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기(分岐, 영어: bifurcation)는 국소적 분기(영어: local bifurcation)와 대역적 분기(영어: global bifurcation)가 있다. 전자는 평형점의 존재 또는 부재에 대한 것이고, 후자는 주기적 궤도 따위에 대한 것이다. 전자는 선형화 이론으로 다룰 수 있지만, 후자는 더 복잡하다.
국소적 분기
어떤
차원 리만 다양체
위에, 매개변수
에 의존하는 연속 시간 동역학계


가 주어졌다고 하자. 이 동역학계의 고정점은
이 되는
이다. 각 고정점
에서 야코비 행렬

을 정의할 수 있다. 이를
실수 행렬로 간주할 때, 만약
가 실수 성분이 0인 복소수 고윳값을 갖는다면, 동역학계
가
에서 분기한다고 한다.[1]:996, §II.A.3 이 경우, 두 가지 경우를 구분할 수 있다.
- 만약 야코비 행렬의 고윳값이 0이라면, 이는 안정 상태 분기(安定狀態分岐, 영어: steady-state bifurcation)라고 한다.
- 만약 야코비 행렬의 고윳값이 0이 아닌 허수라면, 이는 호프 분기(Hopf分岐, 영어: Hopf bifurcation)라고 한다. 이 경우, 대개 어떤 고정점이 극한 주기 궤도로 변화하게 된다.
이산 시간 동역학계에 대해서도 마찬가지 정의를 내릴 수 있다. 이산 시간 동역학계


가 주어졌다고 하자. 이 동역학계에서 고정점은
가 되는
이다. 각 고정점
에 대하여, 야코비 행렬

을 정의할 수 있다. 이를
실수 행렬로 간주할 때, 만약
가 절댓값이 1인 복소수 고윳값을 갖는다면,
가
에서 분기한다고 한다.[1]:998, §II.B.2 이 경우, 다음과 같이 세 가지 경우가 가능하다.
- 만약 절댓값이 1인 고윳값이 1이라면, 이는 안정 상태 분기(安定狀態分岐, 영어: steady-state bifurcation)라고 한다.
- 만약 절댓값이 1인 고윳값의 쌍이
이라면 (
), 이는 호프 분기(Hopf分岐, 영어: Hopf bifurcation)라고 한다.
- 만약 절댓값이 1인 고윳값이 −1이라면, 이는 주기배가 분기(週期倍加分岐, 영어: period-doubling bifurcation)라고 한다. 이는 연속 시간 동역학계에서 나타나지 않는 분기화이다.
대역적 분기
대역적 분기(영어: global bifurcation)는 주기 궤도(영어: periodic orbit)나 극한 주기 궤도, 끌개 등이 한 개 이상의 안정점과 충돌하게 되는 점이다. 이 역시 다양한 경우가 있다.