복현동, 검단동, 동변동, 서변동
- 1966년 1월 1일 : 침산동 일부를 서구에 이관하였다.[9]
- 1968년 7월 20일 : 칠성동2가 일부를 동구에 이관하였다.[10]
- 1970년 7월 1일 : 침산3동을 침산1동에서 분동하였다.[11] (15행정동)
- 1975년 10월 1일 : 동구 신암3동과 신암6동, 서구 원대동4가,5가,6가와 원대동2가 일부, 노곡동, 조야동 전역을 편입하였다.[12] 태평로4가동을 고성1가동으로, 태평로5·6가동을 고성2·3가동으로, 신암3동을 대현1동으로, 신암6동을 대현2동으로 개칭하고, 원대동4가(2가 포함),5가,6가를 노원1·2가동, 노원3가동으로 개편하였고,[13] 동변동과 서변동을 동서변동으로 합동하였다.[14] (20행정동 17법정동)
- 1978년 8월 19일 : 구청사를 칠성동2가 470번지에서 고성동3가 1번지(남침산네거리)로 이전하였다.[15]
- 1979년 5월 1일 : 노원3가동을 노원3가1동과 노원3가2동으로, 대현2동을 대현2동과 대현3동으로 분동하였다.[16] (22행정동)
- 1980년 4월 1일 : 고성1가동, 고성2·3가동을 고성동으로 합동하였다.[17] (21행정동)
- 1981년 7월 1일 : 경상북도 대구시가 대구직할시로 승격하였고,[18] 북구에 칠곡군 칠곡읍 일원을 편입하여 칠곡출장소를 설치하였다.[19] (30법정동)
- 1982년 9월 1일 : 칠곡출장소 내에 칠곡1동과 칠곡2동을 설치하였다. (23행정동)
- 1983년 3월 15일 : 칠곡출장소 내에 칠곡3동을 설치하였다. (24행정동)
- 1984년 8월 1일 : 구청사를 현 위치(침산3동 447-16)로 이전하였다.[20]
- 1987년 1월 1일 : 동구 신암동 일부 및 연경동 일원을 편입하고,[21] 연경동과 동서변동을 무태동으로 합동했다. (31법정동)
- 1988년 5월 1일 : 북구가 자치구로 승격하였다.[22]
- 1990년 6월 1일 : 복현동을 복현1동과 복현2동으로 분동하였다. (25행정동)
- 1992년 9월 1일 : 산격4동을 산격1동에서 분동하였다. (26행정동)
- 1994년 7월 1일 : 관음동을 칠곡1동에서 분동하였다. (27행정동)
- 1995년 1월 1일 : 대구광역시 북구로 개칭하였다.[23]
- 1995년 3월 1일 : 태전동을 칠곡1동에서 분동하였다. (28행정동)
- 1997년 1월 1일 : 칠곡출장소를 강북출장소로 개칭하였다.[24]
- 1997년 10월 10일 : 복현동과 검단동 일부 지역을 산격2동으로, 관음동 일부 지역을 태전동으로, 동천동 일부 지역을 읍내동으로, 칠성동2가 일부 지역을 칠성동1가로 편입하였다.
- 1998년 10월 12일 : 칠성1가동과 칠성2가1동을 칠성1동으로, 노원3가1동과 노원3가2동을 노원3동으로, 대현2동과 대현3동을 대현2동으로, 무태동과 조야동을 무태조야동으로, 노곡동과 칠곡2동을 칠곡2동으로 합동하고, 칠성2가2동을 칠성2동으로, 노원1·2가동을 노원1·2동으로 개칭하였고, 강북출장소를 폐지하였다.[25] (23행정동)
- 1999년 5월 24일 : 칠성1동과 칠성2동을 칠성동으로 합동하였다.[26] (22행정동)
- 2003년 3월 10일 : 칠곡1동을 태전2동과 구암동으로, 칠곡3동을 읍내동과 동천동으로 분동하고, 태전동을 태전1동으로, 칠곡2동을 관문동으로 개칭하였다.[27] (24행정동)
- 2005년 12월 28일 : 강북보건지소를 개소하였다.
- 2009년 7월 1일 : 노원1·2동과 노원3동을 노원동으로 합동하고, 국우동을 동천동에서 분동하였다.[28]
- 2011년 7월 4일 : 대현1동, 대현2동을 대현동으로 합동하였다.[29] (23행정동)
- 2016년 2월 19일 : 북구 산격4동에 있던 경상북도청이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경상북도청신도시로 이전하였다.[30]
Remove ads
행정 구역
대구광역시 북구의 인구는 2018년 12월 31일 기준으로 509,489명, 177,162가구이다.[31]

인구
- 북구(에 해당하는 지역)의 연도별 인구 추이[32]
교육 기관
- 특수학교
- 경북대학교 본관
상업시설
백화점
- 동아백화점 강북점
아울렛
- NC아울렛 엑스코점
대형마트
- NC아울렛 엑스코점
명소
- 경대북문 거리
- 경북대학교
- 엑스코
- 하중도
- 대구iM뱅크PARK
- 경대북문 거리
- 경북대학교
- 노곡동 하중도
- 엑스코
자매 도시
역대 구청장
도시철도 역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대구역, 칠성시장역
- 대구 도시철도 3호선: 북구청 - 원대 - 팔달시장 - 만평 - 공단 - 팔달 - 매천시장 - 매천 - 태전 - 구암 - 칠곡운암 - 동천 - 팔거 - 학정 - 칠곡경대병원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